배당이의

사건번호:

2000다44799

선고일자:

200104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대차의 대항요건인 주민등록의 유효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2] 임차 주택의 부지를 비롯한 세 필의 토지가 같은 담장 안에 있고 그 지상에 임차 주택 이외에는 다른 건물이 건립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임차인이 임차 주택의 부지가 아닌 인접한 다른 토지의 지번으로 주민등록을 마쳤다면 유효한 공시방법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서 주택의 인도와 더불어 임대차의 대항력 발생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은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임대차의 존재를 제3자가 명백히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공시방법으로 마련된 것이라고 볼 것이므로, 주민등록이 어떤 임대차를 공시하는 효력이 있는가의 여부는 일반사회의 통념상 그 주민등록으로써 임차인이 당해 임대차건물에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2] 임차 주택의 부지를 비롯한 세 필의 토지가 같은 담장 안에 있고 그 지상에 임차 주택 이외에는 다른 건물이 건립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임차인이 임차 주택의 부지가 아닌 인접한 다른 토지의 지번으로 주민등록을 마쳤다면 유효한 공시방법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 [2]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7. 11. 선고 97다10024 판결(공1997하, 2489), 대법원 1997. 11. 14. 선고 97다29530 판결(공1997하, 3820), 대법원 1998. 1. 23. 선고 97다47828 판결(공1998상, 61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주식회사 동방상호신용금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두우 담당변호사 조문현 외 1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7. 12. 선고 99나5071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서 주택의 인도와 더불어 임대차의 대항력 발생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은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임대차의 존재를 제3자가 명백히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공시방법으로 마련된 것이라고 볼 것이므로 주민등록이 어떤 임대차를 공시하는 효력이 있는가의 여부는 일반사회의 통념상 그 주민등록으로써 임차인이 당해 임대차건물에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7. 11. 14. 선고 97다29530 판결, 1998. 1. 23. 선고 97다47828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가 임차한 주택의 부지가 '서울 종로구 (주소 1 생략) 대 168.6㎡'인 사실, 위 토지가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울 종로구 (주소 2 생략) 대 558㎡' 및 '서울 종로구 (주소 3 생략) 대 15.5㎡'와 인접하여 있고 위 세 필의 토지가 같은 담장 안에 위치하여 있으며 그 지상에는 위 건물 이외의 다른 건물이 건립되어 있지 아니한 사실, 피고가 '위 (주소 2 생략)'로 주민등록을 마친 사실을 각 인정한 후, '위 (주소 2 생략)'라는 지번은 피고가 임차한 주택의 부지인 '위 (주소 1 생략)' 토지와 인접하기는 하지만 이와 명백히 구별되는 별개의 부동산을 표상하고 있으므로 일반사회의 통념상 제3자가 피고를 주민등록상 '위 (주소 1 생략)'에 소재한 건물에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피고가 '위 (주소 1 생략)'에 소재한 임차주택에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소정의 유효한 공시방법인 주민등록을 마쳤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거기에 상고이유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였거나 임차권의 대항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원심의 부가적·가정적 판단내용을 비난하는 취지인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서성 배기원 박재윤(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옆집 주소로 전입신고하면 전세금 보호받을 수 있을까? - 담장 안 여러 필지 주의보!

같은 담장 안에 여러 필지가 있는 경우, 전세금 보호를 위해서는 등기부등본 확인 후 실제 집이 위치한 땅의 주소로 전입신고해야 한다.

#전입신고#전세금보호#대항력#주소

상담사례

두 필지 집, 전입신고 하나만 해도 괜찮을까요? 🏠

두 필지에 걸쳐 지어진 다가구주택은 한 필지에만 전입신고해도 대항력을 유지하여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다.

#전입신고#다가구주택#필지#대항력

민사판례

🏘️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이 함께 있는 경우 전입신고는 어떻게?

전입신고는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등 건물의 종류와 등기 여부에 따라 올바른 전입신고 방법이 달라집니다. 이를 혼동하면 임차인의 권리를 제대로 보호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대항력#다가구주택#다세대주택

민사판례

엉뚱한 주소에 전입신고하면 대항력 인정 못 받아요!

건축 중인 집을 빌려 주민등록을 했더라도, 나중에 건물 이름이나 호수가 바뀌면 그 주민등록은 효력이 없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집이 경매로 넘어가 새 주인이 생겼을 때, 새 주인이 이러한 사정을 알고 있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민등록#건축 중 주택#임대차#대항력

민사판례

전입신고, 등기부랑 주소 다르면 효력 없을까? 🏡

집을 빌린 후 토지가 분할되어 지번이 바뀌었더라도, 변경된 지번으로 주민등록을 했다면 세입자의 대항력은 유효합니다.

#토지분할#지번변경#주민등록#대항력

상담사례

헷갈리는 집주소, 전입신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토지 분할과 주민등록 이야기

토지 분할로 등기부상 주소와 건축물대장 주소가 달라도 건축물대장 주소로 전입신고하면 대항력을 인정받아 유효하다.

#전입신고#토지분할#주소불일치#건축물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