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확인

사건번호:

2000다51872

선고일자:

200101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의 요건 [2] 미완성 상태이지만 독립된 건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 [2] 미완성 상태이지만 독립된 건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99조 제1항 / [2] 민법 제99조 제1항

참조판례

[1][2] 대법원 1977. 4. 26. 선고 76다1677 판결 대법원 1986. 11. 11. 선고 86누173 판결(공1987, 35),, 대법원 1986. 11. 11. 선고 86누173 판결(공1987, 35), 대법원 1996. 6. 14. 선고 94다53006 판결(공1996하, 214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중앙종합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곽준흠)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00. 8. 23. 선고 2000나972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원심은, 그 채용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공작물은 원고가 그 부지인 토지를 경락할 당시 지하 1, 2층, 지상 1층의 콘크리트 골조 및 천장공사, 지하 1, 2층에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공사만이 되어 있었고, 주벽은 설치되지 아니하였으며, 공사 진척도는 약 20 내지 30%에 불과하였던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공작물을 독립된 건물로 보기는 어렵고 토지에 부합되어 토지와 함께 경락인을 거쳐 원고의 소유가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고 할 것인바(대법원 1996. 6. 14. 선고 94다53006 판결), 원심이 배척하지 아니한 갑 제8호증의 1 내지 24, 을 제11호증의 1 내지 19(각 사진)의 각 영상과 제1심 증인 소외인의 증언을 종합하면 이 사건 공작물은 위 경락 당시 지하 1, 2층 및 지상 1층까지의 콘크리트 골조 및 기둥, 천장(슬라브)공사가 완료되어 있고, 지상 1층의 전면(남쪽)에서 보아 좌측(서쪽) 벽과 뒷면(북쪽) 벽 그리고 내부 엘리베이터 벽체가 완성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공작물은 최소한의 지붕과 기둥 그리고 주벽(主壁)이 이루어졌다고 할 것이어서 미완성 상태의 독립된 건물(원래 지상 7층 건물로 설계되어 있으나, 지상 1층만으로도 구분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구조임이 분명하다)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공작물에는 주벽이 완성되어 있지 아니하였고 공사진척도가 20-30%에 불과하여 독립된 건물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위와 같이 판단한 원심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는 한편, 독립된 건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을 범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서성 배기원 박재윤(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하층만 완성된 건물도 독립된 건물로 인정될까?

건물의 지상층이 완공되지 않았더라도 지하층만으로도 독립된 건물로서의 요건(기둥, 지붕, 주벽)을 갖추었다면 법적으로 건물로 인정될 수 있다.

#지하층#건물#법정지상권#독립성

민사판례

짓다 만 건물, 압류할 수 있을까? - 미완성 건물의 보전처분 가능성

아직 완공되지 않고 등기도 안 된 건물에 압류 같은 보전처분을 하려면, 최소한 건물의 뼈대는 다 갖춰져 있고, 허가받은 내용과 거의 같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보전처분은 불가능합니다.

#미완성 건물#보전처분#건물 뼈대#허가 내용 일치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축업자, 건물은 누구 소유일까? 미완성 건물 인도받아 완공하면 소유권은?

건축허가 명의자가 건물 소유권을 갖는 것은 아니며, 실제 건축에 자재와 노력을 투입한 사람이 소유권을 갖습니다. 대지 소유자 명의로 건축허가를 받았더라도, 건축업자가 비용을 들여 건물을 지었다면 건축업자가 소유권을 갖게 됩니다. 다만, 대지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지 소유자에게 담보 목적으로 소유권이 넘어갈 수 있습니다. 미완성 건물이라도 사회통념상 독립된 건물로 볼 수 있다면 최초 건축주가 소유권을 갖습니다.

#건축허가#소유권#건축 기여도#대지 소유자

민사판례

짓다 만 건물, 누구 소유일까요?

공사가 중단된 미완성 건물이라도 사회통념상 독립된 건물로 볼 수 있다면 원래 건축주가 소유권을 가진다.

#미완성 건물#소유권#건축주#사회통념

민사판례

건물 신축공사, 완료된 걸까요? 아니면 미완성일까요? - 하자와 미완성의 차이

건물 신축공사에서 공사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더라도, 주요 구조가 완성되어 사회통념상 건물로 사용 가능하다면 공사는 완성된 것으로 보고, 미완성 부분은 하자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물 사용승인이 나지 않았지만, 건물의 주요 공사가 끝났고 미완성 부분의 비용도 전체 공사비에 비해 적어 건물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또한, 건물 하자의 원인이 건축주의 잘못된 지시였다면 시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건물 신축공사 완성#하자 책임#사회통념상 사용가능성#건축주 지시

민사판례

미완성 건물도 경매 대상이 될 수 있을까?

토지에 근저당 설정된 미완성 건물에 대한 경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았더라도 법원은 바로 경매 신청을 기각할 것이 아니라 보정을 명령해야 합니다. 또한, 미완성 건물이라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경매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미완성 건물 경매#서류 미비#보정명령#경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