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말소등기

사건번호:

2000다69293

선고일자:

200104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합유등기의 추정력을 번복하여 공유로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합유등기의 추정력을 번복하여 공유로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262조 , 제27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 2. 25. 선고 93다39225 판결(공1994상, 1093), 대법원 1996. 12. 10. 선고 96다23238 판결(공1997상, 309), 대법원 1997. 4. 8. 선고 95다34521 판결(공1997상, 1372), 대법원 1997. 9. 9. 선고 96다16896 판결(공1997하, 303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인천지법 2000. 11. 17. 선고 2000나577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상고이유(기간 도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구등기부상 원고의 아버지인 망 소외 5와 소외 1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어 있던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1963. 6. 19. 원고, 망 소외 2(원고 동생), 소외 3, 소외 4 등 4인의 합유로 1962. 12. 9.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어 있고, 위 등기를 경료하고 받은 등기권리증상에도 '합유(合有)'라는 기재가 되어 있는 반면, 신등기부상에는 원고 등 4인의 공유로 기재되어 있다는 것이므로 신등기부상의 공유 기재는 이기 과정에서 잘못된 것으로 보이고, 이 사건 임야는 원고 등 4인의 합유로 추정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임야 중 소외 1의 1/2 지분은 원고의 아버지인 소외 5가 소외 3, 소외 4와 함께 남원윤씨 종산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자 금원을 출원·매수하여 소외 5의 아들인 원고와 망 소외 2(원고 동생), 소외 3, 소외 4 등 4인의 공동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사실, 원고는 이전에 망 소외 2의 상속인들과 소외 3, 소외 4를 상대로 제기한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사건에서 원고를 대리한 소외 5가 단독으로 이 사건 임야를 매수하여 편의상 4인 앞으로 명의신탁등기를 하였다거나, 소외 5가 원고의 자금으로 공유자인 소외 1에게 다른 임야를 단독소유로 해 주는 대가로 이 사건 임야를 취득한 다음, 그 명의를 위 4인 앞으로 신탁하였다고 주장하는 등 취득경위에 관한 주장을 여러 번 바꾸었으나 합유라는 주장은 하지 아니하였던 사실, 1986. 9. 8. 이기된 신등기부상 이 사건 임야가 공유로 등재되어 있음에도 원고는 이 사건 소 제기시까지 그에 대하여 이의를 하지 아니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는바, 이에 의하면, 이 사건 임야는 원고 등 4인의 공유라고 할 것이므로 등기부상 합유의 추정은 번복되었다고 할 것이다. 원심의 설시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고 할 것이고,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등기의 추정력 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이강국(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인데 등기부에는 공동소유? 구분소유적 공유관계 해소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토지 중 일부가 분할되어 한 사람에게 단독 소유권으로 넘어가면, 나머지 토지에 대한 기존 공유자의 지분은 효력을 잃는다. 또한, 진정한 소유자가 아닌 사람에게는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여 소유권 이전을 요구할 수 없다.

#공유토지#분할#단독소유권#지분무효

상담사례

4명이 함께 산 건물, 한 명이 나가고 싶다면? 등기는 어떻게? 🤝➡️3️⃣

4인 공동사업에서 1인 탈퇴 시, 탈퇴자 포함 나머지 구성원이 함께 등기소에 가서 합유명의인 변경등기를 해야 한다.

#공동사업#탈퇴#부동산#합유등기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부동산을 샀을 때, 누구 소유일까요?

여러 사람이 공동 사업을 위해 돈을 모아 부동산을 사서 한 사람 명의로 등기했더라도, 실제로는 소유권이 그 사람 단독이 아닌, 출자한 모든 사람에게 있다는 판결입니다. 이런 경우 명의신탁으로 봐서, 등기 명의와 상관없이 실제 출자자들의 소유권을 인정합니다.

#명의신탁#부동산#공동사업#동업조합

민사판례

공동사업 부동산, 마음대로 나눌 수 있을까?

여러 사람이 동업을 위해 부동산을 공동으로 구입했는데 등기는 공유로 되어있는 경우, 단순히 공유라는 이유로 마음대로 분할을 청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동업 관계라는 사실이 중요하며, 동업 관계에서는 일반적인 공유와는 다른 규칙이 적용됩니다.

#동업#부동산#분할청구#공유

민사판례

토지 공유, 내 땅은 어디까지? 구분소유와 공유지분에 대한 이야기

여러 사람이 토지의 특정 부분을 나눠 소유하기로 약속한 '구분소유적 공유' 관계에서, 한 사람이 자신의 지분을 등기부에 기재된 전체 토지 지분으로 처분하면, 구분소유는 소멸하고 일반적인 공유 관계가 된다는 판결.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처분#소멸#일반공유

민사판례

공유 땅 나눌 때, 내 땅 지분이 갑자기 늘어났다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땅을 나눌 때, 등기부에 한 사람의 지분이 원래보다 더 많이 기재되면, 늘어난 지분에 대한 등기는 효력이 없습니다.

#공유토지#분할#지분증가#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