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채권확정

사건번호:

2001다11659

선고일자:

20020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권자가 정리채권 신고를 한 경우, 채권자에게 대위변제를 하고 구상금 채권을 취득한 자가 대위변제액과 정리채권 신고액과의 차액에 대하여 회사정리법 제127조 제2항에 의한 추완 신고나 같은 조 제4항에 의한 변경 신고를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회사정리법 제110조 제1항, 제2항, 제118조 제2항, 제127조 제2항, 제4항 및 제128조 제1항 등의 규정내용과 회사정리제도의 목적 등을 종합하여 보면, 정리회사에 대하여 장래의 구상권을 가지는 자는 구상채권 전액에 관하여 정리절차에 참가하여 정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나, 채권자가 정리절차개시 당시의 채권 전부에 관하여 정리채권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장래의 구상권을 가지는 자는 정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그가 채권자의 정리채권 신고 이후에 채권자에 대하여 대위변제를 한 경우에는 채권자의 정리채권이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구상권자에게 그 변제의 비율에 따라 이전될 뿐이며, 신고기간 경과 후에 대위변제를 함으로써 구상금 채권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구상권자가 대위변제액과 채권자의 정리채권 신고액과의 차액에 대하여 회사정리법 제127조 제2항에 의한 추완 신고를 할 수 없으며, 같은 법조 제4항에 의하여 신고된 정리채권 중 이자를 원금으로 변경하는 신고도 허용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회사정리법 제110조 제1항 , 제2항 , 제118조 제2항 , 제127조 제2항 , 제4항 , 제128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서울보증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경수근 외 6인) 【피고,피상고인】 정리회사 주식회사 크레송의 관리인 이익우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보환)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1. 10. 선고 2000나5025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회사정리법 제110조 제1항, 제2항, 제118조 제2항, 제127조 제2항, 제4항 및 제128조 제1항 등의 규정내용과 회사정리제도의 목적 등을 종합하여 보면, 정리회사에 대하여 장래의 구상권을 가지는 자는 구상채권 전액에 관하여 정리절차에 참가하여 정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나, 채권자가 정리절차개시 당시의 채권 전부에 관하여 정리채권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장래의 구상권을 가지는 자는 정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그가 채권자의 정리채권 신고 이후에 채권자에 대하여 대위변제를 한 경우에는 채권자의 정리채권이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구상권자에게 그 변제의 비율에 따라 이전될 뿐이며, 신고기간 경과 후에 대위변제를 함으로써 구상금 채권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구상권자가 대위변제액과 채권자의 정리채권 신고액과의 차액에 대하여 회사정리법 제127조 제2항에 의한 추완 신고를 할 수 없으며, 같은 법조 제4항에 의하여 신고된 정리채권 중 이자를 원금으로 변경하는 신고도 허용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소 중 채권자인 소외 산은캐피탈 주식회사가 이미 이자로 신고한 액수에 해당하는 금 125,908,720원 부분은 원고의 대위변제로 인하여 그 동일성을 가지고 원고에게 이전되었으므로 그 확정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고, 대위변제액과 정리채권 신고액과의 차액인 나머지 금 101,214,850원 부분에 대하여는 원고가 그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회사정리법 제110조, 제127조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손지열(재판장) 조무제 유지담(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연대보증 갚았는데, 채무자가 회생절차 중이라 돈 못 받는다고요? 걱정 마세요! 변제자 대위권!

연대보증인이 채무자의 회생절차에도 불구하고 변제자 대위권을 행사하여 채권자에게 직접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연대보증#변제자 대위권#구상권#회생절차

민사판례

돈 갚아준 사람끼리 순서 다툼?! 대위변제와 우선회수특약 이야기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과 빌린 사람(채무자) 사이에 다른 사람(보증인)이 돈을 일부 갚아주고 채권자의 권리 일부를 넘겨받는 경우, 채권자와 보증인 사이에 돈을 먼저 회수하기로 하는 특약(우선회수특약)을 맺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특약은 채권자와 보증인 사이에서만 효력이 있고, 보증인의 보증인에게까지 효력이 미치지는 않습니다.

#대위변제#우선회수특약#보증인#효력범위

민사판례

회생절차에서 채권신고를 놓쳤다면? 알아두면 돈 되는 회생채권 이야기

회생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회생절차가 진행되는 사실 자체를 몰라서 채권 신고를 못 했더라도, 회사의 관리인이 해당 채권의 존재를 알고 있었거나 알 수 있었으면 채권자의 권리는 보호된다. 채권자는 나중에라도 채권 신고를 할 수 있다.

#회생절차#채권자#채권신고#관리인

상담사례

보증기관 대신 빚 갚았는데, 그 기관이 가진 특별한 권리도 내가 가질 수 있을까?

보증기관(신용보증기금) 대위변제 후 보증인이 변제해도 보증기관과 채권자(은행) 간의 우선회수특약 등 별도 약정은 승계되지 않는다.

#대위변제#우선회수특약#권리승계#구상권

민사판례

돈 대신 갚아줬는데, 내 권리는 어디로? 대위변제와 담보권 이전 약정 이야기

단순히 사업상 관계가 있다는 이유로 남의 빚을 대신 갚아준 경우, 법적으로 채권자의 권리를 자동으로 넘겨받는 '법정대위'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채권자의 담보를 넘겨받으려면 채무자의 동의가 필요한 '임의대위'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대위변제#법정대위#임의대위#담보

민사판례

회생절차와 구상권 신고: 알고 계셨나요? 숨겨진 함정!

회사 회생절차에서 다른 회사에 대한 구상권을 가진 채권자가 회생절차 기간 내에 구상권을 신고하지 않으면 그 권리를 잃게 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여러 당사자가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경우, 한 당사자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더라도 다른 당사자는 자신의 구상권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회생절차#구상권#신고#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