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1다82507

선고일자:

2004031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전원합의체 판결

판시사항

[1] 불법행위로 영업용 물건이 멸실된 경우, 교환가치 상당액 이외에 휴업손해도 배상할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2] 불법행위에 의하여 재산권이 침해된 경우, 위자료를 인정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1] 불법행위로 영업용 물건이 멸실된 경우, 이를 대체할 다른 물건을 마련하기 위하여 필요한 합리적인 기간 동안 그 물건을 이용하여 영업을 계속하였더라면 얻을 수 있었던 이익, 즉 휴업손해는 그에 대한 증명이 가능한 한 통상의 손해로서 그 교환가치와는 별도로 배상하여야 하고, 이는 영업용 물건이 일부 손괴된 경우, 수리를 위하여 필요한 합리적인 기간 동안의 휴업손해와 마찬가지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일반적으로 타인의 불법행위 등에 의하여 재산권이 침해된 경우에는 그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의하여 정신적 고통도 회복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의하여 회복할 수 없는 정신적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이는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로서 가해자가 그러한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 한하여 그 손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다.

참조조문

[1] 민법 제393조 , 제750조 , 제763조 / [2] 민법 제393조 , 제750조 , 제751조 , 제76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0. 12. 9. 선고 80다1840 판결(공1981, 13459)(변경), 대법원 1990. 8. 28. 선고 88다카30085 판결(공1990, 2011)(변경), 대법원 1990. 10. 16. 선고 90다카20210 판결(공1990, 2272)(변경), 대법원 2001. 1. 16. 선고 2000다29325 판결(변경) /[2] 대법원 1989. 8. 8. 선고 88다카27249 판결(공1989, 1354), 대법원 1992. 5. 26. 선고 91다38334 판결(공1992, 2003), 대법원 1994. 12. 13. 선고 93다59779 판결(공1995상, 472), 대법원 1996. 11. 26. 선고 96다31574 판결(공1997상, 58)

판례내용

【원고,상고인겸피상고인】 망 홍실광의 소송수계인 심옥희 외 4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순례) 【피고,피상고인겸상고인】 태훈산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충정 담당변호사 장용국 외 5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1. 11. 20. 선고 2001나3650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일실 휴업손해에 관한 부분 및 위자료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각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들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1. 원고들의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가. 원심은, 원고들의 피상속인인 소외 홍실광이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그 소유의 피해 선박이 침몰로 멸실되자 대체 선박을 마련한 후 1999. 11. 9.부터 어업을 재개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사고일인 같은 해 7. 11.부터 조업재개일인 같은 해 11. 9.까지 약 4개월간 홍광실이 입은 영업수익 상실손해인 금 76,273,648원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들의 청구에 대하여, 선박이 침몰하여 멸실된 경우 선박소유자가 입은 손해액은 그 멸실된 선박의 교환가격에 그치고 그 이외에 선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수입 상당은 그 교환가격의 이자 상당액에 포괄된다 할 것이어서 교환가격의 배상을 구하는 외에 선박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던 이익을 별도의 손해로 청구할 수는 없다는 제1심의 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원고들의 위 청구를 배척하였다. 그러나 불법행위로 영업용 물건이 멸실된 경우, 이를 대체할 다른 물건을 마련하기 위하여 필요한 합리적인 기간 동안 그 물건을 이용하여 영업을 계속하였더라면 얻을 수 있었던 이익, 즉 휴업손해는 그에 대한 증명이 가능한 한 통상의 손해로서 그 교환가치와는 별도로 배상하여야 하고, 이는 영업용 물건이 일부 손괴된 경우, 수리를 위하여 필요한 합리적인 기간 동안의 휴업손해와 마찬가지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달리 불법행위로 영업용 선박, 자동차, 건물 등의 물건이 멸실된 경우에 그 물건의 교환가격 상당액의 배상 이외에 그 물건을 대체할 다른 물건의 제조 또는 구입시까지의 기간 동안 그 멸실된 물건을 사용·수익하지 못하여 입은 손해의 배상을 구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판시한 대법원 2001. 1. 16. 선고 2000다29325 판결, 대법원 1990. 10. 16. 선고 90다카20210 판결, 대법원 1990. 8. 28. 선고 88다카30085 판결, 대법원 1980. 12. 9. 선고 80다1840 판결을 비롯하여 이 판결의 견해에 배치되는 판결들은 그 배치되는 범위 내에서 이를 변경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와 반대의 견해에서 대체 선박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합리적인 기간 및 그 기간 동안의 조업수입액 등에 관하여 심리하지 아니한 채 원고들의 위 청구를 배척한 원심판결에는 불법행위로 인하여 영업용 물건이 멸실된 경우의 손해배상액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정당하다. 나. 원심판결 중 위자료 청구를 일부 기각한 부분에 대하여는, 원고들이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내에 상고이유를 제출하지 아니하였다. 2.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원심은, 위 홍실광이 이 사건 선박충돌 사고로 생활기반이 되는 어선이 완전파손됨으로 인하여 상당한 정도의 정신적 충격을 받았음이 인정되고, 이로 인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 생업에 종사하지 못하였으며 대체선박을 구입하여 다시 생업에 종사한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는 등의 사정이 있었으므로 피고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위 홍실광이 입은 정신적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 사건 자료에 나타난 제반 사정을 참작하면 그 액수는 금 20,000,000원으로 정함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타인의 불법행위 등에 의하여 재산권이 침해된 경우에는 그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의하여 정신적 고통도 회복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의하여 회복할 수 없는 정신적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이는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로서 가해자가 그러한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 한하여 그 손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대법원 1996. 11. 26. 선고 96다31574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이 사건 선박충돌 사고로 위 홍실광이 입게 된 정신적 고통을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위 홍실광에게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고, 피고가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어야 할 것인데, 원심이 이러한 점에 관하여 제대로 심리·판단을 하지 않은 채 만연히 앞서 설시한 이유만으로 피고에게 정신적 손해에 대하여도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니 이는 재산권 침해로 인한 위자료의 인정에 관한 법리오해, 심리미진 내지 이유불비의 위법을 저지른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일실 휴업손해에 관한 부분 및 위자료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각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원고들의 나머지 상고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 전원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원장 최종영(재판장) 조무제 변재승 유지담 윤재식 이용우 배기원 강신욱(주심) 이규홍 이강국 박재윤 고현철 김용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영업용 차량 사고, 수리 기간 동안의 영업 손실도 보상받을 수 있을까?

영업용 차량이 사고로 파손되어 수리 또는 교체하는 동안 영업을 못하게 된 경우, 예상되는 영업이익 손실(휴업손해)도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차량 수리비나 교체비용만 배상받는 것이 아니라, 영업을 못해서 발생한 손해도 배상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영업용 차량#사고#휴업손해#배상

민사판례

영업용 크레인 전손 사고와 손해배상 책임 범위

도선사 과실로 선박이 크레인에 충돌하여 전손시킨 사건에서, 크레인 교체 기간 동안의 영업손실은 배상해야 하지만, 그 범위는 **합리적인 대체 수단과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 단순히 새 크레인 제작 기간 동안의 다른 크레인 임대료 전액을 배상하도록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

#크레인 전손#영업손실 배상#합리적 대체 수단#합리적 대체 기간

일반행정판례

영업손실보상, 폐업보상 받으려면? 이전 가능성이 관건!

국가 사업으로 양돈장이 수용될 때, 단순히 주민 반대 가능성만으로 양돈장 이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폐업 보상을 해줄 수는 없고, 실제 이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양돈장#이전 가능성#폐업 보상#주민 반대

일반행정판례

영업손실보상, 폐업인가 휴업인가?

공익사업으로 토지가 수용되어 축산업을 이전해야 하는 경우, 이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폐업보상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휴업보상을 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축산업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폐업보상이 인정되었습니다.

#공익사업#축산업#영업손실보상#폐업보상

일반행정판례

영업손실보상, 이전 가능성이 핵심! 휴업기간은 3개월!

도로공사로 양돈장을 옮겨야 하는 상황에서, 양돈장 주인이 영업 폐지에 따른 보상을 요구했지만, 법원은 영업 이전이 가능하므로 휴업 보상만 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휴업 기간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3개월로 제한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도로공사#양돈장 이전#영업손실보상#휴업보상

민사판례

불법휴무로 인한 제조업체의 손해, 어떻게 계산할까?

불법 휴무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제조업체는 판매하지 못한 제품의 예상 이익(매출이익) 뿐만 아니라, 공장 가동 여부와 상관없이 지출되는 고정 비용(임대료, 세금, 감가상각비 등)에 대한 손해도 배상받을 수 있다. 다만, 제품이 정상적으로 판매될 수 있었음을 입증해야 하지만, 특별한 사정(적자 제품, 불황, 제품 결함 등)이 없다면 판매 가능성을 추정하여 손해배상을 인정한다.

#불법휴무#손해배상#제조업체#매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