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차량)

사건번호:

2001도4771

선고일자:

20020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도주'의 의미 [2] 사고운전자가 교통사고 후 피해자를 병원으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게 하고 피해자의 가족들에게 자신의 인적사항을 알려주었으나 동료 운전기사로 하여금 그가 사고운전자인 것으로 경찰관서에 신고하게 한 경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도주'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도주한 때'라 함은 사고운전자가 사고로 인하여 피해자가 사상을 당한 사실을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에 규정된 의무를 이행하기 이전에 사고현장을 이탈하여 사고를 낸 자가 누구인지 확정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2] 사고운전자가 교통사고 후 피해자를 병원으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게 하고 병원에서 피해자의 가족들에게 자신의 인적사항을 알려주었다면, 비록 경찰관서에 자신이 사고운전자임을 신고하지 아니하고 동료 운전기사로 하여금 그가 사고운전자인 것으로 신고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에 규정된 의무를 이행하기 이전에 사고현장을 이탈하여 사고를 낸 자가 누구인지 확정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사고운전자가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도주하였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1]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 / [2]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2. 4. 10. 선고 91도1831 판결(공1992, 1636),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도2204 판결(공1994하, 3162), 대법원 1996. 4. 9. 선고 96도252 판결(공1996상, 1481), 대법원 1996. 8. 20. 선고 96도1415 판결(공1996하, 2924),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7도2475 판결(공1998상, 201), 대법원 1999. 12. 7. 선고 99도2869 판결(공2000상, 244), 대법원 2000. 3. 28. 선고 99도5023 판결(공2000상, 1118), 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도1038 판결(공2000하, 1466), 대법원 2002. 1. 11. 선고 2001도2869 판결(공2002상, 504)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 1. 8. 23. 선고 2000노2727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1. 원심은 증거들에 의하여, 피고인이 2000. 10. 2. 12:40경 전남 98사7628호 25t 화물차를 운전하여 천안시 원성동 소재 수경마트 앞 편도 3차선 도로의 2차로를 산업도로 쪽에서 아산시 쪽으로 진행하면서 전방 및 좌우 주시를 소홀히 하고 조향장치와 제동장치 작동을 정확하게 하지 못한 업무상 과실로, 때마침 위 도로를 위 화물차 진행방향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무단 횡단하던 피해자(77세)를 뒤늦게 발견하고 급제동하였으나 미치지 못하여 위 화물차의 앞부분으로 피해자를 들이받아 그 충격으로 피해자로 하여금 약 5주 동안의 치료를 요하는 안면부 다발성 심부열상 등을 입게 하고도, 바로 정차하여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채 그대로 도주하였다는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다. 2.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이하 '특가법'이라 한다)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도주한 때'라 함은 사고운전자가 사고로 인하여 피해자가 사상을 당한 사실을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에 규정된 의무를 이행하기 이전에 사고현장을 이탈하여 사고를 낸 자가 누구인지 확정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도1038 판결 참조).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즉시 정차하여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한 다음 119로 연락하여 사고현장에 도착한 119 구급차에 피해자를 싣고 피해자와 함께 천안 순천향병원 응급실로 가서 응급치료를 받게 하였는데 큰 이상이 없고 병원에 의사가 없다고 하자 피해자를 오선태정형외과로 옮겨 입원치료를 받게 한 사실, 그 후 피고인은 병원에 온 피해자의 가족들을 만나 모든 사후처리를 약속하고 피해자의 처에게 급한대로 쓰라면서 40,000원을 지급하고 이틀 후에 다시 오겠다며 귀가하였는데 귀가 전에 피해자의 딸에게 자신의 주민등록증을 보여주면서 이름과 주소를 확인시켜 주고 전화번호도 알려준 사실, 한편 피고인은 피해자를 병원으로 후송하기 전 사고현장에 함께 있던 동료 운전기사인 공소외인에게 자신은 면허정지 기간중이므로 대신 운전한 것으로 해 달라고 부탁하였고 이에 공소외인은 사고현장에 남아 있다가 출동한 경찰관에게 자신이 사고운전자라고 신고하여 파출소로 가서 교통사고발생상황 진술서를 작성하는 등 조사를 받았는데, 그 후 누군가가 사고운전자가 바뀌었다고 하여 피고인이 사고 4일 후인 2000. 10. 6. 사고운전자로 조사를 받게 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이와 같이 피고인이 이 사건 사고 후 피해자를 병원으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게 하고 병원에서 피해자의 가족들에게 자신의 인적사항을 알려 주었다면, 비록 피고인이 경찰관서에 자신이 사고운전자임을 신고하지 아니하고 동료 운전기사인 송안섭으로 하여금 그가 사고운전자인 것으로 신고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피고인이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에 규정된 의무를 이행하기 이전에 사고현장을 이탈하여 사고를 낸 자가 누구인지 확정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피고인이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도주하였다고 볼 수 없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특가법위반(도주차량)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소정의 도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강신욱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뺑소니? 아니, 현장 이탈! 그 미묘한 차이

이미 경찰이 현장 조사 중이고 피해자 구호 조치도 완료된 상황에서 가해자가 피해자 측에 연락처를 남기고 떠난 경우, '뺑소니'(정확히는 '도주차량')로 보지 않는다는 판례.

#뺑소니#도주차량#현장이탈#피해자구호

형사판례

뺑소니, 정확히 어떤 경우일까요? 사고 후 현장을 떠나면 무조건 뺑소니?

교통사고 후 피해자 구호 등 필요한 조치 없이 도주했을 때 '뺑소니'로 처벌받는 기준을 설명합니다. 단순히 사고 현장을 벗어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피해자를 구호하거나 경찰 등에 신고하는 등의 조치를 하기 *전에* 도망쳤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또한, 도망칠 당시 '고의'로 그랬다는 점도 입증되어야 합니다.

#뺑소니#도주#고의#피해자 구호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피해자를 병원에 데려다주면 끙하고 도망간 걸까요?

교통사고를 낸 사람이 피해자를 구급차에 태워 병원까지 후송하고, 피해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겨진 사실을 모른 채 자신의 사무실로 돌아갔다면, 비록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더라도 뺑소니(도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교통사고#피해자#구급차#병원 후송

형사판례

뺑소니, 정말 나쁜 짓입니다!

교통사고를 내고 도주한 피고인에 대한 상고심 판결. 법원의 증인 소환에 불응하는 경우 해당 증인의 경찰 진술조서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 교통사고 후 '도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

#교통사고#도주#증인소환불응#진술조서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현장을 떠났지만 '뺑소니'는 아닌 경우?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가 사고 직후 다른 사람을 운전자라고 허위 신고했더라도, 구급차가 도착해 피해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까지 현장을 떠나지 않고 경찰 조사에도 응했다면 '뺑소니(도주차량)'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교통사고#허위신고#현장이탈#뺑소니

형사판례

뺑소니, 잠깐 돌아왔다고 괜찮을까?

교통사고를 내고 피해자를 구호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가 20분 후 돌아온 경우에도 뺑소니(도주)에 해당한다.

#뺑소니#교통사고#도주#피해자 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