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격처분취소

사건번호:

2001두236

선고일자:

200210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법시험 객관식 문제에 대한 답안선택 기준

판결요지

여러 가지 사회 현상에 대한 법령의 적용이 적절한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사법시험 객관식 시험문제의 특성상 출제의도와 답항선택의 지시사항은 시험문제 자체에서 객관적으로 파악·평가되어야 하므로 특별한 사정도 없이 문언의 한계를 벗어나 임의로 출제자의 숨겨진 주관적 출제의도를 짐작하여 판단할 수 없으나, 그것은 문항에 의하여 명시적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항과 답항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명시적·묵시적으로 진정한 출제의도와 답항선택에 관한 지시사항이 결정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수험생으로서는 위와 같은 명시적·묵시적 지시사항에 따라 문항과 답항의 내용을 상호 비교·검토하여 가장 적합한 하나만을 정답으로 골라야 하는 것이다.

참조조문

구 사법시험령(2001. 3. 31. 대통령령 제17181호로 폐지) 제10조 제2항,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8. 7. 10. 선고 97누13771 판결(공1998하, 2129), 대법원 2001. 4. 10. 선고 99다33960 판결(공2001상, 1076), 대법원 2002. 10. 8. 선고 2001두335, 342, 359 판결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법무부장관 (소송대리인 변호사 배병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12. 20. 선고 2000누197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여러 가지 사회 현상에 대한 법령의 적용이 적절한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사법시험 객관식 시험문제의 특성상 출제의도와 답항선택의 지시사항은 시험문제 자체에서 객관적으로 파악ㆍ평가되어야 하므로 특별한 사정도 없이 문언의 한계를 벗어나 임의로 출제자의 숨겨진 주관적 출제의도를 짐작하여 판단할 수 없으나, 그것은 문항에 의하여 명시적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항과 답항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명시적ㆍ묵시적으로 진정한 출제의도와 답항선택에 관한 지시사항이 결정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수험생으로서는 위와 같은 명시적ㆍ묵시적 지시사항에 따라 문항과 답항의 내용을 상호 비교ㆍ검토하여 가장 적합한 하나만을 정답으로 골라야 하는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문제의 "甲은 乙과 함께 丙의 집에 들어가 절취를 하다가 집주인에게 들키자 이때 甲이 丙을 발로 차고 때려 상처를 입히고 훔친 물건은 놓아둔 채 달아났다. 甲과 乙의 죄책은? (판례에 의함)"이라는 문항에서의 '발로 차고 때려 상처를 입히고'라는 문구를 '상해에 이르지 않고 상대방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폭행'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전제로, 이 문제에 대하여 정답이 없는 것으로 처리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심리미진이나 판단유탈 또는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원고가 인용하는 대법원 1973. 11. 13. 선고 73도1553 판결과 1998. 5. 21. 선고 98도321 판결은 준특수강도죄가 합동범이라는 취지가 아니므로 원심 판단이 위 대법원판결에 어긋난다고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이용우 배기원(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사법시험 객관식 시험 문제와 불합격 처분 취소 소송

사법시험 객관식 문제의 정답에 이견이 있더라도, 평균 수준의 응시자가 문제를 이해하고 답을 고르는 데 문제가 없다면 출제 오류로 볼 수 없다. 또한, 불합격 처분을 받았더라도 이후 시험에 합격하면 이전 불합격 처분 취소를 구할 이익이 없다.

#사법시험#객관식#출제오류#불합격처분

민사판례

사법시험 출제, 어디까지 허용될까? - 시험 출제의 재량권과 그 한계

사법시험 객관식 문제에서 약간 미흡하거나 부정확한 표현이 사용됐더라도, 평균적인 수험생이 문제를 이해하고 정답을 고르는 데 지장이 없다면 출제기관의 재량권 남용이나 일탈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법시험#출제오류#재량권#객관식

일반행정판례

공인중개사 시험문제, 어디까지 봐줄 수 있을까? - 출제 오류와 재량권 남용에 대한 법원의 판단

공인중개사 시험 객관식 문제 출제에서 출제기관의 재량권 남용 여부 판단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법리적 오류가 명백하거나, 평균 수준의 수험생이 문제를 이해하고 정답을 고르는 데 어려움을 줄 정도로 문항이나 답항 구성이 잘못된 경우 출제기관의 재량권 남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출제오류#재량권 남용#객관식 문제

민사판례

국가시험 출제오류와 국가배상책임

사법시험 출제 오류로 불합격 처분을 받았더라도, 출제 담당 공무원에게 명백한 잘못이 없다면 국가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사법시험#출제오류#국가배상책임#객관적 주의의무 위반

일반행정판례

세무사 시험 채점 방식과 출제 범위 논란, 법원의 판단은?

세무사 시험에서 3번의 채점 결과를 평균 내는 방식과 출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시험 문제로 출제한 것이 적법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채점 방식은 문제없고, 출제된 문제 역시 출제 범위 내의 관련 법률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것이므로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세무사 시험#채점 방식#출제 범위#소송

일반행정판례

행정소송에서 법원의 직권조사 범위와 사정판결

법원은 행정소송에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사실이라도 기록에 나타난 범위 내에서는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고심에서 처음으로 사정판결을 주장하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직권조사#사정판결#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