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등

사건번호:

2002다27903

선고일자:

200208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 대한 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약속어음을 발행하는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2] 채무자가 기존 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어음을 발행한 뒤 5개월이 더 지나 그 어음금 청구에 관하여 강제집행을 승낙하는 취지의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주고 채권자가 이를 이용하여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에 관하여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 채무자가 그 채권을 채권자에게 양도한 것과 같이 보아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 함은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로서 그로 인하여 채무자의 소극재산이 적극재산을 초과하게 되거나 채무초과상태가 더 나빠지게 하는 행위를 뜻하고, 따라서 채무자가 이전부터 있는 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약속어음을 발행하는 행위는 소극재산을 증가시키는 행위가 아니므로 그것만으로는 다른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고 보기 어렵다. [2] 채무자가 기존 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어음을 발행한 뒤 5개월이 더 지나 그 어음금 청구에 관하여 강제집행을 승낙하는 취지의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주고 채권자가 이를 이용하여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에 관하여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 채무자가 그 채권을 채권자에게 양도한 것과 같이 보아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 [2] 민법 제40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영일) 【피고,상고인】 오영준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2. 4. 10. 선고 2001나62472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1. 원심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가. 원고가 진형준을 상대로 제기한 구상금 청구소송에서 1993. 2. 2. 진형준은 원고에게 20,536,616원 및 이에 대하여 1992. 3. 25.부터 다 갚을 때까지 연 21%의 비율에 따른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고, 원고는 위 채권 중 1,719,329원을 변제받았다. 나. 진형준은 그의 장모인 피고에게 5,000만 원의 차용금채무를 부담하고 있던 중 1999. 10. 25. 그 변제를 위하여 액면 5,000만 원의 이 사건 약속어음을 발행·교부하였다. 그런데 원고가 2000. 3. 29. 진형준에게 위 구상금채무의 이행을 독촉하자 진형준은 2000. 4. 11. 이 사건 약속어음금 청구에 관하여 강제집행을 승낙하는 취지의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피고에게 주었다. 피고는 이 공정증서에 따라 2000. 4. 21. 진형준의 유일한 적극재산인 대한주택공사에 대한 4,500만 원의 전세금반환채권에 관하여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았고, 이 명령은 2000. 5. 31. 확정되었다. 2. 원심은, 진형준이 위와 같이 그의 장모인 피고에게 이 사건 약속어음을 발행한 뒤 강제집행이 가능한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주어 피고로 하여금 전세금반환채권을 전부받게 한 일련의 행위는 이미 채무초과상태에 있던 진형준이 피고에 대한 채무의 변제에 갈음하여 그의 유일한 재산을 피고에게 양도한 것과 다름없고, 진형준은 채권자인 원고를 해함을 알고 이러한 법률행위를 하였으므로, 원고는 진형준의 이 사건 약속어음 발행행위를 취소하고 그 원상회복을 청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3. 그러나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 함은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로서 그로 인하여 채무자의 소극재산이 적극재산을 초과하게 되거나 채무초과상태가 더 나빠지게 하는 행위를 뜻한다. 따라서 채무자가 이전부터 있는 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약속어음을 발행하는 행위는 소극재산을 증가시키는 행위가 아니므로 그것만으로는 다른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고 보기 어렵다. 한편, 이 사건에서 보면, 진형준은 피고에 대한 차용금채무의 변제를 위하여 이 사건 약속어음을 발행하였다가 그로부터 5개월 더 지난 뒤 그 어음금 청구에 관하여 강제집행을 승낙하는 취지의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주었는 데, 피고가 이 사건 약속어음과 공정증서를 이용하여 진형준의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았다고 하여 이로써 바로 진형준이 전세금반환채권을 피고에게 양도한 것과 같다고 볼 수는 없고, 또 진형준이 피고와 짜고 원고를 해할 의사로 이 사건 약속어음을 발행하였다고 볼 자료도 없다. 그렇다면 원심이 인정한 사실만으로는 진형준의 이 사건 약속어음 발행행위가 원고에 대한 사해행위가 된다고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와 달리 판단한 것은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을 저지른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가 있다. 4.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하고, 주문과 같이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서성(주심) 배기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새로 어음 발행했는데 사해행위라고요?

빚이 많은 회사가 새 어음을 발행해서 다른 채권자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그 어음 발행은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채권자는 자신의 채권액 범위 내에서만 사해행위 취소를 청구할 수 있고, 강제집행이 끝나기 전에는 채무명의(어음 공정증서)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사해행위#어음발행#채권자취소권#원상회복

상담사례

망하는 회사가 발행한 어음, 나중에 문제될 수 있다?! (사해행위)

부도 직전 회사가 대주주에게 새롭게 발행한 약속어음은 기존 채무 변제가 아닌 새로운 채무 발생으로 회사 재정 악화 및 다른 채권자에게 피해를 주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사해행위#약속어음#부실기업#채권자

상담사례

빚 갚으려고 약속어음 써줬는데, 사해행위라고?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재정난으로 발행한 약속어음은 강제집행으로 돈이 지급된 경우에만 사해행위로 볼 수 있으며, 집행 전이면 발행 취소, 집행 후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약속어음#사해행위#강제집행#원상회복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빚을 냈는데, 사해행위일까요?

빚을 갚기 위해 새로운 빚을 얻고, 그 새로운 빚에 대한 담보를 제공했다고 해서 무조건 사해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재산이 줄어들지 않았다면 사해행위로 보기 어렵다.

#사해행위#채무#담보#재산감소

민사판례

빚 갚을 돈 없는 사람이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 갚아주기로 약속하면? 사해행위!

재산이 없는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도록 약속한 공증을 작성해주는 것은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강제집행승낙공정증서#무자력

상담사례

빚 때문에 다른 빚을 만들었는데, 사기라고 할 수 있을까요? - 사해행위 이야기

여러 채권자 중 한 명에게만 빚을 갚기 위해 공정증서를 작성한 것은 단순 채무 변제로, 사해행위가 아니다.

#사해행위#채권#변제#공정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