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

사건번호:

2004다52705

선고일자:

200510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액사건에 있어서 원심변론종결 전 사망한 당사자에 대하여 실시한 판결문의 송달은 위법하여 원칙적으로 무효이고, 따라서 불변기간인 상고기간이 진행될 수 없으므로 추완상고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하나, 단지 상속인들이 제기한 추완상고는 상속인들이 판결문을 송달받은 날로부터 적법한 상고기간 내에 제출된 상고로서 적법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173조 , 제42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망 박대순의 소송수계인 김용문 외 1인 【피고,피상고인】 조규웅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 1. 5. 24. 선고 2000나60936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망 박대순의 소송수계인들이 부담한다. 【이유】 1. 이 사건 추완상고의 적법 여부에 관하여 기록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에서 승소한 원고가 원심 계속중인 2001. 3. 6. 사망하였음에도 이를 간과한 채 원고에 대한 변론기일 소환장을 발송송달의 방법으로 송달하고 변론을 진행하여, 2001. 5. 24.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피고에 대한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하였고, 그 판결의 정본도 역시 원고 망 박대순에게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하였는데, 그 후 망 박대순의 상속인들이 2004. 8. 20.경 현실적으로 위 판결문을 송달받아 2004. 8. 31. 이 사건 추완상고장 및 소송수계신청서를 원심법원에 제출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사망한 자에 대하여 실시한 송달은 위법하여 원칙적으로 무효이고, 따라서 불변기간인 상고기간이 진행될 수 없으므로 추완상고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하고, 단지 이 사건 추완상고는 망 박대순의 상속인들이 판결문을 송달받은 날로부터 적법한 상고기간 내에 제출된 상고로서 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2. 상고이유에 관하여 이 사건 소송수계인들이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는, 제1심에서 승소판결을 받은 망 박대순이 원심 계속중에 사망하였는데도 원심이 이를 간과한 채 피고의 주장만을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망 박대순의 청구를 기각하였는바,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는 취지이나, 이 사건과 같은 소액사건의 항소심 판결에 대하여는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1, 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고를 할 수 있는데 위 주장과 같은 사유는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1, 2호의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므로(다만, 위 사유가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에 해당할 여지가 있음은 별문제이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이강국 김용담(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망한 사람에게 보낸 판결문, 효력 있을까? 소송과 상속, 알아두면 좋은 이야기

소송 중 피고가 사망했는데도 법원이 모르고 사망자에게 판결문을 공시송달한 경우, 그 송달은 무효이며 상속인이 소송을 이어받아(수계) 판결문을 정식으로 송달받기 전까지는 항소 기간이 진행되지 않는다.

#사망자#공시송달#판결#무효

상담사례

빌려준 돈 받으려 소송 걸었는데… 채무자가 사망했다면? 😱

채무자가 소송 제기 후 사망했더라도 상속인이 소장을 받았다면 소송은 상속인을 상대로 유효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대법원 나의 사건 검색에서 누가 소장을 받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채무자 사망#소송#소장 송달#상속인

민사판례

소송 중 사망? 판결 효력은 어떻게 될까요?

소송 당사자가 재판 도중 사망했는데 법원이 이를 모르고 재판을 계속 진행하여 판결을 내린 경우, 그 판결은 무효입니다. 마치 변호사 없이 재판을 받은 것처럼 법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송당사자 사망#판결무효#소송수계#항소심

상담사례

돌아가신 분을 상대로 소송?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feat. 상속인의 추후보완항소)

소송 상대방이 소장 송달 전 사망하면 해당 소송은 무효이므로, 상속인을 상대로 새롭게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사망자 소송#무효#상속인#소송수계

민사판례

소송 중 당사자 사망, 판결 효력은? 상속인의 수계와 상고, 그리고 추인

소송 중 당사자가 사망했는데도 이를 모르고 판결이 선고된 경우, 그 판결은 무효가 아니라 절차상 하자가 있는 것으로, 상속인은 상소를 통해 판결 취소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속인이 사후에라도 상소하면 적법하게 받아들여진다.

#소송#당사자 사망#판결 효력#상속인

민사판례

이미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걸면 어떻게 될까요?

이미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무효이며, 사망자의 상속인이라고 해도 그 소송을 이어받을 수 없습니다. 소송은 살아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사망자 소송#무효#상속인 소송수계 불가#소송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