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법위반

사건번호:

2004도2657

선고일자:

200511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법인에 해당하는지 여부(한정 적극) [2]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압축트럭 청소차를 운전하여 고속도로를 운행하던 중 제한축중을 초과 적재 운행함으로써 도로관리청의 차량운행제한을 위반한 사안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에 따른 처벌대상이 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헌법 제117조, 지방자치법 제3조 제1항, 제9조, 제93조, 도로법 제54조, 제83조, 제86조의 각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국가가 본래 그의 사무의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위임하여 그 사무를 처리하게 하는 기관위임사무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기관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것이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그 고유의 자치사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기관의 일부가 아니라 국가기관과는 별도의 독립한 공법인이므로,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자치사무를 수행하던 중 도로법 제81조 내지 제85조의 규정에 의한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대상이 되는 법인에 해당한다. [2]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압축트럭 청소차를 운전하여 고속도로를 운행하던 중 제한축중을 초과 적재 운행함으로써 도로관리청의 차량운행제한을 위반한 사안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에 따른 처벌대상이 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헌법 제117조 , 지방자치법 제3조 제1항 , 제9조 , 제93조 , 도로법 제54조 , 제83조 , 제86조 / [2] 도로법 제86조 , 지방자치법 제9조 제2항 제2호 (자)목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부산광역시 서구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4. 4. 22. 선고 2003노440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헌법 제117조, 지방자치법 제3조 제1항, 제9조, 제93조, 도로법 제54조, 제83조, 제86조의 각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국가가 본래 그의 사무의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위임하여 그 사무를 처리하게 하는 기관위임사무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기관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것이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그 고유의 자치사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기관의 일부가 아니라 국가기관과는 별도의 독립한 공법인이므로,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자치사무를 수행하던 중 도로법 제81조 내지 제85조의 규정에 의한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는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대상이 되는 법인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 소속 공무원인 공소외인이 압축트럭 청소차를 운전하여 남해고속도로를 운행하던 중 한국도로공사 서부산영업소 진입도로에서 제한축중 10t을 초과하여 위 차량 제3축에 1.29t을 초과 적재 운행함으로써 도로관리청의 차량운행제한을 위반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이 사건 도로법위반 당시 위 공소외인이 수행하고 있던 업무는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자치사무 중 주민의 복지증진에 관한 사무를 규정한 지방자치법 제9조 제2항 제2호 (자)목에서 예시하고 있는 "청소, 오물의 수거 및 처리"에 해당되는 업무라고 할 것이므로 지방자치단체인 피고인은 도로법 제86조의 양벌규정에 따른 처벌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도로법 제86조 소정의 '법인'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배기원 이강국(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방자치단체, 과연 모든 법 위반에 책임을 져야 할까? - 양벌규정과 기관위임사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 불법 개조한 차량을 항만 순찰에 사용한 사건에서, 해당 업무가 국가 위임 사무이므로 지자체는 처벌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

#지방자치단체#양벌규정#기관위임사무#자치사무

형사판례

회사 직원의 교통법규 위반, 회사도 처벌받을까?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직원이 법을 어겼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이 있는데, 이 판례는 회사가 직원의 위법행위를 막기 위해 충분히 노력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단순히 직원의 잘못만으로 회사를 처벌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양벌규정#회사 책임#직원 위법행위#관리감독 의무

형사판례

도로법 위반에 대한 사업주 책임, 어디까지일까? - 차량 명의만으로는 처벌 어려워

도로법 위반 시 차량의 형식적 소유주가 아닌 실질적인 운영자와 그 종업원에게 책임이 있다. 단순히 차량 명의만 갖고 있을 뿐 운영에 관여하지 않은 배우자는 도로법 위반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도로법 위반#차주 책임#실질적 운영자#명의자

일반행정판례

택시 감차, 행정소송 대상 맞아요!

택시회사가 지자체와 맺은 감차 합의를 어길 경우, 지자체는 택시회사의 동의 없이도 강제로 택시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감차 명령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된다.

#택시 감차#합의 불이행#직권 감차#면허 조건

민사판례

내 땅인데, 시에서 도로로 쓰고 있다면? - 사실상 도로 점유에 대한 이야기

주민들이 새마을사업으로 도로를 만들 때 지자체가 상당한 재정 지원을 하고, 그 도로를 공공도로처럼 사용하며 관리도 한다면, 지자체가 그 땅을 점유하고 있다고 본다는 판례입니다.

#지자체#도로점유#사실상 점유#부당이득

상담사례

공무원이 운전 중 사고, 경과실이면 면책될까? 자동차 사고는 다르다!

공무원이 업무 중 자동차 사고를 낸 경우, 경과실이라도 개인 배상 책임을 면할 수 없다.

#공무원#운전 중 사고#경과실#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