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법위반

사건번호:

2004도4302

선고일자:

200410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건축법 제80조 제4호의 '제31조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의 의미 [2]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흙파기를 하던 중 인접 건물에 균열 발생 등의 피해를 발생케 한 경우, 공사시공자가 아닌 건축주에게 건축법 제80조 제4호 위반의 죄책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건축법 제31조 제1항은 공사시공자에게 대지를 조성하거나 건축공사에 수반하는 토지를 굴착하는 경우에 그 굴착부분에 대한 위험발생의 방지 등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으로, 같은 법 제32조 제1항은 일정 규모 이상의 대지에 건축을 하는 건축주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지 안에 조경 등의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으로, 같은 법 제80조 제4호는 이러한 의무를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를 처벌하는 규정으로 각 보아야 할 것이므로, 같은 법 제80조 제4호의 '제31조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는 '제31조의 규정에 위반한 공사시공자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2]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흙파기를 하던 중 인접 건물에 균열 발생 등의 피해를 발생케 한 경우, 공사시공자가 아닌 건축주에게 건축법 제80조 제4호 위반의 죄책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건축법 제31조 제1항 , 제32조 제1항 , 제80조 제4호 / [2] 건축법 제31조 제1항 , 제80조 제4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4. 6. 23. 선고 2004노80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건축법 제2조 제1항 제12호는 건축주를 '건축물의 건축ㆍ대수선, 건축설비의 설치 또는 공작물의 축조에 관한 공사를 발주하거나 현장관리인을 두어 스스로 그 공사를 행하는 자'로, 같은 항 제16호는 공사시공자를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4호의 규정에 의한 건설공사를 행하는 자'로 각 정의하여 건축주와 공사시공자를 구분하고 있고, 같은 법 제31조 제1항에서는 "공사시공자는 대지를 조성하거나 건축공사에 수반하는 토지를 굴착하는 경우에는 그 굴착부분에 대하여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위험발생의 방지, 환경의 보존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한 후 당해 공사현장에 그 사실을 게시하여야 한다.", 같은 법 제32조 제1항에서는 "면적 200㎡ 이상인 대지에 건축을 하는 건축주는 용도변경 및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기준에 따라 대지 안에 조경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각 규정하는 한편, 같은 법 제80조 제4호에서는 "제31조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 및 건축시공자를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각 조항의 규정 형식과 그 구성요건의 내용 등에 비추어 보면 건축법 제31조 제1항은 공사시공자에게 대지를 조성하거나 건축공사에 수반하는 토지를 굴착하는 경우에 그 굴착부분에 대한 위험발생의 방지 등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으로, 같은 법 제32조 제1항은 일정 규모 이상의 대지에 건축을 하는 건축주에게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지 안에 조경 등의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으로, 같은 법 제80조 제4호는 이러한 의무를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를 처벌하는 규정으로 각 보아야 할 것이므로, 같은 법 제80조 제4호의 '제31조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는 '제31조의 규정에 위반한 공사시공자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부산 남구 대연동 888-7 소재 철근콘크리트조 지하 1층 지상 11층 연면적 2,131.84㎡의 건축공사의 건축주로서 2003. 7. 10. 위 공사를 착공하여 토지를 굴착함에 있어 인접 건물 등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하여야 함에도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흙파기를 하던 중 인접 건물에 균열 발생 등의 피해를 발생케 하였다는 이 사건 주위적 공소사실에 대하여, 건축법 제80조 제4호의 '제31조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 및 공사시공자'는 '제31조의 규정에 위반한 공사시공자 또는 제32조의 규정에 위반한 건축주'로 해석하여야 하므로 건축주에 불과한 피고인은 '제31조의 규정에 위반한 공사시공자'가 아닌 이상 위 공소사실은 죄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하여 위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의 판단을 한 제1심의 결론을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건축법 제31조 제1항, 제80조 제4호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한편, 검사는 원심판결 중 이 사건 예비적 공소사실에 대한 부분에 대하여서도 불복한다는 취지의 상고장을 제출하였음에도 상고이유서에서 그 부분에 관한 상고이유를 기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상고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이강국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균열 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 도급인의 책임 범위

건물 신축 공사 중 하도급 업체의 과실로 인접 건물에 피해가 발생했을 때, 도급인(건물주)이 단순히 공정 감독만 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공사 지휘·감독을 했다면, 도급인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건축공사#도급인#사용자책임#지휘감독

민사판례

건물 신축공사로 인한 인근 건물 피해, 배상 책임은 누구에게?

건설공사로 인근 건물에 피해를 준 경우, 공사 관계자는 책임을 져야 하지만, 피해 건물의 노후화 등을 고려하여 배상액을 정해야 한다. 또한, 법원은 관련 법률(환경정책기본법) 적용 여부를 당사자에게 충분히 알리고 의견을 들어야 한다.

#건물 신축공사#인근 건물 피해#배상 판결 파기 환송#석명 의무 위반

민사판례

옆집 공사 때문에 우리 집에 금이 갔어요! 건물주 책임일까요?

건축주가 일부 건축자재를 제공하고, 안전 조치를 요청하고, 설계 변경을 요구했더라도, 시공사의 부실공사로 인한 인접 건물 피해에 대한 건축주의 배상 책임은 없다.

#건축주#손해배상 책임 없음#부실공사#도급인

민사판례

재개발조합과 시공사는 동업자일까? 아파트 공사 중 발생한 피해, 누가 책임져야 할까?

1996년 6월 30일 이전에 시작된 재개발 사업에서 시공사의 잘못으로 주변 건물에 피해가 발생했을 때, 재개발조합에도 책임이 있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단순히 시공사가 조합원으로 참여하고 지분도급제 방식을 채택했다는 사실만으로 조합과 시공사가 '공동사업자' 또는 '조합' 관계라고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조합에 책임을 물릴 수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재개발#시공사 불법행위#조합 책임#공동사업자

민사판례

회사 대표도 건물 공사 피해 책임져야 할까?

회사 대표이사는 회사 업무를 수행하면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회사와 함께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단순히 회사가 책임진다는 것 뿐 아니라, 대표이사 개인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판례에서는 건물 신축공사 중 인접 건물에 피해를 준 경우, 회사 대표이사의 과실 여부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책임을 부정한 원심 판결을 뒤 overturn했다.

#대표이사 손해배상책임#건물 신축공사#과실#민법 750조

민사판례

공사장 옆집, 무너지면 누구 책임일까? - 공사 감리자의 책임

건물 신축 공사 과정에서 감리자가 터파기 공사를 제대로 감독하지 않아 인접 건물에 피해를 입힌 경우, 감리자에게도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

#부실공사#감리#손해배상#터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