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시설입지결정및고시처분취소

사건번호:

2004두14229

선고일자:

200505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일 처리능력이 100t 이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입지결정·고시처분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에 있어서 인근 주민들의 원고적격

판결요지

행정처분의 직접 상대방이 아닌 제3자라 하더라도 당해 행정처분으로 인하여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을 침해당한 경우에는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그 당부의 판단을 받을 자격이 있다 할 것이고, 여기에서 말하는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이라 함은 당해 처분의 근거 법규 및 관련 법규에 의하여 보호되는 개별적·직접적·구체적 이익이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이하 '환경영향평가법'이라 한다), 같은법시행령, 구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2004. 2. 9. 법률 제71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폐촉법'이라 한다), 같은법시행령의 각 관련 규정에 의하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기관이 1일 처리능력이 100t 이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폐촉법에 따른 환경상 영향조사 대상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도 해당하므로 폐촉법령뿐만 아니라 환경영향평가법령도 위와 같은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폐기물소각시설 설치계획 입지결정·고시처분의 근거 법령이 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위 폐기물처리시설설치계획입지가 결정·고시된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위 처분의 근거 법규인 환경영향평가법 또는 폐촉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법률상 이익이 있으면 위 처분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 원고적격이 있다.

참조조문

구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2004. 2. 9. 법률 제71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 제10조 , 제17조 ,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17조, 제20조,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 제4조 ,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시행령 제2조 , 행정소송법 제12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5. 3. 11. 선고 2003두13489 판결(공2005상, 596)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포항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제식)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4. 11. 5. 선고 2004누1255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2003. 9. 8. 포항시 남구 대송면 옥명리 200-1 외 2필지상에 일반폐기물소각시설(소각용량 : 200t/일 × 1기)을 설치하는 내용으로 폐기물소각시설 설치계획입지를 결정·고시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행정처분의 직접 상대방이 아닌 제3자의 경우에도 당해 행정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는 경우에는 원고적격이 인정된다는 전제하에, 피고가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2004. 2. 9. 법률 제71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폐촉법'이라 한다) 제17조 제1항 소정의 주변영향지역을 결정·고시하지 않고 있고, 원고들은 위 소각시설 예정지의 부지경계선으로부터 300m 밖에 있는 지역의 주민들로서 원고들의 거주지역이 위 폐기물소각시설 설치사업으로 인하여 환경상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정되는 지역이라는 점을 인정하기 어렵거나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이 사건 소는 원고적격 없는 자에 의하여 제기된 소로서 부적법하다는 이유로 이를 각하하였다. 2. 행정처분의 직접 상대방이 아닌 제3자라 하더라도 당해 행정처분으로 인하여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을 침해당한 경우에는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그 당부의 판단을 받을 자격이 있다 할 것이고, 여기에서 말하는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이라 함은 당해 처분의 근거 법규 및 관련 법규에 의하여 보호되는 개별적·직접적·구체적 이익이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이하 '환경영향평가법'이라 한다), 같은법시행령, 폐촉법, 같은법시행령의 각 관련 규정에 의하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기관이 1일 처리능력이 100t 이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폐촉법에 따른 환경상 영향조사 대상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도 해당하므로 폐촉법령뿐만 아니라, 환경영향평가법령도 위와 같은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폐기물소각시설 설치계획 입지결정·고시처분의 근거 법령이 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입지가 결정·고시된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위 처분의 근거 법규인 환경영향평가법 또는 폐촉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법률상 이익이 있으면 위 처분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 원고적격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원심에서 원고들은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므로 폐촉법 이외에도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하여서도 이 사건 처분의 취소를 구할 원고적격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위 법에 따라 작성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갑 제9호증의 1, 2)까지 증거로 제출하고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원고들에게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원고적격이 있는지 여부를 따졌어야 함에도 이 점에 관하여는 아무런 판단도 하지 아니한 채 위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근거로 원고들에게 폐촉법에 따른 원고적격이 있는지 여부만을 판단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심리미진 또는 판단유탈로 인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윤재식(주심) 강신욱 김영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쓰레기 소각장 때문에 속상하시다고요? 소송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쓰레기 소각장 예정지에서 300m 이상 떨어져 사는 주민도 소각장 설치로 인해 환경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다면 소송을 제기할 자격(원고적격)이 인정될 수 있다.

#쓰레기 소각장#원고적격#300m#환경피해

일반행정판례

우리 동네 화장장, 설치 괜찮을까? 행정소송과 주민 권리 이야기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려면 처분의 직접 상대방이 아니더라도 그 처분으로 인해 법률상 보호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이 침해되어야 소송을 제기할 자격(원고적격)이 인정됩니다. 이 판례는 상수원보호구역 변경과 화장장 설치 관련 도시계획 결정에 대한 주민들의 소송에서, 상수원보호구역 변경은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법률상 이익 침해가 없어 원고적격이 없지만, 화장장 설치는 관련 법률에 따라 주민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있으므로 원고적격을 인정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원고적격#화장장#도시계획#상수원보호구역

일반행정판례

우리 동네 공장, 함부로 지을 수 없다! 행정소송으로 주민의 권리 찾기

여러 개의 작은 개발 사업이 서로 붙어서 진행될 경우, 각각의 사업 규모가 작더라도 전체적으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전환경성검토협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그 영향권 내 주민들은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있다.

#연접개발#사전환경성검토협의#주민소송#원고적격

일반행정판례

발전소 건설과 주민들의 환경권, 누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 **안**에 사는 주민들은 발전소 건설로 인한 환경 피해를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있지만, 대상 지역 **밖** 주민들은 그럴 자격이 없다.

#양수발전소#환경영향평가#원고적격#소송

상담사례

우리 동네 소각장, 반대하면 불법일까요? 🤔

소각장 설치 반대 등 집단행동은 목적의 정당성보다 사회 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방법과 정도가 중요하며, 폭력적인 행위는 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소각장#반대#집단행동#상당성

일반행정판례

쓰레기 소각장 설치, 누가 승인해야 할까요?

광주 상무지구에 쓰레기 소각장을 설치하려는데, 영산강 환경관리청장의 승인을 받은 것이 적법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관련 법률에 따라 환경부장관만이 승인 권한을 가지므로, 환경관리청장의 승인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쓰레기 소각장#설치 승인#환경부장관#영산강 환경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