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5다10173
선고일자:
2005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압류명령의 발령 당시 압류의 대상인 공사대금채권 중에서 압류금지채권액이 얼마인지를 도급계약서 또는 하도급계약서 그 자체의 기재에 의하여 형식적·획일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 압류금지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건설산업기본법 제88조 및 같은법시행령 제84조에서 건설업자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도급금액 중 당해 공사의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노임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압류를 금지한 것은 근로자의 생존권을 최소한도로 보장하려는 헌법상의 사회보장적 요구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압류명령은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라 할 것이지만, 같은법시행령 제84조 제1항, 제2항에서 압류가 금지되는 노임채권의 범위를 같은 법 소정의 건설공사의 도급금액 중 산출내역서에 기재된 노임을 합산한 것으로서 위 건설공사의 발주자(하도급의 경우에는 수급인을 포함)가 그 산정된 노임을 도급계약서 또는 하도급계약서에 명시한 금액에 국한됨을 분명히 하고 있는 이상 도급계약서 또는 하도급계약서에서 노임액 부분과 그 밖의 공사비 부분을 구분하지 아니함으로써 압류명령의 발령 당시 압류의 대상인 당해 공사대금채권 중에서 압류금지채권액이 얼마인지를 도급계약서 그 자체의 기재에 의하여 형식적·획일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 공사대금채권 전부에 대하여 압류금지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
건설산업기본법 제88조 ,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84조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대주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울 담당변호사 이경우 외 6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05. 1. 21. 선고 2004나305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본다. 건설산업기본법 제88조 및 같은법시행령 제84조에서 건설업자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도급금액 중 당해 공사의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노임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압류를 금지한 것은 근로자의 생존권을 최소한도로 보장하려는 헌법상의 사회보장적 요구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압류명령은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라 할 것이지만, 같은법시행령 제84조 제1, 2항에서 압류가 금지되는 노임채권의 범위를 같은 법 소정의 건설공사의 도급금액 중 산출내역서에 기재된 노임을 합산한 것으로서 위 건설공사의 발주자(하도급의 경우에는 수급인을 포함)가 그 산정된 노임을 도급계약서 또는 하도급계약서에 명시한 금액에 국한됨을 분명히 하고 있는 이상 도급계약서 또는 하도급계약서에서 노임액 부분과 그 밖의 공사비 부분을 구분하지 아니함으로써 압류명령의 발령 당시 압류의 대상인 당해 공사대금채권 중에서 압류금지채권액이 얼마인지를 도급계약서 그 자체의 기재에 의하여 형식적·획일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 공사대금채권 전부에 대하여 압류금지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이 사건 공사의 하도급인인 피고와 하수급인인 소외 회사 사이의 이 사건 각 하도급계약서에 노임이 별도로 구분, 명시되지 아니한 이상 위 건설산업기본법 및 같은법시행령 소정의 압류금지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위 법리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같은 법 소정의 압류금지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본다. 기록을 살펴보아도, 피고가 원심 변론종결시까지 이 사건 하도급계약서 제22조의 규정을 근거로 피고가 소외 회사의 근로자들에 대한 노임 상당의 공사대금을 그 근로자들에게 직접 지급하여 동액 상당의 공사대금채무가 소멸하였다는 주장을 하였다고 볼 자료가 없고, 건설산업기본법 제88조 소정의 압류금지규정에 기한 피고의 항변 속에 위 하도급계약서 제22조의 규정에 기한 채무소멸의 항변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판단유탈 또는 석명권 불행사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이용우(주심) 이규홍 양승태
민사판례
건설회사가 owed받은 공사대금 중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 부분은 압류가 금지되며, 이를 어긴 압류 및 추심명령은 무효이다.
민사판례
건설공사 대금 중 근로자 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은 압류할 수 없다는 건설산업기본법 조항의 효력과 법원의 석명 의무에 대한 판례입니다. 건설사의 공사대금을 다른 채권자가 압류했더라도, 근로자 임금 부분은 보호받아야 하며, 법원은 이 부분을 명확히 심리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건설공사가 중간에 해지되고 공사비 정산이 이루어진 경우, 근로자들의 임금(노임) 중 압류가 금지되는 금액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기존에 받은 기성금을 고려하여, 최종 정산된 공사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하수급인은 원칙적으로 도급인에게 직접 하도급대금을 청구할 수 없으며, 도급인에 대한 공사대금 채권 압류 금지 규정은 하수급인이 고용한 근로자의 임금까지 보호하지 않는다.
상담사례
건설 현장 임금 체불 시, 원도급사 부도 등으로 직접 지급이 어려운 경우 발주처에 미지급 공사대금 중 임금에 해당하는 금액 지급을 청구할 수 있고, 거부 시 소송을 통해 채권 압류 등으로 회수 가능하다.
민사판례
건설공사 하도급 과정에서 발생한 공사대금 채권을 가압류한 경우, 가압류 결정 이후 지급된 선급금은 가압류의 효력을 벗어날 수 없으며, 노임채권 범위는 정확한 산정이 필요하다는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