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무효로인한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

사건번호:

2005다14861

선고일자:

200506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재판상 화해에 있어서 법원에 계속중인 다른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내용의 화해조서가 작성된 경우, 그 화해조서의 효력

판결요지

재판상 화해에 있어서 법원에 계속중인 다른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내용의 화해조서가 작성되었다면 당사자 사이에는 법원에 계속중인 다른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할 것이므로, 다른 소송이 계속중인 법원에 취하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상 그 소송이 취하로 종결되지는 않지만 위 재판상 화해가 재심의 소에 의하여 취소 또는 변경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소송의 원고에게는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게 되어 그 소는 각하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20조 , 제24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2. 3. 9. 선고 81다1312 판결(공1982, 433), 대법원 1997. 9. 5. 선고 96후1743 판결(공1997하, 3101)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북부지법 2005. 2. 2. 선고 2004나3800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이 사건 주위적 청구 및 예비적 청구에 관한 소를 모두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직권으로 본다. 재판상 화해에 있어서 법원에 계속중인 다른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내용의 화해조서가 작성되었다면 당사자 사이에는 법원에 계속중인 다른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할 것이므로, 다른 소송이 계속중인 법원에 취하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상 그 소송이 취하로 종결되지는 않지만 위 재판상 화해가 재심의 소에 의하여 취소 또는 변경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소송의 원고에게는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게 되어 그 소는 각하되어야 한다( 대법원 1982. 3. 9. 선고 81다1312 판결, 1997. 9. 5. 선고 96후1743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ㆍ피고 사이의 서울고등법원 2004나63127 사건에 관하여 이 사건 소송의 원심판결선고 이후인 2005. 2. 22. 작성된 화해조서에 원고가 이 사건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는 화해조항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원고에게는 이 사건 소송에 관한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게 되었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게 되었으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기로 하되, 민사소송법 제437조 제1호에 의하여 이 법원이 직접 판결을 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주위적 청구 및 예비적 청구에 관한 소를 모두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패소자인 원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강국(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화해하고도 다시 소송? 그럼 화해는 어떻게 되나요? 🤔

화해 후 이전 분쟁과 동일한 내용으로 다시 소송을 제기하면, 화해를 유지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묵시적 해제로 화해의 효력이 상실된다.

#화해#소송#화해계약#계약해제

민사판례

이미 해결된 문제로 또 소송을 걸면 어떻게 될까?

A회사가 B에게 계약금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미 다른 소송에서 A의 채권과 B의 계약금 반환 채권을 상계 처리한 것이 확인되어 B의 반소는 효력이 없다는 판결.

#상계#반소#소의 이익#기판력

상담사례

대여금 소송, 법원에서 합의할까? 소송 취하 후 합의할까?

대여금 소송 중 합의 시, 법원에서 하는 재판상 화해는 확정판결과 같은 강력한 효력을 지녀 합의 이행의 확실성을 보장하지만, 소송 취하 후 하는 민법상 화해는 자유로운 합의가 가능하나 다시 소송을 제기해야 할 수도 있어 일반적으로 재판상 화해가 유리하다.

#대여금 소송#재판상 화해#민법상 화해#화해조서

민사판례

항소 취하 합의와 청구 변경, 그리고 화해계약의 효력

소송 당사자 간에 항소 취하 합의가 있었더라도 항소취하서를 법원에 제출하기 전에 청구를 변경할 수 있으며, 화해계약은 분쟁 대상인 법률관계 자체에 대한 착오를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

#항소취하#청구변경#화해계약#착오

민사판례

소송에서 이기려면 절차도 중요해요! - 각하판결과 상고

이미 확정된 판결의 내용과 반대되는 소송을 제기했을 때, 법원은 확정판결의 효력(기판력)을 존중해야 합니다. 또한, 원고만 상고한 경우, 상고심 법원은 원고에게 더 불리한 판결을 내릴 수 없습니다(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확정판결#기판력#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상고

민사판례

조건부 합의 후 소송 취하, 그 법적 효력은?

소송 당사자 간에 소송을 취하하기로 합의했더라도, 그 합의에 조건이 붙어 있고 그 조건이 아직 이행되지 않았다면 소송은 계속 진행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소취하#합의#소송 유지#조건 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