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

사건번호:

2005다25779

선고일자:

200510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송달받을 사람이 자신의 근무장소를 송달받을 장소로 신고한 경우에도 민사소송법 제186조 제2항의 근무장소에서의 보충송달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186조 제2항은 근무장소에서 송달받을 사람을 만나지 못한 때에는 그를 고용하고 있는 사람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나 피용자 그 밖의 종업원으로서 사리를 분별할 지능이 있는 사람이 서류의 수령을 거부하지 아니하면 그에게 서류를 교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근무장소에서의 보충송달에 관한 이 규정은 본래 원칙적인 송달장소인 송달받을 사람의 주소·거소·영업소 또는 사무소(이하 '주소 등'이라 한다)에서 송달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주소 등의 송달장소를 알 수 없을 때에 보충적인 송달장소인 근무장소, 즉 송달받을 사람이 고용·위임 그 밖에 법률상 행위로 취업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주소 등에서 송달하는 경우( 민사소송법 제183조 제2항)뿐 아니라 송달받을 사람이 자신의 근무장소를 송달받을 장소로 신고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86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4. 12. 선고 2004나4957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1. 민사소송법 제186조 제2항은 근무장소에서 송달받을 사람을 만나지 못한 때에는 그를 고용하고 있는 사람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나 피용자 그 밖의 종업원으로서 사리를 분별할 지능이 있는 사람이 서류의 수령을 거부하지 아니하면 그에게 서류를 교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근무장소에서의 보충송달에 관한 이 규정은 본래 원칙적인 송달장소인 송달받을 사람의 주소·거소·영업소 또는 사무소(이하 '주소 등'이라 한다)에서 송달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주소 등의 송달장소를 알 수 없을 때에 보충적인 송달장소인 근무장소, 즉 송달받을 사람이 고용·위임 그 밖에 법률상 행위로 취업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주소 등에서 송달하는 경우( 민사소송법 제183조 제2항)뿐 아니라 송달받을 사람이 자신의 근무장소를 송달받을 장소로 신고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2. 기록에 의하면, 피고의 소송대리인은 상고장에 피고가 근무하고 있는 제이유네트워크 주식회사의 소재지인 '서울 강남구 (주소 생략)빌딩 6층'을 송달장소로 기재하여 상고를 제기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이로써 위 근무장소를 피고의 송달장소로 신고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한편 이 사건 상고기록접수통지서는 2005. 6. 3. 위 근무장소인 '서울 강남구 (주소 생략)'에서 제이유네트워크 주식회사의 직원인 '소외인 1(피고는 송달받은 사람이 '소외인 2'이라고 주장하나, 이는 '소외인 1'을 잘못 읽은 것으로 보인다.)'에게 송달된 사실이 인정되므로 이 사건 상고기록접수통지서는 2005. 6. 3. 피고 소송대리인이 송달장소로 신고한 피고의 근무장소에서 그 고용주의 피용자 내지 종업원에게 적법하게 송달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이 사건 항소장에도 같은 곳을 송달장소로 기재하여 항소를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항소심에서 최초로 실시한 석명준비명령의 송달도 그 곳에서 적법하게 송달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피고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도과한 2005. 6. 29.에야 이 사건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였고, 피고가 제출한 상고장에도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음은 기록상 명백하므로, 결국 피고의 이 사건 상고는 민사소송법 제429조에 따라 기각을 면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규홍(재판장) 박재윤 양승태(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직원에게 소송 걸려면 회사로 서류 보내도 될까요?

피고의 주소 등을 모를 때 민사소송법 183조 2항에 따라 회사(근무장소)로 소송 서류를 보낼 수 있지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근무(정규직 등)를 하는 경우에만 유효하며, 단기 계약직이나 비상근직 등은 불가능할 수 있다.

#소송서류#근무장소#지속적 근무#민사소송법 183조 2항

민사판례

회사 공장, 사장님 개인에게 서류 송달해도 될까요? (소송 서류 송달 장소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를 경영하는 개인에게 법원 서류를 보낼 때, 그 회사의 공장은 적법한 송달장소가 아닙니다. 개인에 대한 송달은 그 개인이 직접 운영하는 사무실이나 영업소로 해야 합니다.

#송달#회사#공장#개인

민사판례

집에 다른 사람이 서류 받았는데, 난 못 봤는데… 송달 효력 있을까?

소송 서류를 받을 사람이 집에 없을 때, 같이 사는 가족이나 동거인이 대신 받으면 (그 사람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지능이 있다면) 서류가 정상적으로 전달된 것으로 인정된다. 실제로 소송 당사자가 서류 내용을 몰랐다고 해도 송달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송달#동거인#수령#효력

민사판례

법원, 우체국에서의 보충송달은 안된다!

소송 관련 서류는 법에 정해진 장소(집, 회사 등)에서만 전달해야 효력이 있습니다. 법원이 지정한 장소가 아닌 우체국에서 동거인에게 전달한 것은 무효입니다.

#송달#보충송달#무효#우체국

상담사례

옆 사무실 직원이 내 소송 서류를 받았다?! 괜찮을까요?

옆 사무실 직원이 평소 내 사무를 돕는 역할을 해왔다면 그 직원이 소송 서류를 받아도 적법한 송달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분쟁 예방을 위해 중요 서류는 직접 수령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소송서류#송달#사무보조#대리수령

민사판례

같은 사무실 다른 변호사 사무원이 소송 서류 받으면 적법한 송달일까?

소송 관련 서류를 송달받을 변호사와 같은 사무실을 쓰는 다른 변호사의 사무원이 해당 서류를 받았을 경우, 이를 보충송달로 볼 수 있는지 여부

#송달#보충송달#묵시적 위임#사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