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대금반환

사건번호:

2005다34377

선고일자:

2007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동불법행위의 성립 요건 [2] 법률상 금지된 유사수신행위에 투자를 권유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입게 한 경우,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760조 / [2] 민법 제760조,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다41749 판결(공2000상, 1172), 대법원 2000. 9. 29. 선고 2000다13900 판결(공2000하, 2201), 대법원 2001. 5. 8. 선고 2001다2181 판결(공2001하, 1353), 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2다35850 판결(공2003상, 616),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5다47014, 47021, 47038 판결(공2006상, 31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5. 6. 선고 2004나4356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수인이 공동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하는 민법 제760조의 공동불법행위에 있어서는 행위자 상호간의 공모는 물론 공동의 인식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객관적으로 그 공동행위가 관련 공동되어 있으면 족하고 그 관련 공동성 있는 행위에 의하여 손해가 발생함으로써 이에 대한 배상책임을 지는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한다 (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다41749 판결, 2006. 1. 26. 선고 2005다47014, 47021, 47038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러한 사실들에 비추어 보면 피고는 원고들이 이 사건 각 금원을 소외 주식회사(이하 ‘ 소외 회사’라 한다)에 투자하더라도 소외 회사의 수익구조상 약정한 대로의 원리금 보장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외 회사 임원들의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서 금지하고 있는 유사수신행위에 가담하여 원고들에게 이 사건 투자를 권유함으로써 원고들에게 이 사건 금원 상당의 손해를 입게 하였다고 할 것이어서, 피고는 원고들에게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2.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사건에서 과실상계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 할 것인데( 대법원 1999. 8. 20. 선고 97다15746 판결, 2006. 2. 24. 선고 2005다29207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심이 원고들의 과실비율을 30%로 산정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과실상계에 관한 사실을 오인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는 사람에게 투자 권유? 그래도 불법일 수 있어요! 유사수신행위, 어디까지 처벌될까?

허가받지 않고 원금 이상의 수익을 보장하며 불특정 다수에게 투자금을 모으는 유사수신행위는 불법이다. 지인에게만 투자 권유를 했더라도, 누구든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간주되어 유사수신행위에 해당한다. 모집 대상이 특정 직업군으로 제한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유사수신행위#불특정다수#투자사기#원금보장

민사판례

증권 투자 권유로 손실 발생 시 증권회사 직원의 책임은?

증권회사 직원이 불법적인 이익보장을 약속하며 투자를 권유했더라도, 투자자가 손실을 봤다고 해서 무조건 직원의 불법행위 책임이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자의 경험, 투자 규모, 위험성에 대한 설명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증권투자#불법행위#손실책임#투자자책임

상담사례

증권회사 직원 말 듣고 투자 망했어요! 손해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

증권사 직원의 투자 권유로 손실을 입더라도, 직원의 위법행위 (투자자 상황 고려 부족, 위험성 미고지 등) 여부에 따라 배상 가능성이 결정된다.

#투자 손실#손해배상#증권회사 책임#고객 보호 의무

민사판례

투자 권유 믿었다가 손해봤는데… 누구 책임일까요?

투자신탁회사는 정당한 절차 없이 수익을 보장한다는 약속을 할 수 없으며, 이를 어기고 투자자에게 손실을 입힌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특히, 투자자의 평소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투자자가 안전한 상품에 투자했을 가능성을 인정해야 한다.

#투자신탁#불법 수익보장#손해배상#투자자 보호

민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잘못된 투자 권유, 누구 책임일까요?

증권회사 직원이 투자 손실을 보전해주겠다는 불법적인 약속을 하고 투자를 권유하여 추가 손실이 발생한 경우, 증권회사는 직원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투자손실보전#불법행위#증권회사 책임#일임매매

민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잘못된 투자 권유로 손실을 봤다면?

증권회사 직원이 투자자에게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듯한 잘못된 권유를 하여 투자 손실이 발생한 경우, 증권회사는 투자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집니다. 단, 단순히 투자 권유를 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배상 책임이 발생하지 않고, 권유 행위가 투자자의 올바른 판단을 방해했는지, 투자자의 상황에 비해 과도한 위험을 부담시켰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증권회사#투자권유#손실#배상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