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대금

사건번호:

2005다69199

선고일자:

200603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급사업자와 원사업자 사이의 하도급계약이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 당시에 체결되었으나 하도급공사대금의 직불합의가 위 법률의 개정 이후에 성립된 경우, 위 직불합의의 요건 구비 여부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할 법률(=직불합의 당시 시행되던 법률)

판결요지

수급사업자와 원사업자 사이의 하도급계약이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 20. 법률 제71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에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수급사업자로 하여금 발주자에 대하여 하도급대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게 하는 직불합의가 2004. 1. 20. 법률 제7107호로 개정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2. 31. 법률 제73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에 성립되었다면, 그 직불합의가 하도급공사계약상의 공사대금 지급에 관한 것이기는 하나,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 대해 하도급공사대금의 직접 지급을 구할 수 있는 권리관계는 직불합의라는 별개의 법률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직불합의의 요건이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행위시의 법률인 신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 20. 법률 제71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 제2항,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2. 31. 법률 제73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 제2항,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2004. 4. 19. 대통령령 제183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윈스틸 (소송대리인 변호사 선병욱) 【피고, 피상고인】 진한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충정 담당변호사 장용국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0. 27. 선고 2004나781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주된 상고이유의 요지는, 이 사건과 같이 수급사업자(하수급인)와 원사업자(원수급인) 사이의 하도급계약 체결시와 발주자(도급인)가 수급사업자에게 하도급공사대금을 직접 지급하기로 하는 직불합의시에 각 시행되던 직불합의의 요건을 정한 법률의 규정이 다른 경우에는 하도급계약 체결시에 시행되던 법률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직불합의시 시행되던 법률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것이다. 2. 살피건대,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 20. 법률 제71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하도급법’이라 한다) 제14조 제1항에서는 “발주자는 원사업자의 파산·부도 등의 이유로 원사업자가 하도급대금을 지급할 수 없는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 등 대통령령에서 정하는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수급사업자가 제조·수리 또는 시공한 분에 상당하는 하도급대금을 해당 수급사업자에게 직접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제2항에서는 “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발주자의 원사업자에 대한 대금지급채무와 원사업자의 수급사업자에 대한 하도급대금 지급채무는 그 범위 안에서 소멸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1999. 3. 31. 대통령령 제16222호로 개정된 것) 제4조에서는 법 제1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발주자가 수급사업자에게 하도급대금을 직접 지급하여야 하는 때의 하나로서 “발주자가 하도급대금을 직접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한다는 뜻과 그 지급방법 및 절차에 관하여 발주자·원사업자 및 수급사업자가 합의한 때”를 규정하고 있고, 한편 2004. 1. 20. 법률 제7107호로 개정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4. 12. 31. 법률 제73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과 같다, 이하 ‘신 하도급법’이라 한다)은 제14조 제1항에서, “발주자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로서 수급사업자가 제조·수리 또는 시공한 분에 상당하는 하도급대금의 직접 지급을 요청한 때에는 해당 수급업자에게 직접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제2호에서 그 사유의 하나로 “발주자가 하도급대금을 직접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하기로 발주자·원사업자 및 수급사업자 간에 합의한 경우”를 들고 있으며, 제2항에서는 “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발주자의 원사업자에 대한 대금지급채무와 원사업자의 수급사업자에 대한 하도급대금 지급채무는 그 범위 안에서 소멸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어, 수급사업자의 발주자에 대한 하도급대금 직접 청구의 요건으로서의 직불합의에 관한 명문상의 표현이 구 하도급법과는 다소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수급사업자와 원사업자 사이의 하도급계약이 구 하도급법 시행 당시에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수급사업자로 하여금 발주자에 대하여 하도급대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게 하는 직불합의가 신 하도급법 시행 당시에 성립되었다면, 그 직불합의가 하도급공사계약상의 공사대금 지급에 관한 것이기는 하나,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 대해 하도급공사대금의 직접 지급을 구할 수 있는 권리관계는 직불합의라는 별개의 법률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직불합의의 요건이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행위시의 법률인 신 하도급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원고와 피고 사이의 하도급공사계약은 구 하도급법이 시행되던 2004. 1. 9. 체결되었으나, 원고와 피고 및 발주자인 비엠씨종합개발 주식회사 사이의 직불합의는 신 하도급법이 시행되던 2004. 5. 31.경 내지 같은 해 6. 23.경 이루어진 이 사건에 신 하도급법을 적용하여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적용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원고가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 2002. 11. 22. 선고 2001다35785 판결과 대법원 2003. 4. 22. 선고 2001다20363 판결은 모두 직불합의가 구 하도급법 시행 당시에 성립된 것으로서 사안을 달리하는 것이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가 적절하지 아니하고, 또한 신 하도급법의 적용이 정당하다고 판단한 이상 이 사건에 구 하도급법이 적용됨을 전제로 하는 나머지 상고이유는 더 나아가 살펴 볼 필요 없이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고현철 양승태(주심)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직접 지급, 언제부터 적용될까?

하도급법 개정 이전에 체결된 계약에는 개정된 법이 아니라 이전 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발주자가 하도급 업체에 대금을 직접 지급해야 하는 의무도 이전 법률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하도급대금#직접지급#법률개정#소급적용

상담사례

옛날 하도급 계약, 새 법 적용될까요? (feat. 직접지급)

하도급법 개정으로 발주자의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의무가 강화되었지만, 개정 이전 계약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아 계약 당시 법률이 적용된다.

#하도급#직접지급#법 개정#소급적용

민사판례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 언제 효력 발생할까?

하도급 대금을 발주자가 하도급 업체에 직접 지급하기로 합의했더라도, 실제 하도급 업체가 공사를 하고 대금 지급을 요청해야 발주자의 지급 의무와 원사업자에 대한 채무 소멸이 발생합니다. 단순히 합의만으로는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청구권 발생 시점#공사 완료#대금 청구

민사판례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청구, 언제 가능할까?

하도급업체가 발주자에게 하도급대금을 직접 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언제 생기는지, 그리고 그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하도급대금#직접지급청구권#발생시점#요건

민사판례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하도급업체가 발주자에게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을 청구할 때 여러 가지 법적 근거를 들어 청구했는데, 법원이 그중 하나의 근거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나머지 근거에 대한 판단을 누락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선택적 청구 병합#판단 누락#위법

민사판례

공사 중단 시 선급금 정산, 하도급 대금은 어떻게 되나요?

국가가 건설사와 공사계약을 맺고, 건설사가 부도 등의 사유로 공사를 중단했을 때 하도급업체 보호를 위해 국가가 하도급 대금을 직접 지급하기로 하는 직불합의를 했어도, 이것이 건설사의 선급금 보증보험사의 책임 범위를 늘리지는 않는다는 판결.

#하도급대금 직불합의#선급금 보증책임#보증보험사#건설사 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