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정지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11982

선고일자:

20060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국민건강보험법 제85조 제1항, 제2항에 따른 같은 법 시행령 제61조 제1항 [별표 5]의 업무정지처분 및 과징금부과의 기준의 법적 성질(=법규명령) 및 여기에서 업무정지의 기간 내지 과징금의 금액의 의미(=최고한도) [2] 제재적 행정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ㆍ남용하였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국민건강보험법 제85조, 구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 제1항 [별표 5] / [2]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제27조

참조판례

[2] 대법원 2002. 2. 5. 선고 2001두7138 판결(공2002상, 684), 대법원 2002. 7. 12. 선고 2002두219 판결(공2002하, 1968), 대법원 2002. 9. 24. 선고 99두1519 판결(공2002하, 2570),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1두11083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보건복지부장관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8. 24. 선고 2004누1847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국민건강보험법 제85조 제1항, 제2항에 따른 같은 법 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 제1항 [별표 5]의 업무정지처분 및 과징금부과의 기준은 법규명령이기는 하나 모법의 위임규정의 내용과 취지 및 헌법상의 과잉금지의 원칙과 평등의 원칙 등에 비추어 같은 유형의 위반행위라 하더라도 그 규모나 기간·사회적 비난 정도·위반행위로 인하여 다른 법률에 의하여 처벌받은 다른 사정·행위자의 개인적 사정 및 위반행위로 얻은 불법이익의 규모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안에 따라 적정한 업무정지의 기간 및 과징금의 금액을 정하여야 할 것이므로 그 기간 내지 금액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최고한도라고 할 것이다. 또한, 제재적 행정처분이 사회통념상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남용하였는지 여부는 처분사유로 된 위반행위의 내용과 당해 처분행위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공익 목적 및 이에 따르는 제반 사정 등을 객관적으로 심리하여 공익 침해의 정도와 그 처분으로 인하여 개인이 입게 될 불이익을 비교 교량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1두11083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원고가 ‘ (상호 생략) 외과의원’을 운영하면서 주로 레이저를 이용한 치질 수술을 해 오던 중 그 신청에 따라 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요양기관으로 지정받은 후 2001. 6. 1.부터 2001. 11. 30.까지 6개월 동안의 치질 수술에 대한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함에 있어, 포괄수가제 시범사업은 환자가 1일 이상 입원한 경우나 수술 후 6시간 이상 관찰한 후 귀가한 경우를 급여대상으로 함에도, 원고는 치질 수술 후 6시간 미만 관찰한 후 귀가한 환자에 대하여 포괄수가제에 따른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함으로써 행위별수가제에 따른 적정 청구금액에 비하여 41,761,180원을 부당하게 과다 청구하여 이를 수령하고, 또 같은 기간 동안 환자에 대하여도 적법한 본인부담금에 비하여 36,520,340원을 부당하게 과다 부담하게 한 이 사건에서, 위 [별표 5]의 업무정지처분기준상의 기간은 최고한도 기간이라고 전제한 다음, 그 판시와 같은 사정, 즉 원고로서는 환자들을 6시간 이상 관찰한 후 귀가하도록 할 수 있었음에도 환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빨리 귀가하게 한 후 전화 등으로 지속적인 관찰을 해 온 점, 이 사건 처분 당시 치질 수술 등 일부 항목의 경우에는 수술 후 6시간 미만 관찰한 경우에도 포괄수가제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보건복지부 고시의 개정이 예정되어 있었고, 이 사건 처분 후 실제로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건복지부 고시가 개정되어 2003. 9. 1.부터 시행된 점, 국민건강보험법 제85조 제2항에 의하면 업무정지처분이 당해 요양기관을 이용하는 자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기타 특별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업무정지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징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피고로서는 과징금부과처분을 선택할 수도 있었던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위 [별표 5]의 업무정지처분기준상의 기간으로서 최고한도인 241일의 업무정지를 명한 이 사건 처분은 재량권의 한계를 일탈하거나 남용한 것으로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위 [별표 5]의 해석 또는 재량권의 일탈·남용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가 부담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강신욱(주심) 고현철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과잉진료로 인한 건강보험 과징금 부과, 정당할까?

안과의원이 백내장 수술 후 환자 입원 기간을 허위로 신고하여 과다하게 요양급여를 받은 것에 대한 과징금 부과처분은 정당하며, 관련 법령도 유효하다.

#국민건강보험#과징금#백내장수술#입원기간 허위신고

일반행정판례

건설업 영업정지, 너무 과하면 안 돼요!

건설업체가 등록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영업정지를 내릴 수 있는데, 이때 정상참작 사유가 있다면 이를 고려해야 하고, 고려하지 않은 처분은 위법입니다.

#건설업#등록기준 미달#영업정지#감경사유

민사판례

의사 진료정지, 언제까지 가능할까? - 장기간 진료정지의 위법성

회사가 직원에게 대기발령이나 진료정지처럼 잠정적인 불이익 처분을 내릴 수는 있지만, 정당한 이유 없이 이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대기발령#진료정지#잠정적 불이익 처분#기간 제한

일반행정판례

영업정지 기간 중 영업, 무조건 허가 취소는 부당하다?

영업정지 기간 중 영업한 여관에 대해 영업허가를 취소한 처분은 재량권 남용으로 위법하다. 행정처분 기준은 참고사항일 뿐, 처분의 경중을 정할 재량권을 제한하지 않는다.

#영업정지#영업허가 취소#재량권 남용#과도한 처분

일반행정판례

음식점 영업정지, 과도하면 위법?

음식점 영업자가 영업시간 위반과 무허가 영업 등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는데, 법원은 처분 기준보다 과도하게 처분한 것은 재량권 남용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식품위생법#영업정지#재량권#행정처분기준

상담사례

억울한 징계, 혹시 나도? 징계에도 "적당히"가 있다!

직장 내 징계는 잘못의 경중과 비례해야 하며, 과도하거나 불균형적인 징계는 부당하므로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징계#적정성#부당해고#징계권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