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2006다19986

선고일자:

2006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압류집행 후 가압류목적물의 소유권이 제3자에게 이전된 경우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범위 및 제3취득자의 채권자가 신청한 경매절차에서 가압류채권자가 배당받을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집행 후 가압류목적물의 소유권이 제3자에게 이전된 경우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것은 가압류결정 당시의 청구금액의 한도 안에서 가압류목적물의 교환가치이고, 위와 같은 처분금지적 효력은 가압류채권자와 제3취득자 사이에서만 있는 것이므로 제3취득자의 채권자가 신청한 경매절차에서 매각 및 경락인이 취득하게 되는 대상은 가압류목적물 전체라고 할 것이지만,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매각대금 부분은 가압류채권자가 우선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제3취득자의 채권자들은 이를 수인하여야 하므로, 가압류채권자는 그 매각절차에서 당해 가압류목적물의 매각대금에서 가압류결정 당시의 청구금액을 한도로 하여 배당을 받을 수 있고, 제3취득자의 채권자는 위 매각대금 중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범위의 금액에 대하여는 배당을 받을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148조 제3호, 제27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한국리스여신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욱균)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06. 2. 15. 선고 2005나360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집행 후 가압류목적물의 소유권이 제3자에게 이전된 경우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것은 가압류결정 당시의 청구금액의 한도 안에서 가압류목적물의 교환가치이고, 위와 같은 처분금지적 효력은 가압류채권자와 제3취득자 사이에서만 있는 것이므로 제3취득자의 채권자가 신청한 경매절차에서 매각 및 경락인이 취득하게 되는 대상은 가압류목적물 전체라고 할 것이지만,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매각대금 부분은 가압류채권자가 우선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제3취득자의 채권자들은 이를 수인하여야 할 것이므로 가압류채권자는 그 매각절차에서 당해 가압류목적물의 매각대금에서 가압류결정 당시의 청구금액을 한도로 하여 배당을 받을 수 있고, 제3취득자의 채권자는 위 매각대금 중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치는 범위의 금액에 대하여는 배당을 받을 수 없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위와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부동산 지분의 제3취득자인 소외인 및 그로부터 근저당권을 취득한 피고로서는 전 소유자에 대한 가압류채권자인 원고가 가압류결정 당시의 청구금액 한도 안에서 우선 배당을 받고도 잔액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배당을 받을 수 있다고 한 것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가압류의 집행 후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의 배당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압류된 부동산, 소유권 바뀌면 채권자는 어떻게 되나요?

다른 사람의 부동산에 가압류를 걸어놓은 후 그 부동산 소유자가 바뀌었을 경우, 경매가 진행되면 새 소유자의 빚을 받으려는 채권자도 배당에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새 소유자의 돈을 압류한 채권자는 다른 채권자를 상대로 배당이의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가압류#소유권이전#부동산경매#배당

민사판례

가압류된 부동산, 새 주인의 빚 때문에 경매되면 가압류는 어떻게 될까?

가압류된 부동산이 새 주인에게 넘어간 후 경매로 팔리면, 가압류는 보통 말소됩니다. 하지만 새 주인이 가압류를 떠안는 조건으로 경매가 진행되었다면 가압류는 유효하게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경매가 진행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가압류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경매 과정을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가압류#부동산경매#말소#인수

민사판례

가압류된 재산이 팔렸을 때, 누가 돈을 받아 가나요?

가압류된 재산의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 뒤 팔렸을 때, 원래 가압류를 걸었던 채권자는 가압류 당시 정해진 금액까지만 배당받을 수 있고, 새로운 소유자의 채권자는 배당받을 수 없다. 또한, 가압류 이후 발생한 이자나 소송비용은 가압류 당시 청구금액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배당받을 수 없다.

#가압류#배당#채권자#소유권변경

민사판례

압류된 부동산, 제3자에게 넘어갈 수 있을까?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압류했는데, 채무자가 그 권리와 관련된 부동산을 제3자에게 팔아버렸다면, 압류한 채권자는 제3자에게 직접 등기 말소를 요구할 수는 없고, 대신 채무자와 부동산을 팔아넘긴 사람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

#압류#부동산#채권#손해배상

민사판례

부정한 가압류, 소유권을 지킬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부동산을 부정한 방법으로 가압류한 경우, 진짜 소유권자는 그 가압류의 효력을 부정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부정 가압류#소유권#제3자이의의 소#반사회적 행위

민사판례

부동산 가압류 걸어놨는데, 갑자기 남의 손에 넘어갔다면?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부동산 소유권 이전을 약속받았는데, 채무자가 약속을 어기고 다른 사람에게 부동산을 넘겨버리려 할 때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압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등기의무를 지닌 제3채무자는 소송에서 가압류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제3채무자가 이 의무를 게을리하여 채권자가 손해를 입게 되면, 제3채무자는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압류#제3채무자#진술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