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06다49512

선고일자:

2006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토지의 매수인이 매매계약에 의하여 목적 토지의 점유를 취득한 경우, 그것이 타인의 토지의 매매에 해당하여 곧바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는 사실만으로 자주점유의 추정이 번복되는지 여부(한정 소극) [2] 매매 대상 토지의 실제 면적이 공부상의 면적을 상당히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 부분에 대한 매수인의 점유의 성질(=타주점유)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197조 제1항, 제245조 제1항 / [2] 민법 제197조 제1항, 제245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10. 12. 선고 93다1886 판결(공1993하, 3065),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53768 판결(공1996상, 1349), 대법원 2000. 3. 16. 선고 97다37661 전원합의체 판결(공2000상, 962) / [2] 대법원 1998. 11. 10. 선고 98다32878 판결(공1998하, 2843), 대법원 1999. 5. 25. 선고 98다62046 판결(공1999하, 1258), 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3다61054 판결(공2004상, 99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창원지법 2006. 7. 7. 선고 2005나952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창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토지의 매수인이 매매계약에 의하여 목적 토지의 점유를 취득한 경우 설사 그것이 타인의 토지의 매매에 해당하여 그에 의하여 곧바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매수인이 점유권원의 성질상 소유의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권원에 바탕을 두고 점유를 취득한 사실이 증명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매도인에게 처분권한이 없다는 것을 잘 알면서 이를 매수하였다는 등의 다른 특별한 사정이 입증되지 않는 한, 그 사실만으로 바로 그 매수인의 점유가 소유의 의사가 있는 점유라는 추정이 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지만( 대법원 1993. 10. 12. 선고 93다1886 판결, 1996. 3. 22. 선고 95다53768 판결 등 참조), 통상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사람은 매매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그 등기부등본이나 지적공부 등에 의하여 소유관계 및 면적 등을 확인한 다음 매매계약을 체결하므로 매매 대상 토지의 면적이 공부상 면적을 상당히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약 당사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며, 그러한 경우에는 매도인이 그 초과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하여 이전하여 주기로 약정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초과 부분은 단순한 점용권의 매매로 보아야 하고, 그 점유는 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8. 11. 10. 선고 98다32878 판결, 1999. 5. 25. 선고 98다62046 판결 등 참조). 2.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매수하였다는 통영시 한산면 용호리 (지번 생략) 토지(답)는 그 공부상 면적이 585㎡인데, 원고가 전 매도인으로부터 이전받아 점유·경작하는 토지에는 위 토지 중 기록 153쪽의 감정도 표시 ㉰ 부분 506㎡ 외에, 피고 소유의 이 사건 토지(지번 생략) 중 같은 도면 표시 ㉯ 부분 19㎡, 소외 1 소유인 같은 리 (지번 생략) 중 같은 도면 표시 ㉳ 부분 11㎡, 소외 2 소유인 같은 리 (지번 생략) 중 같은 도면 표시 ㉵ 부분 36㎡, 국가 소유인 같은 리 (지번 생략) 도로 중 같은 도면 표시 113㎡ 등이 더 포함되어 있고 그 면적 합계는 685㎡에 이르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사정이 이러하다면 원고가 이전받아 점유하는 토지의 면적이 원고가 매수한 토지의 공부상 면적을 상당히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토지 중 위 ㉯ 부분에 대한 원고의 점유는 그 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 여부를 따져 보지도 아니한 채 원고의 이 사건 토지 중 위 ㉯ 부분 토지의 점유를 자주점유라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자주점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땅 면적이 등기보다 훨씬 넓다면? 내 땅 맞을까? (점유취득시효)

등기된 면적보다 실제 면적이 훨씬 넓은 땅을 사서 점유할 경우, 등기부에 없는 넓은 부분의 땅에 대한 점유는 원칙적으로 '타주점유'(남의 땅을 점유하는 것)로 본다.

#등기부상면적#실제면적#타주점유#시효취득 불가

민사판례

내 땅이라고 생각했는데… 땅 면적이 등기보다 넓다면?

토지를 매매하거나 증여받을 때, 실제 점유 면적이 등기부 등 공적 장부에 기재된 면적보다 훨씬 넓다면, 초과 부분에 대한 점유는 소유 의사가 없는 타주점유로 추정된다. 단순히 토지 매매 계약이 무효라는 사실만으로는 자주점유 추정이 뒤집히지 않는다.

#토지매매#면적초과#점유#타주점유

민사판례

땅 샀는데 면적이 더 넓네? 혹시 내 땅? (점유취득시효와 타주점유)

땅을 살 때 실제 면적이 등기부에 적힌 면적보다 훨씬 넓다면, 그 초과 부분은 원래 주인의 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순히 오랜 기간 점유했다고 해서 내 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토지#면적#등기부#취득시효

민사판례

내 땅인 줄 알고 20년 살았는데… 이 땅, 진짜 내 땅 맞나요? - 토지 면적 초과와 점유 취득시효

등기부에 적힌 면적보다 실제 땅 면적이 훨씬 큰 경우, 특별한 약속이 없다면, 초과된 부분의 땅은 점유권만 샀다고 보아야 하며, 이는 '타주점유'(내 땅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남의 땅이라고 생각하며 점유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등기부#실제면적#타주점유#점유권

민사판례

내 땅이 맞는데, 왜 내 땅이 아니라고 하지? - 토지 지분과 점유 면적의 불일치

토지 일부를 사면서 편의상 전체 지분으로 등기를 했는데, 실제 점유 면적이 등기부상 지분보다 훨씬 넓다면, 그 초과 부분은 단순한 점용으로 취급되어 시효취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시효취득#타주점유#공유지분#초과점유

상담사례

내 땅인 줄 알았는데?! 등기보다 훨씬 넓은 땅, 함정이 있을 수 있다!

등기부보다 훨씬 넓은 땅을 점유할 경우, 내 땅이라 생각해도 타주점유로 인정되어 소유권을 얻지 못할 수 있으므로, 등기부 면적과 실제 면적을 확인하고 매도인과 소유권 이전 약정을 명확히 해야 한다.

#등기부#실제면적#자주점유#타주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