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훼손

사건번호:

2006도5924

선고일자:

200710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명예훼손죄의 성립요건인 ‘사실의 적시’의 의미와 판단 기준 및 종교적 비판의 자유 [2] 특정 종교집단의 목사에 대한 비판이 의견표명일 뿐 사실의 적시로 보기 어렵고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를 침해할 수 있는 명예훼손적 표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명예훼손죄의 성립을 부정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07조, 헌법 제20조 / [2] 형법 제307조, 헌법 제2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6. 9. 6. 선고 96다19246, 19253 판결(공1996하, 2983), 대법원 1997. 4. 25. 선고 96도2910 판결(공1997상, 1689), 대법원 2000. 2. 25. 선고 98도2188 판결(공2000상, 885), 대법원 2003. 6. 24. 선고 2003도1868 판결(공2003하, 1655), 대법원 2007. 6. 15. 선고 2004도4573 판결, 대법원 2007. 9. 21. 선고 2007도282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로고스 담당변호사 양인평외 2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6. 8. 10. 선고 2006노62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하여는 사실의 적시가 있어야 하는데, ‘사실의 적시’란 가치판단이나 평가를 내용으로 하는 의견표현에 대치되는 개념으로서 시간과 공간적으로 구체적인 과거 또는 현재의 사실관계에 관한 보고 내지 진술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 표현내용이 증거에 의한 입증이 가능한 것을 말하고, 판단할 진술이 사실인가 또는 의견인가를 구별함에 있어서는, 언어의 통상적 의미와 용법, 입증가능성, 문제된 말이 사용된 문맥, 그 표현이 행하여진 사회적 정황 등 전체적 정황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대법원 1997. 4. 25. 선고 96도2910 판결, 대법원 2000. 2. 25. 선고 98도2188 판결, 대법원 2007. 9. 21. 선고 2007도2824 판결 등 참조), 적시된 사실은 이로써 특정인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구체성을 띠어야 하는 것이며, 비록 사실을 적시하였더라도 그 사실이 특정인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를 침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라면 형법 제307조 소정의 명예훼손죄는 성립하지 않으며 ( 대법원 2003. 6. 24. 선고 2003도1868 판결, 대법원 2007. 6. 15. 선고 2004도4573 판결 등 참조), 헌법상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는 점에 비추어 다른 종교 또는 종교집단을 비판할 자유 역시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대법원 1996. 9. 6. 선고 96다19246, 19253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유인물의 내용 중에서 “ 공소외인(대한예수교침례회)는 구원파 계열의 이단이다.”, “ 공소외인은 체계적으로 신학을 공부한 적이 없다.”라는 기재부분은 그 의견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함께 기술하면서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서 피고인들의 주관적인 종교적·교리적 분석에 기초한 순수한 의견 또는 논평에 해당하는 것이고, “ 공소외인이 기성교회를 공격하고 폄하하며 자기들을 드러내기만을 고집하려고 시도하였다.” 또는 “ 공소외인의 시도를 막아 우리 고장 대전이 이단들이 발호하는 도시라는 불명예를 씻어내고 우리 고장 대전과 우리 가정 및 자녀를 지켜내자.”라는 등의 기재부분이나 “성경 위에 활동하는 마귀나 벌레 등을 젓가락으로 집어내는 형상”을 희화한 그림부분 역시 전체적인 맥락에서 피고인들의 의견을 표명하고 있는 것일 뿐 이를 사실의 적시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구원파는 ‘성경세미나’라는 모임을 통하여 대전시민에게 다가간다.”라는 기재부분 등은 공소외인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를 침해할 수 있는 명예훼손적 표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피고인들이 이 사건 유인물을 배포한 행위를 명예훼손죄로 의율할 수 없다고 할 것인바,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고인들에게 무죄판결을 선고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명예훼손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들에 대한 검사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종교 비판과 명예훼손, 그 경계는 어디일까?

이 판례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타 종교를 비판하는 행위가 어디까지 허용되는지, 그리고 언제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종교 지도자의 사망 원인에 대한 발언과 교주와 여성의 관계에 대한 발언이 각각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종교비판#명예훼손#허위사실#종교의자유

민사판례

다른 교단 목사 비판, 명예훼손일까? 종교의 자유와 명예훼손 사이의 줄다리기

한 교단이 다른 교단 소속 목사의 이단성을 연구한 책자를 배포한 행위가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책자 배포 행위가 종교적 비판의 표현 행위로서 위법성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교단#목사#이단#책자 배포

형사판례

종교의 자유, 어디까지 허용될까?

종교의 자유는 헌법으로 보장되지만, 다른 종교를 비방하는 내용의 전단지를 배포한 행위는 종교의 자유의 한계를 넘어 명예훼손에 해당한다는 판결.

#종교의 자유#비방 전단지#명예훼손#유죄 확정

민사판례

언론의 자유와 명예훼손, 그 경계는 어디일까?

한 월간지가 KBS 프로그램 제작자를 '주사파'로 지칭한 기사를 게재하여 명예훼손 소송이 제기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기사의 전체 맥락과 공적 인물에 대한 정치적 이념 표현의 자유를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특히 '주사파'라는 표현은 단순 의견이 아닌 사실 적시로 보아야 하지만,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대한 의혹 제기는 넓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므로, 기사 내용 중 프로그램 해석을 주사파적 해석으로 단정하고 제작자를 주사파로 지목한 부분만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명예훼손#주사파#공인#정치적 이념

민사판례

시민단체 비판, 언론의 자유인가 명예훼손인가?

한국논단이 주최한 대통령 후보 토론회에서 시민단체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을 한 것이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여부

#시민단체#명예훼손#대법원#한국논단

민사판례

언론의 자유와 명예훼손, 그 경계는 어디일까?

조선일보가 광우병 관련 보도에서 한 교수의 회사 관련 내용을 보도했는데, 교수가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사건. 대법원은 기사 내용이 일부 부정확하더라도 공익을 위한 것이고, 전체 맥락에서 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위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함.

#명예훼손#공익성#언론의 자유#진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