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2007다54351

선고일자:

20071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상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의 취지 및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자동차사고에서 일방 가해자가 도주하였으나 다른 일방 가해자가 명확한 경우, 피해자가 보장사업자에게 위 사업에 따른 피해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자가 보장사업의 대상이 아님에도 이를 알지 못하고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경우, 가해자의 책임보험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26조 이하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은 정부가 자동차의 보유자를 알 수 없거나 무보험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에 의하여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은 피해자의 손해를 책임보험의 한도 안에서 보상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뺑소니 자동차 또는 무보험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면서 법률상 강제되는 자동차책임보험제도를 보완하려는 것이므로,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사고의 경우에 복수의 가해자 모두에게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따른 운행자책임이 있으나 일방의 가해자가 도주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른 일방의 가해자가 명확한 경우에 그가 가입한 책임보험으로부터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면 피해자의 보장사업자에 대한 청구는 인정되지 않으며, 이는 설령 다른 일방 가해자의 차량을 피보험차량으로 하여 책임보험계약을 체결한 보험자가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에 대하여 피해자가 가해차량의 실질적 운행자에 해당한다는 등의 이유로 손해배상금의 지급을 거절하였던 경우라도 결국 위 보험자에게 배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이상 마찬가지이다. [2] 복수의 가해자 중 일방 가해자가 도주하였으나 다른 일방 가해자가 명확한 경우의 자동차사고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이를 알지 못하고 보장사업자가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경우, 위 보장사업자는 피해자에게 그 보상금의 반환을 구할 수 있고, 피해자가 보장사업자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의무가 있는 이상 가해자의 책임보험자에 대한 보험금지급청구채권은 여전히 존속하므로, 보장사업자의 위 보상금 지급으로 가해자의 책임보험자가 이득을 본 것은 없고, 따라서 보장사업자는 가해자의 책임보험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제26조 / [2]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26조 제1항 제1호, 민법 제74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5. 4. 15. 선고 2004다35113 판결(공2005상, 736) / [2] 대법원 1995. 3. 3. 선고 93다36332 판결(공1995상, 155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창원법무법인 담당변호사 황규훈) 【피고, 상고인】 흥국쌍용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구 상호 : 쌍용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성호) 【원심판결】 창원지법 2007. 7. 6. 선고 2006나944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창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은, 이 사건 제1차량의 보험자인 피고는 위 차량의 운행자로서 이 사건 사고로 인한 소외 1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는 소외 2와 같은 내용의 손해배상채무를 부담한다고 할 것인데(이 사건 제2차량은 사고현장에서 그대로 도주하여 그 보유자를 알 수 없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이하 ‘자배법’이라 한다) 제2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보상에 관한 업무를 위탁받은 보험사업자인 원고가 피해자 소외 1에게 이 사건 사고로 인한 손해에 대한 보상금으로 합계 38,877,560원을 지급함으로써 피고는 그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소외 1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를 면하게 되었고, 이는 법률상 원인 없이 원고의 출재로 인하여 이익을 얻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위 보상금 지급액 상당 금원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다음 이유에서 수긍하기 어렵다. 자배법 제26조 이하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이하 ‘보장사업’이라 한다)은 정부가 자동차의 보유자를 알 수 없거나 무보험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에 의하여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은 피해자의 손해를 책임보험의 한도 안에서 보상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뺑소니 자동차 또는 무보험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면서 법률상 강제되는 자동차책임보험제도를 보완하려는 것이므로 ( 대법원 2005. 4. 15. 선고 2004다35113 판결 참조),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사고의 경우에 복수의 가해자 모두에게 자배법 제3조에 따른 운행자책임이 있으나 일방의 가해자가 도주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른 일방의 가해자가 명확한 경우에 그가 가입한 책임보험으로부터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면 피해자의 보장사업자에 대한 청구는 인정되지 않으며, 이는 설령 이 사건 제1차량을 피보험차량으로 하여 책임보험계약을 체결한 보험자인 피고가 피해자 류정선의 손해배상청구에 대하여 류정선이 이 사건 제1차량의 실질적 운행자에 해당한다는 등의 이유로 손해배상금의 지급을 거절하였던 경우라도 결국 피고에게 배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이상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원고는 이 사건 사고가 보장사업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이를 알지 못하고 보장사업자로서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였으므로 피해자에게 그 반환을 구할 수 있고, 이 사건 피해자가 원고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의무가 있는 이상 피고에 대한 보험금지급청구채권은 여전히 존속한다 할 것이므로(위 보험금지급청구권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원고의 위 지급으로 피고가 이득을 본 것은 없고, 따라서 원고의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는 그 이유가 없다( 대법원 1995. 3. 3. 선고 93다36332 판결 참조). 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원고의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인용한 원심판결에는 부당이득반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뺑소니·무보험차 사고 보상금,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무보험차 사고 피해자가 정부 보상금을 받은 후 가해자에게도 배상받는 경우, 정부에 보상금을 전액 반환해야 한다는 약정은 부당하며, 실제 손해액을 초과하는 부분만 반환하면 된다는 판결입니다.

#무보험차사고#정부보상금#반환#손해액

민사판례

뺑소니 사고 보상, 다른 보상 받으면 얼마나 줄어들까?

무보험차 사고 피해자가 산재보험금을 받았다면, 정부는 산재보험금을 초과하는 손해에 대해서만 보상 책임이 있다. 이미 받은 산재보험금은 정부 보상금에서 제외된다. 잘못 지급된 보상금은 돌려줘야 하며, 돌려줄 책임을 회피하려면 돈을 받은 사람이 '채무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받았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

#무보험차 사고#산재보험#정부보상#부당이득

형사판례

뺑소니, 정말 나쁜 짓입니다!

교통사고를 내고 도주한 피고인에 대한 상고심 판결. 법원의 증인 소환에 불응하는 경우 해당 증인의 경찰 진술조서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 교통사고 후 '도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

#교통사고#도주#증인소환불응#진술조서

민사판례

뺑소니 사고 보상, 나중에 범인 잡히면 어떻게 되나요?

정부로부터 교통사고 보상 업무를 위탁받은 보험사가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후 가해자가 밝혀진 경우에도, 보상 당시 가해자를 알 수 없었다면 보험사는 가해자 측 보험사에 구상권(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

#교통사고#보상금#가해자 확인#대위권

민사판례

뺑소니 사고 보상, 정부는 얼마나 책임져야 할까?

뺑소니 또는 무보험차 사고 피해자가 정부로부터 보상금을 받기 전에 가해자와 합의하여 배상금을 받았더라도, 그 금액이 정부가 보상해야 할 금액보다 적다면 나머지 차액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다. 또한, 피해자가 정부에 보상금을 청구한 이후에 가해자와 합의한 경우, 그 합의금이 정부 보상금을 초과하는 손해 부분에 대한 합의로 해석될 수 있다.

#뺑소니#무보험차#사고#피해자

민사판례

뺑소니·무보험차 사고와 건강보험, 그리고 보험사

뺑소니 또는 무보험 자동차 사고 피해자가 건강보험 혜택을 받았다고 해서 정부의 보장사업 책임이 줄어들거나 건강보험공단이 정부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뺑소니#무보험차 사고#건강보험#정부 보장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