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채무금

사건번호:

2007다64068

선고일자:

200907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기술신용보증기금이 기업구매자금대출에 대하여 신용보증약정을 체결한 경우, 기업구매자금대출을 취급하는 대출은행이 구매자금 결제과정상 정상적인 업무처리 규정과 절차를 모두 준수하고, 선량한 관리자로서 서류 내용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등의 통상의 주의의무를 다하였다면 신용보증서에 따른 보증책임을 구할 수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5조, 기술신용보증기금법 제36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3. 10. 선고 2005다24349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기술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로텍 담당변호사 조한직)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8. 22. 선고 2006나10452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원심이 인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신용보증시 신용보증서의 특약사항은 “한국은행 총액한도대출 관련 기업구매자금대출 취급세칙(이하 ‘취급세칙’이라 한다) 제2조의 기업구매자금대출에 한하여 보증책임을 부담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취급세칙 제2조 제1항은 “기업구매자금대출은 이 세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금융기관이 사업자등록증을 교부받은 업체 간의 거래와 관련하여 그 업체의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경상적 영업활동으로써 재화 및 용역을 구매하는 업체에 대하여 취급한 대출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취급세칙의 시행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정한 ‘한국은행 총액한도대출 관련 기업구매자금대출 취급절차(이하 ‘취급절차’라 한다)‘ 제2조에서는 “금융기관은 기업구매자금대출 취급시 구매업체 및 판매업체의 사업자등록증과 부가가치세법상의 세금계산서 등 구매관련서류에 의하여 동 대출이 재화 및 용역의 구매대금 결제 관련 대출임을 확인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3조에서는 “금융기관은 환어음을 추심(결제를 포함한다)하거나 판매대금추심의뢰서에 의하여 결제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받아야 한다. 1. 환어음 또는 판매대금 추심의뢰서, 2. 판매업체 발행 세금계산서(금융기관이 판매대금 추심의뢰서에 의하여 결제하는 경우 세금계산서 내역을 전산으로 전송받는 경우를 포함한다). 다만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세금계산서가 발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화 및 용역거래관련 영수증 등으로 대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와 같이 취급세칙 제2조 제1항에서 기업구매자금대출의 범위에 관한 규정을 두면서도 위 대출의 절차를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는 취급절차 규정을 따로 두고 있는 점, 신용보증기금의 설립목적과 기업구매자금대출제도의 취지상 대출은행이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로서 조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후에 정상적인 거래가 아닌 것으로 판명이 되어 신용보증기금에 대하여 보증책임을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출은행이 위 제도의 이용을 기피하여 결국 위 제도의 취지를 살리지 못할 우려가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기업구매자금대출을 취급하는 대출은행이 구매자금 결제과정상 정상적인 업무처리 규정과 절차를 모두 준수하고, 선량한 관리자로서 서류 내용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등의 통상의 주의의무를 다하였다면 신용보증서에 따른 보증책임을 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06. 3. 10. 선고 2005다24349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이러한 취지에서, 이 사건 대출의 경우 그 거래 내용이 대출업체의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거래였고, 중소기업은행이 이 사건 대출과정에서 거래 상대방의 사업자등록증, 세금계산서 등 구비서류를 모두 교부받아 구매대금 결제 관련 대출임을 확인하였으며, 그 밖에 구비서류의 기재 내용이 허위임을 의심할 만한 사정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중소기업은행으로서는 통상의 주의의무를 다한 것이고, 나아가 중소기업은행에 대출업체의 거래 상대방의 폐업 여부를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조회할 주의의무까지 있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판단하여, 피고에게 판매업체가 ○○ 산업인 기업구매자금대출에 대하여도 보증책임이 있다고 본 것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기업구매자금대출 취급 금융기관의 주의의무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기업구매자금대출 보증,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신용보증기금 vs 은행

신용보증기금이 보증한 기업구매자금대출에 대해, 은행이 정상적인 절차를 따르고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했다면, 비록 사후에 거래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져야 한다.

#신용보증기금#기업구매자금대출#보증책임#은행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책임과 은행의 담보 확보 의무

은행이 기계 설치 자금 대출에 대한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으면서 약정된 담보 설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기계가 처분된 경우, 보증기관의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은행의 잘못으로 담보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보증기관은 담보로 확보할 수 있었을 가치만큼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기술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담보설정#우선해지특약

민사판례

기술보증기금의 신용보증과 기업의 신용, 그리고 착오

기술신용보증기금이 기업의 부동산에 가압류가 있는지 모르고 신용보증을 했더라도, 그 가압류가 나중에 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면 보증계약의 중요 부분에 대한 착오라고 볼 수 없다는 판결.

#기술신용보증기금#신용보증#가압류#착오

민사판례

기업구매자금대출과 신용보증의 범위

한국은행의 기업구매자금대출을 받을 때 정해진 기한을 넘기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한국은행#기업구매자금대출#기한초과#신용보증기금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의 면책, 은행의 주의의무 소홀이 원인!

은행이 신용보증기금과 보증계약을 맺을 때 담보 설정을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책임에서 벗어난 사례입니다.

#신용보증기금#면책#담보설정의무#은행

민사판례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책임 면책에 대한 이야기

은행이 대출 조건으로 약속한 담보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 손해가 발생했을 때, 기술신용보증기금은 보증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은행의 잘못에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실수가 겹쳤더라도, 은행의 잘못이 명확하면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책임을 면할 수 있다.

#기술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면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