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행사·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증재등)·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방조·배임수재·배임증재

사건번호:

2007도1303

선고일자:

2007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형법상 방조행위의 의미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9. 29. 선고 95도456 판결(공1995하, 3652), 대법원 1997. 1. 24. 선고 96도2427 판결(공1997상, 708), 대법원 1997. 3. 14. 선고 96도1639 판결(공1997상, 115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박정규외 6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1. 19. 선고 2006노49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85일씩을 본형에 각 산입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 1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 판시와 같은 여러 근거들을 들어 피고인 1의 사문서위조, 동 행사 및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의 각 범행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반, 사기죄에 있어서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피고인 2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방조에 관하여 형법상 방조행위는 정범의 실행행위를 용이하게 하는 직접, 간접의 모든 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그 방조는 유형적, 물질적인 방조뿐만 아니라 정범에게 범행의 결의를 강화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무형적, 정신적 방조행위까지도 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5. 9. 29. 선고 95도456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뒤, 공소외 주식회사의 전무이사 겸 개발사업본부장인 피고인 2가 공소외 주식회사가 시공 중인 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 브라운스톤 로얄스위트 아파트의 시행사 대표인 피고인 1로부터 위 아파트에 관한 공소외 주식회사 대표이사 명의의 분양계약서, 분양대금 입금표 등을 위조하여 이를 담보로 중앙상호저축은행 등으로부터 대출금 명목으로 금원을 편취하겠다는 제의를 받은 다음 상호저축은행이 보내는 우편물에 대하여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묵인하여 줄 것을 승낙하고 나아가 공소외 주식회사의 법인 인감증명서를 피고인 1에게 교부하여 준 행위는 정범인 피고인 1에게 범행의 결의를 강화하도록 하고 그의 대출금편취 범행을 용이하게 하여 이를 방조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사기방조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나. 배임수재에 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 2는 위 아파트의 시공사인 공소외 주식회사의 전무이사 겸 개발사업본부장이고 위 현장의 시공사측 총괄책임자로서 위 아파트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준공되고 분양됨으로써 공소외 주식회사의 공사대금이 확보되도록 지휘·감독하여야 할 업무상의 임무가 있음에도 그 임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재물을 취득한 것이라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배임수재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씩을 본형에 각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투자 사기,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 방조자의 책임과 과실 상계

투자 사기 사건에서 영업부장이 투자자에게 투자를 권유한 행위가 과실에 의한 방조로 인정되어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지게 되었으나, 피해자의 과실도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

#투자사기#영업부장#방조책임#과실

민사판례

남의 사기 범죄, 도와준 것도 아닌데 책임을 져야 할까? 방조 책임의 한계

다른 사람의 사기 행각을 도와준 사람은 그 도움이 피해 발생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에 따라 책임 범위가 정해진다. 사기가 진행되는 중간에 가담했다면, 그 이전에 발생한 피해까지 모두 책임지지는 않는다.

#사기방조#손해배상책임#책임범위#인과관계

민사판례

사업 설명회 사기, 방조자에게도 책임이 있을까?

사기를 방조한 사람도 피해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으며,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면 그 비율만큼 손해배상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손해배상 청구는 손해와 가해자를 알게 된 날로부터 일정 기간 안에 해야 합니다.

#사기 방조#손해배상#과실상계#소멸시효

민사판례

부동산 사기 방조자의 책임 범위는?

누군가의 사기 행위를 도운 사람(방조자)도 사기꾼과 함께 피해자에게 배상 책임이 있는데, 이때 피해자에게도 잘못이 있다면 방조자도 그 잘못을 이유로 배상액을 줄여달라고 주장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사기꾼이 고의로 사기를 쳤다는 이유만으로 방조자의 이러한 주장을 막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불법행위#방조자#과실상계#공동불법행위

민사판례

부동산 투자 사기,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이 판례는 부동산 투자 사기 사건에서 사기 행위를 방조한 중개인에게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투자자에게도 손해 발생 또는 확대에 기여한 과실이 있다면 이를 고려하여 배상액을 줄여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 사기#중개인 방조 책임#투자자 과실상계#공동불법행위

형사판례

내 계좌가 범죄에 이용됐다고? 타인 명의 계좌 제공, 방조죄 성립할 수 있어!

다른 사람의 범죄를 돕기 위해 자신의 계좌 정보를 제공했고, 그 계좌가 실제로 관세 포탈이나 사기 등 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면, 제공자는 금융실명거래법 위반 방조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범죄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확히 몰랐더라도 불법적인 목적을 알고 있었다면 처벌 대상이 된다.

#타인명의계좌제공#관세포탈#사기#금융실명법위반방조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