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위계공무집행방해

사건번호:

2007도6101

선고일자:

2007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허위의 증거를 조작하여 수사기관에 제출하는 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를 구성하는지 여부 [2] 타인의 소변을 마치 자신의 소변인 것처럼 수사기관에 건네주어 필로폰 음성반응이 나오게 한 경우, 수사기관의 착오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피의사실에 관한 증거를 조작한 것이므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137조 / [2] 형법 제13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1. 3. 9. 선고 71도186 판결(집19-1, 형11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조은형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7. 7. 5. 선고 2007노130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9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수사기관이 범죄사건을 수사함에 있어서는 피의자 등의 진술 여하에 불구하고 피의자를 확정하고 그 피의사실을 인정할 만한 객관적인 모든 증거를 수집·조사하여야 할 권리와 의무가 있고, 한편 피의자는 진술거부권과 자기에게 유리한 진술을 할 권리와 유리한 증거를 제출할 권리가 있지만 수사기관에 대하여 진실만을 진술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피의자 등이 수사기관에 대하여 허위사실을 진술하거나 허위의 증거를 제출하였다 하더라도, 수사기관이 충분한 수사를 하지 아니한 채 이와 같은 허위의 진술과 증거만으로 잘못된 결론을 내렸다면, 이는 수사기관의 불충분한 수사에 의한 결과여서 피의자 등의 위계에 의하여 수사가 방해되었다고 볼 수 없어 위계의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피의자나 참고인이 적극적으로 허위의 증거를 조작하여 제출하였고 그 증거 조작의 결과 수사기관이 그 진위에 관하여 나름대로 충실한 수사를 하더라도 제출된 증거가 허위임을 발견하지 못하여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될 정도에 이르렀다면, 이는 위계에 의하여 수사기관의 수사행위를 적극적으로 방해한 것으로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된다. 그리고 헌법에 의하여 누구든지 형사상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하지 아니할 특권이 부여되어 있으나, 그렇다고 하여 자기의 형사처벌을 면하기 위하여 위법한 방법으로 허위의 증거를 조작하는 것까지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법리를 토대로 이 사건을 살펴보면, 피고인이 타인의 소변을 마치 자신의 소변인 것처럼 건네주어 필로폰 음성반응이 나오게 한 행위는, 단순히 피의자가 수사기관에 대하여 허위사실을 진술하거나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를 은닉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수사기관의 착오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피의사실에 관한 증거를 조작한 것이므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한다. 그리고 이감을 늦추어 달라는 등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아니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음주운전 혈액 바꿔치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성립될까?

음주운전 사고 후 처벌을 피하려고 다른 사람의 혈액을 자신의 것처럼 제출한 행위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음주운전#타인혈액#위계#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증거만으로는 부족하다?! - 자유심증주의와 상고이유

판사가 증거를 어떻게 판단하고 사실을 인정했는지에 대해 단순히 불만이 있다고 해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판사의 판단이 논리나 경험에 비추어 명백히 잘못되었다고 구체적으로 주장해야 한다.

#상고이유#증거취사#사실인정#자유심증주의

형사판례

담당 공무원도 아닌데, 남의 일에 끼어들어 허가를 내준 공무원,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일까?

담당자가 아닌 공무원이 청탁을 받고 자신의 권한 밖의 일을 처리하면서 속임수를 써서 담당 공무원이 잘못된 인허가를 내도록 했다면, 이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공무집행방해#위계#인허가#권한 없는 공무원

형사판례

교도관 감시 피한 규율 위반, 과연 공무방해죄일까?

변호사가 접견을 핑계로 수용자에게 휴대전화와 증권거래용 단말기를 몰래 반입하여 사용하게 한 행위는 교도관의 감시 업무를 방해한 것으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변호사#접견#휴대전화 반입#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가처분 신청에서 거짓말을 하면 공무집행방해죄일까?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하면서 거짓말을 하거나 가짜 증거를 냈다고 해서 무조건 공무집행방해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처분#허위주장#공무집행방해#실질적 방해

형사판례

타인 명의로 확인서를 맘대로 작성해서 제출하면 증거위조죄일까?

다른 사람의 형사사건에 관련하여, 동의 없이 타인의 이름으로 허위 사실확인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행위는 증거위조죄에 해당한다. 단순히 거짓 진술을 하는 것과는 달리, 존재하지 않는 증거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타인명의#사실확인서#위조#증거위조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