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변경된죄명: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07도7924

선고일자:

200807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의 무단 형질변경행위에 대하여 구 도시계획법 제92조 제1항에 따른 원상복구 등의 조치명령을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0조, 제133조 제1항, 제142조,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1조 제1항 제5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5. 12. 22. 선고 2003도749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조자룡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7. 9. 4. 선고 2007노166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이용법’이라고 한다) 제133조 제1항은 ‘이 법에 위반한 자’ 등에 대하여 원상복구 등의 조치명령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토지의 형질변경 등 무단행위가 국토이용법에 위반한 것이 아니라면 이에 대하여 국토이용법 제133조 제1항에 따른 원상복구 등의 조치명령을 할 수 없다고 할 것인바, 국토이용법은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 등 개발제한구역의 관리에 관하여는 직접적으로 규정하지 아니한 채, 다만 제80조에서 “개발제한구역 안에서의 행위제한 그 밖에 개발제한구역의 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고, 이에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개발제한구역법’이라고 한다)이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 등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면서 그 제11조 제1항에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위와 같은 무단행위를 제한하고 있으므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위와 같은 무단행위는 국토이용법에 위반하는 것이 아니라, 위 개발제한구역법 제11조 제1항에 위반할 뿐이라고 할 것이어서, 이에 대한 국토이용법 제133조 제1항에 따른 원상복구 등의 조치명령 등은 위법하고, 가사 피고인이 이와 같은 위법한 명령에 따르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을 국토이용법 제142조 소정의 조치명령 등 위반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 ( 대법원 2005. 12. 22. 선고 2003도7494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토지의 형질변경행위를 국토이용법 위반으로 의율할 수 없다고 한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국토이용법과 개발제한구역법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행위는 개발제한구역법 제11조 제3항, 개발제한구역법 시행규칙 제7조의2 [별표 3의2] 에서 정하고 있는 허가 또는 신고 없이 할 수 있는 경미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한 개발제한구역법 제30조 1호, 제11조 제1항으로 처벌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행위에 대해서 개발제한구역법이 처벌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국토이용법으로 의율해야 한다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주차장 사용, 토지 형질 변경일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잡종지를 음식점 주차장으로 사용한 것만으로는 토지의 형질을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없다. 토지 형질변경은 땅의 모양을 눈에 띄게 바꾸고, 원래대로 되돌리기 어렵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개발제한구역#주차장#토지형질변경#절토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 농지 형질변경, 언제 처벌받을까?

개발제한구역이나 농지에서 허가 없이 땅의 형태를 바꾸는 행위는 불법이며, 그 행위가 완료되는 즉시 범죄가 성립합니다. 또한 농지로 인정받으려면 서류상 지목뿐 아니라 실제로 농사를 짓는 등 농지의 모습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개발제한구역#농지#무허가 형질변경#처벌 기준

생활법률

개발제한구역에서 마음대로 짓다간 큰일 나요! (feat. 불법 건축물)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은 허가 또는 신고 대상이며, 무허가/신고 위반 시 시정명령, 이행강제금, 과태료, 벌금 또는 징역 등의 처벌을 받는다.

#개발제한구역#건축#허가#신고

민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물 용도변경, 이행강제금 부과 가능할까요?

개발제한구역 안에 있는 건물의 용도를 허가 없이 바꾸면 건축법 위반으로 이행강제금을 내야 합니다.

#개발제한구역#건물#용도변경#이행강제금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비닐하우스 주거용 무단 용도변경, 처벌 가능할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가 없이 용도를 변경한 경우, 옛 도시계획법(현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원상복구 명령을 내릴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원상복구 명령은 위법이며, 이를 따르지 않았다고 처벌할 수도 없습니다.

#개발제한구역#무단 용도변경#원상복구명령#위법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 형질변경, 함부로 하면 안 돼요!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건축허가를 받았더라도, 실제 건축을 위해 추가적인 토지 형질 변경(절토, 성토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형질변경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단순히 서류상 지목이 '대지'라고 해서 무조건 허가 없이 택지 조성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발제한구역#형질변경#지목변경#택지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