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8다1859
선고일자:
2008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등기명의인의 표시변경 또는 경정의 부기등기에 의하여 부동산 등기부상의 표시가 실지 소유관계를 표상하고 있지 않은 경우, 진실한 소유자가 표시상의 소유명의인을 상대로 그 부기등기의 말소등기절차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그 청구를 하기 위하여 증명하여야 할 사항
민법 제214조, 부동산등기법 제65조, 민사소송법 제288조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5다81, 85다카325 판결(공1986, 21), 대법원 1993. 10. 8. 선고 93다28867 판결(공1993하, 3050)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12. 7. 선고 2007나3359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다만,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를 본다. 등기명의인의 표시변경 또는 경정의 부기등기가 등기명의인의 동일성을 해치는 방법으로 행하여져서 부동산의 등기부상의 표시가 실지 소유관계를 표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진실한 소유자는 그 소유권의 내용인 침해배제청구권의 정당한 행사로써 그 표시상의 소유명의자를 상대로 그 소유권에 장애가 되는 부기등기인 표시변경 또는 경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으므로(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5다81, 85다카325 판결, 대법원 1993. 10. 8. 선고 93다28867 판결 등 참조), 이와 같이 부동산의 등기명의인의 표시변경 또는 경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하려는 자는 자신이 부동산의 원래의 등기명의인에 해당하는 자로서 진실한 소유자라는 사실을 증명하여야 한다. 원심은, 그 판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그 판시와 같은 여러 사정에 비추어, 이 사건 각 부동산이 원고의 소유라고 인정하기에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 사건 각 부동산에 관한 각 소유권보존등기 및 소유권이전등기 당시 원고가 등기신청을 하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에 따라 관계 증거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시에 비록 적절하지 아니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소유자로서 이 사건 소유권보존등기 및 이전등기의 등기신청인이 원고라는 주장을 배척한 결론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당사자의 확정, 입증책임의 분배 등에 관한 법리오해,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소유관계 및 등기신청인 등에 관한 채증법칙 위반,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없으므로, 사실심인 원심의 전권사항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선택이나 사실의 인정을 탓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고현철 김지형(주심) 전수안
민사판례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잘못 등기된 부동산이 있을 때, 진짜 소유자는 이름을 잘못 등기한 사람을 상대로 등기말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유권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상담사례
내 땅의 등기부에 다른 사람 이름이나 잘못된 정보가 기재되어 소유권 행사에 문제가 생겼다면, 진실한 소유자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준비하여 말소청구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민사판례
등기상 이름만 바뀌었을 뿐 실제 소유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등기 명의를 변경했다면, 진짜 소유자는 변경된 등기를 말소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진짜 소유자임을 스스로 증명해야 합니다.
상담사례
위조된 등기의 말소등기청구 소송은 서류 위조자가 아닌, 현재 등기부등본상 소유자를 상대로 제기해야 한다.
민사판례
단독소유를 공유로, 또는 공유를 단독소유로 바꾸는 것은 경정등기로는 할 수 없고, 기존 등기를 말소하고 새로 등기해야 합니다. 합유재산을 한 사람 명의로 잘못 등기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담사례
부동산 근저당 설정 후 문제 발생 시, 근저당 설정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현재 근저당권자를 상대로 주등기 말소 소송을, 양도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부기등기 말소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