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관리법위반

사건번호:

2008도8971

선고일자:

200901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비료생산공장의 원료저장탱크에서 유출되어 생산 목적에 사용할 수 없게 된 액체비료가 구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의 폐기물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폐기물관리법(2007. 1. 19. 법률 제8260호로 전문 개정된 것) 제2조 제1호,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둔산 담당변호사 박광천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8. 9. 25. 선고 2008노75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 본원 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은 비료생산업체를 운영하는 자인바, 폐기물을 보관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과 기준에 따라 침출수를 유출시키지 않는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켜서는 아니됨에도 불구하고, 2007. 8. 31.경 위 공장에서 원료로서 보관 중인 액체비료에 대해 빗물 등이 들어올 수 없도록 차단시설 등을 하지 않아 아미노산발효부산비료 및 침출수 등이 위 공장 인근의 농경지로 흘러들게 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켰다.’는 것인바, 원심은, 위 액체비료가 위 공장에서 흘러나간 것이어서 생활폐기물이라고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위 공장이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장이 아니어서 이를 사업장폐기물로도 볼 수 없는 등 폐기물관리법상의 폐기물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위 공소사실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구 폐기물관리법(2007. 4. 11. 법률 제8371호로 전문 개정된 것, 이하 같다) 제2조 제1호는 폐기물을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칼리·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로 정의하고 있는바,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여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 폐기물관리법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위 액체비료가 본래 위 공장의 원료로서 보관하던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일단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되어 더 이상 위 생산 목적에 사용하기 어렵게 된 이상은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로서 폐기물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구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2호 소정의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하므로, 원심으로서는 위 유출된 액체비료가 원심 판시와 같은 이유로 사업장폐기물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마땅히 이를 생활폐기물로 보아 대통령령 등이 정하는 기준 및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심리하여야 할 것임에도, 만연히 위 액체비료가 생활폐기물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였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위 폐기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검사의 상고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폐수 배출시설에서 검출된 구리, 무허가 배출시설일까?

폐수에 구리가 포함되어 배출되었더라도, 그 구리가 사업장의 생산 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것인지 외부 요인에 의해 섞여 들어간 것인지 명확히 입증되어야 수질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판결.

#수질환경보전법#구리#배출#입증책임

형사판례

폐기물, 언제까지 폐기물일까? 재활용 원료와 완제품 원료의 경계

사업장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 버린 물질은 재활용 목적으로 다른 곳에 보내진다 하더라도 여전히 폐기물로 간주된다. 다만, 이를 받은 곳에서 파쇄, 선별, 풍화, 혼합 등의 가공 과정을 거쳐 사회 통념상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 수준에 이르렀다면, 그때부터는 폐기물이 아닌 원료로 본다.

#사업장 폐기물#재활용#원료화#폐기물관리법 위반

일반행정판례

폐기물로 만든 비료, 비료생산업 등록 없이 판매해도 폐기물처리업 허가 취소 안된다?

폐기물처리업자가 비료생산업 등록 없이 폐기물을 비료로 재활용해 판매·유통했다 하더라도, 비료관리법 위반에 따른 형사처벌 대상일 뿐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처리업 허가취소 또는 영업정지 사유는 아니다.

#폐기물처리업#비료생산업 미등록#폐기물 재활용#영업정지

형사판례

폐유 수집 및 판매, 산업폐기물 처리업일까?

다른 사업자로부터 산업폐기물인 폐유를 수집하여 주물공장 등에 판매, 연료로 사용하게 한 행위는 폐기물 *이용*은 맞지만, 허가가 필요한 폐기물 *처리업*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판결.

#폐유#수집#판매#폐기물처리업

형사판례

폐수 배출과 관련된 법률 적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 판례는 수질환경보전법 시행 전후에 걸쳐 발생한 수질오염 행위에 대해 새로운 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수질환경보전법의 처벌 조항이 명확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새로운 법 적용이 가능하며, 처벌 조항도 명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수질오염#신법적용#죄형법정주의#배출시설

생활법률

🗑️ 우리 주변의 골칫거리, 폐기물! 제대로 알고 버리자!

폐기물은 더 이상 필요 없는 물건으로,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 생활폐기물로 분류되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관리되지만 방사성 물질 등 일부는 적용 제외 대상이다.

#폐기물#폐기물관리법#사업장폐기물#지정폐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