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8두9737
선고일자:
2008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1]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의2호에 정한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한다는 점의 증명책임자(=과세관청) [2] 금지금의 폭탄영업에 관여한 수출업자의 금지금 매입은 명목상의 거래가 아닌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므로, 그 과정에서 교부받은 세금계산서는 매입세액의 공제가 부인되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1] 특정 거래가 실질적인 재화의 인도 또는 양도가 없는 명목상의 거래라는 이유로 그 거래 과정에서 수취한 세금계산서가 매입세액의 공제가 부인되는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의2호가 규정하고 있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한다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은 과세관청이 부담함이 원칙이다. [2] 금지금의 폭탄영업에 관여한 수출업자의 금지금 매입은 명목상의 거래가 아닌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므로, 그 과정에서 교부받은 세금계산서는 매입세액의 공제가 부인되는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의2호의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1]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1항 제1호, 제6조 제1항, 제17조 제2항 제1의2호 / [2]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1항 제1호, 제6조 제1항, 제17조 제2항 제1의2호
[1] 대법원 1985. 9. 24. 선고 85누286 판결(공1985, 1441), 대법원 1992. 9. 22. 선고 92누2431 판결(공1992, 3034), 대법원 2001. 3. 13. 선고 99두9247 판결(공2001상, 902)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종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5. 28. 선고 2007누3163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부가가치세 부과처분 부분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1항 제1호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으로서 ‘재화의 공급’을 규정하고 있고, 제6조 제1항은 “재화의 공급은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모든 원인에 의하여 재화를 인도 또는 양도하는 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부가가치세가 다단계 거래세로서의 특성이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부가가치세법 제6조 제1항 소정의 ‘인도 또는 양도’는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의 유무에 불구하고, 재화를 사용·소비할 수 있는 권한을 이전하는 일체의 원인행위를 모두 포함하고 ( 대법원 1985. 9. 24. 선고 85누286 판결, 대법원 2001. 3. 13. 선고 99두9247 판결 등 참조), 이 경우 어느 일련의 거래과정 가운데 특정 거래가 부가가치세법 소정의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각 거래별로 거래당사자의 거래의 목적과 경위 및 태양, 이익의 귀속주체, 대가의 지급관계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며, 그 특정 거래가 실질적인 재화의 인도 또는 양도가 없는 명목상의 거래라는 이유로 그 거래과정에서 수취한 세금계산서가 매입세액의 공제가 부인되는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의2호가 규정하고 있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한다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은 과세관청이 부담함이 원칙이다 ( 대법원 1992. 9. 22. 선고 92누2431 판결,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5두16406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 및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2004. 2. 13.부터 같은 해 11. 4.까지 주식회사 대한금은을 비롯한 7개 사업자(이하 ‘이 사건 공급자’라 한다)로부터 합계 1,620㎏의 금지금(이하 ‘이 사건 금지금’이라 한다)을 각 매입하고 매입 당일 이 사건 금지금을 인도받은 다음 그 대금을 모두 지급(이하 ‘이 사건 거래’라 한다)하고 이 사건 공급자로부터 이 사건 거래에 따른 세금계산서 64장(이하 ‘이 사건 세금계산서’라 한다)을 각 교부받은 사실, 원고는 이 사건 금지금을 매입한 당일 또는 그 다음날 홍콩 소재 수입상들에게 수출하고 그 과정에서 상당한 이득을 남긴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이러한 사실 및 기록에 나타나는 여러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금지금이 수입되어 수출되기까지의 일련의 전체거래가 모두 하루 또는 이틀만에 이루어지고, 그 중간 단계에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금지금을 매입한 다음 면세추천 받지 아니한 자에게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금지금으로 공급하면서 세금계산서를 작성·교부하고 그 부가가치세 상당액을 납부하지 않는 이른바 폭탄업체가 존재하고 있는 점 등의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일련의 거래 중의 하나인 이 사건 거래가 세금계산서만을 발행하여 수수하거나 실제 금지금이 인도되거나 대금이 지급되었더라도 폭탄영업을 실제거래로 위장하기 위한 명목상의 거래로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의 공급이 아니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 사건 거래가 이른바 폭탄업체가 개재된 이 사건 전체 거래 속에 포함된 하나의 거래라는 사정 등을 들어 재화의 공급이 없는 명목상의 거래에 불과하다고 보아 이 사건 세금계산서가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재화의 공급’ 및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2. 법인세 부과처분 부분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구 법인세법(2006. 12. 30. 법률 제81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6조 제5항(이하 ‘증빙미수취 가산세 규정’이라 한다), 제116조 제2항 제2호에 의하면,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은 법인이 사업과 관련하여 사업자로부터 재화를 공급받고 부가가치세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세금계산서를 수취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수취하지 아니한 금액의 100분의 2에 상당하는 금액을 가산한 금액을 법인세로서 징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부가가치세법(2006. 12. 30. 법률 제81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6조에 의하면, “납세의무자로 등록한 사업자가 재화를 공급하는 때에는 공급하는 사업자의 등록번호와 성명 또는 명칭,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등을 기재한 세금계산서를 공급을 받은 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거래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의 공급이 아니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이상 그에 따라 수취한 이 사건 세금계산서 역시 구 부가가치세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적법한 세금계산서가 아니라고 단정하기 어려운데도, 원심은 이 사건 거래가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지 않고, 따라서 이 사건 세금계산서가 위장 세금계산서임을 전제로 이 사건 법인세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증빙미수취 가산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영란(주심) 이홍훈 양창수
형사판례
이 판례는 금지금 폭탄영업에 연루된 여러 피고인들의 조세포탈, 부정환급 혐의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폭탄영업 자체는 조세포탈에 해당하지만, 이후 수출업체가 환급받은 부가가치세는 별도의 조세포탈이나 부정환급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세무판례
폭탄업체가 끼어 있는 금괴 수출입 거래에서, 단순히 폭탄업체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는 그 거래가 가짜라고 단정할 수 없으며, 세금계산서도 유효하다. 따라서 부가가치세를 부과해야 하는지 여부는 거래의 실질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일반행정판례
세무서가 재고 부족을 매출로 보고 부가가치세를 부과했지만, 대법원은 세무서가 매출 사실을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를 다하지 않았다며 위법 판결을 내렸습니다.
형사판례
면세금지금 거래 승인을 받은 회사를 폭탄업체로 운영하여 부가가치세를 포탈한 행위는 조세포탈죄에 해당한다. 하지만, 실제 금 거래가 이루어지고 세금계산서 등 증빙서류가 정상적으로 발행된 경우, 수출업체의 부가가치세 환급은 부정환급으로 볼 수 없다.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소송에서, 세금을 부과한 세무서가 세금 부과의 근거가 되는 사실들을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다만, 여러 정황상 세금 부과 사실이 추정되는 경우에는 납세자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관련된 형사 판결에서 확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중요한 증거로 사용됩니다.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소송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세금 부과의 근거가 되는 사실을 입증할 책임은 세금을 부과한 과세 당국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