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2009다32409

선고일자:

200908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중첩적 채무인수에서 채무자와 인수인이 연대채무관계에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중첩적 채무인수에서 인수인이 채무자의 부탁 없이 채권자와의 계약으로 채무를 인수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므로 채무자와 인수인은 원칙적으로 주관적 공동관계가 있는 연대채무관계에 있고, 인수인이 채무자의 부탁을 받지 아니하여 주관적 공동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부진정연대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413조, 제45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3. 25. 선고 2008나4605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에서 주장한 바 없이 상고심에 이르러 새로이 하는 주장은 원심판결에 대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대법원 2002. 1. 25. 선고 2001다63575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소외 1 주식회사의 원고에 대한 이 사건 대출금채무의 변제기가 1999. 10. 20.이었다가 소외 1 주식회사가 1999. 1. 2.경 부도처리됨에 따라 그 무렵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었는데, 이러한 경우 기한이익 상실사유가 발생한 것만으로는 곧바로 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한다고 할 수 없고, 채권자인 원고의 통지나 청구 등 채권자의 의사행위를 기다려 비로소 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원심에 이르기까지 전혀 제출된 바 없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2. 원고는 피고들의 소멸시효 완성 주장에 대하여,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대출금채권 및 이 사건 구상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 만료 이전인 2001. 11. 10.경과 2005. 4. 19.경 원고가 소외 1 주식회사에 대하여 채무의 이행을 구하는 재판상 청구를 하였는데, 소외 1 주식회사의 원고에 대한 이 사건 대출금채무와 이 사건 구상금채무의 중첩적 채무인수인인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는 소외 1 주식회사와 사이에 주관적 공동관계가 인정되고,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의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서에서 채무인수인인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채무자인 소외 1 주식회사와 ‘연대’하여 이행하기로 약정한 이상, 소외 1 주식회사,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 모두 원고에 대하여 연대채무자의 관계에 있으므로, 어느 연대채무자에 대한 이행청구에 대하여 절대적 효력을 규정한 민법 제416조에 따라 원고의 소외 1 주식회사에 대한 재판상 청구로 인하여 연대채무관계에 있는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 및 위 피고들과 연대보증관계에 있는 피고 3, 피고 4에 대하여도 그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이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원심은,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 작성의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서에 중첩적 채무인수인인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이 사건 대출금채무 및 이 사건 구상금채무에 관하여 소외 1 주식회사와 ‘연대하여 이행’하기로 한다는 기재가 있는 사실은 인정되나, 위 ‘연대하여 이행’이라는 문구만으로 원고와 소외 1 주식회사,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 사이에 위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의 효력을 순수한 연대채무의 효력과 동일시하기로 약정한 것으로 보기는 부족하고, 또한 원심 증인 소외 2의 증언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되는 다음 사정, 즉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위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에 이르게 된 경위는 소외 1 주식회사가 부도가 나자 소외 1 주식회사가 진행하던 아파트임대사업을 승계하기 위한 것이었던 점,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위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에 따라 채무를 변제하더라도 소외 1 주식회사에 대하여 구상관계가 성립될 여지는 없어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소외 1 주식회사와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 사이에 주관적인 공동관계가 있다고도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중첩적 채무인수에서 인수인이 채무자의 부탁 없이 채권자와의 계약으로 채무를 인수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므로 채무자와 인수인은 원칙적으로 주관적 공동관계가 있는 연대채무관계에 있고, 인수인이 채무자의 부탁을 받지 아니하여 주관적 공동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부진정연대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비추어 보면, 소외 1 주식회사와 피고 1 주식회사 및 소외 1 주식회사와 피고 2 주식회사 작성의 이 사건 각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서상 피고 1 주식회사와 피고 2 주식회사는 소외 1 주식회사의 이 사건 대출금채무 및 이 사건 구상금채무를 중첩적으로 인수하면서 명시적으로 이 사건 대출금채무 및 이 사건 구상금채무를 소외 1 주식회사와 연대하여 이행하기로 하였고, 소외 1 주식회사는 이에 동의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사정이 이러하다면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채무인수인인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과 채무자인 소외 1 주식회사 사이는 주관적인 공동관계가 있는 연대채무관계에 있다고 봄이 상당하고, 원심이 말한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위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에 이르게 된 경위는 소외 1 주식회사가 부도가 나자 소외 1 주식회사가 진행하던 아파트임대사업을 승계하기 위한 것이었던 점, 피고 1 주식회사, 피고 2 주식회사가 위 중첩적 채무인수계약에 따라 채무를 변제하더라도 소외 1 주식회사에 대하여 구상관계가 성립될 여지는 없어 보이는 점 등의 사정은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위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중첩적 채무인수 등에 관한 법리 오해 등의 위법이 있고, 이러한 잘못은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보증과 비슷한 채무인수, 내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돈을 갚아야 할 사람(채무자) 대신 다른 사람(인수인)이 빚을 갚기로 하는 채무인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원래 채무자는 빚에서 벗어나고 인수인만 빚을 갚는 '면책적 채무인수'와, 원래 채무자와 인수인 둘 다 빚을 갚을 책임이 있는 '중첩적 채무인수'가 있다. 이 판례는 중첩적 채무인수에서 돈을 받을 사람(채권자)의 '수익의 의사표시(인수인에게 빚을 받겠다는 의사표시)'가 언제 필요한지, 또 어떤 경우에 번복할 수 없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중첩적 채무인수#채권자#수익의 의사표시#면책적 채무인수

민사판례

빚보증과 비슷한 채무인수, 나도 갚아야 할까? (중첩적 채무인수)

누군가 다른 사람의 빚을 떠맡는 '채무인수'에서, 원래 빚진 사람이 빚에서 벗어나는지(면책적 인수) 아니면 빚진 사람과 떠맡은 사람 모두 빚을 져야 하는지(중첩적 인수)가 계약 내용에 명확하지 않으면, 둘 다 빚을 져야 하는 '중첩적 채무인수'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채무인수#면책적 인수#중첩적 인수#불분명

민사판례

중첩적 채무인수인의 상계, 원 채무자에게도 효력이 있을까?

회사를 인수하면서 기존 회사의 빚을 갚기로 한 사람(중첩적 채무인수인)이 회사 대신 빚을 갚겠다고 약속하고, 동시에 회사를 인수할 당시 회사의 재산상태에 대한 허위 정보로 인수인이 손해를 입었다면, 인수인은 그 손해배상금액만큼 빚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을 할 수 있고, 이는 원래 회사의 빚에도 영향을 미쳐서 회사도 빚을 갚지 않아도 된다.

#연대보증#상계#중첩적 채무인수#채무자

상담사례

친구 빚 대신 갚았는데, 나도 빚쟁이? 연대채무, 쉽게 알아보기!

친구 빚을 부탁받아 대신 갚으면 친구와 나 사이에 연대채무 관계가 성립되어 채권자는 나에게도 빚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

#연대채무#중첩적 채무인수#주관적 공동관계

상담사례

빚 갚는 사람이 둘?! 중첩적 채무인수, 채권자 동의 없어도 될까?

중첩적 채무인수는 기존 채무자의 채무는 유지하면서 새로운 채무자가 추가되는 것으로, 채권자 동의 없이 유효하다.

#중첩적 채무인수#면책적 채무인수#채권자 동의#채무자 추가

민사판례

빚 보증? 빚 떠넘기기? 애매하면 둘 다 책임져야죠!

다른 사람의 빚을 대신 갚아주겠다는 약속(채무인수)을 할 때, 원래 빚진 사람의 빚을 없애주는 것인지(면책적 채무인수), 아니면 보증처럼 원래 빚진 사람과 함께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인지(중첩적 채무인수) 불분명하면, 보증처럼 둘 다 빚을 갚아야 하는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채무인수#면책적 채무인수#중첩적 채무인수#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