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대금

사건번호:

2009다83933

선고일자:

2010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독립한 부동산인 건물로서의 요건을 아직 갖추지 못한 단계에서 중단된 건물 신축 공사를 제3자가 이어받아 진행함으로써 건물의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경우, 애초의 신축 중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상실한 자가 원시취득자에 대하여 그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건물 신축의 공사가 진행되다가 독립한 부동산인 건물로서의 요건을 아직 갖추지 못한 단계에서 중지된 것을 제3자가 이어받아 계속 진행함으로써 별개의 부동산인 건물로 성립되어 그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경우에 그로써 애초의 신축 중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상실한 사람은 민법 제261조, 제257조, 제259조를 준용하여 건물의 원시취득자에 대하여 부당이득 관련 규정에 기하여 그 소유권의 상실에 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257조, 제259조, 제26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충식)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낭규)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9. 9. 30. 선고 2008나1186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건물 신축의 공사가 진행되다가 독립한 부동산인 건물로서의 요건을 아직 갖추지 못한 단계에서 중지된 것을 제3자가 이어받아 공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별개의 부동산인 건물로 성립되어 그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경우에 그로써 애초의 신축 중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상실한 사람은 민법 제261조, 제257조, 제259조를 준용하여 건물의 원시취득자에 대하여 부당이득 관련 규정에 기하여 그 소유권의 상실에 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고 할 것이다. 원심은 우선, 원고가 소외 1 소유의 전북 무주군 (주소 생략) 외 3필지 토지(이하 ‘이 사건 토지’라고 한다) 위에 소외 1의 허락을 받아 주식회사 진일건설에 도급을 주어 3동의 건물(이하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이라고 한다)을 신축하던 중 공사대금의 미지급 등을 이유로 공사가 중단된 상태에서 피고가 소외 1로부터 이 사건 토지 등을 매수한 후에 위 건물신축공사를 다시 진행하여 이들 건물을 완성함으로써 그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사실, 위 공사의 재개 당시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의 가액은 도합 5천3백만 원인 사실을 인정하였다. 나아가 원심은 그 판시의 사정에 비추어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의 소유자는 주식회사 진일건설이 아니라 원고라고 인정한 다음, 결국 피고는 원고에 대하여 그 가액인 5천3백만 원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상고이유의 주장, 즉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의 소유자가 원고가 아니라 ‘ 소외 2 주식회사’라거나,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은 이 사건 토지에 부합되었으므로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취득함으로써 이 사건 신축 중 건물도 함께 취득한 것이라거나, 원고가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다거나, 이 사건 신축 중 건물의 가액이 잘못 산정되었다는 주장 등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양승태 전수안 양창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짓다 만 건물, 누구 소유일까요?

공사가 중단된 미완성 건물이라도 사회통념상 독립된 건물로 볼 수 있다면 원래 건축주가 소유권을 가진다.

#미완성 건물#소유권#건축주#사회통념

상담사례

🏗️ 짓다 만 건물, 주인은 누구? 🏢

미완성 건물을 이어받아 완공하면 최종 완공자가 건물 전체의 소유권을 갖는다.

#미완성 건물#소유권#완공#건축허가

상담사례

내가 지은 건물, 왜 내 것이 아니죠? 건물 원시취득과 보상청구에 대해 알아보자!

건물 신축 시 공사 중단 후 타인이 완공하면 완성 정도에 따라 최종 완공자가 원시취득자가 되지만, 초기 건축주는 기여분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건물#원시취득#보상청구#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건물 신축 중 공사가 중단되었을 때, 짓다 만 건물에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요?

건물 신축 공사 도중에 공사가 중단되었을 때, 공사업자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건물이나 그 건물이 지어지고 있는 토지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사회통념상 독립된 건물로 볼 수 없는 미완성 건물이나 토지에는 유치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유치권#미완성 건물#토지#공사중단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축업자, 건물은 누구 소유일까? 미완성 건물 인도받아 완공하면 소유권은?

건축허가 명의자가 건물 소유권을 갖는 것은 아니며, 실제 건축에 자재와 노력을 투입한 사람이 소유권을 갖습니다. 대지 소유자 명의로 건축허가를 받았더라도, 건축업자가 비용을 들여 건물을 지었다면 건축업자가 소유권을 갖게 됩니다. 다만, 대지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지 소유자에게 담보 목적으로 소유권이 넘어갈 수 있습니다. 미완성 건물이라도 사회통념상 독립된 건물로 볼 수 있다면 최초 건축주가 소유권을 갖습니다.

#건축허가#소유권#건축 기여도#대지 소유자

상담사례

내 땅에 남이 지은 건물, 누구 소유일까요? 🧱

땅값을 내지 않은 매수인이 매도인 땅에 건물을 지었더라도, 매도인 명의의 건물 등기는 땅값 지불 전까지 담보로서 유효하며, 매수인은 땅값 완납 후에야 건물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토지 매매#건물 소유권#땅값 지급#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