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증재·배임수재

사건번호:

2009도5793

선고일자:

201009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배임수증재죄에서 ‘부정한 청탁’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2] 피고인 甲이 한국자산관리공사 직원인 피고인 乙, 丙에게 한 청탁은 그 구체적 내용 및 乙, 丙이 내부 규정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해 준 점, 금품의 교부일시 등 제반 사정에 비추어 부정한 청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위 피고인들의 배임수증재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3] 피고인 甲이 집행관사무소 사무원인 피고인 丁에게 한 청탁은 그 구체적 내용 및 丁에게 현금으로 6,700만 원에 이르는 거액이 교부된 점, 丁에게는 높은 직무청렴성이 요구되는 점 등 제반 사정에 비추어 부정한 청탁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위 피고인들의 배임수증재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57조 / [2] 형법 제357조 / [3] 형법 제35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4. 9. 선고 99도2165 판결(공2002상, 1164),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4도6646 판결(공2005상, 347), 대법원 2010. 9. 9. 선고 2009도10681 판결(공2010하, 194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외 1인 및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화우 외 4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6. 3. 선고 2008노272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1. 검사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가. 상고이유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피고인 1이 피고인 2, 3에게 판시와 같은 청탁을 한 사실만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묵시적 청탁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없다. 나.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배임수증재죄에 있어서 부정한 청탁이라 함은 청탁이 사회상규와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는 것을 말하고, 이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청탁의 내용과 이와 관련되어 교부받거나 공여한 재물의 액수, 형식, 보호법익인 사무처리자의 청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2. 4. 9. 선고 99도2165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 1의 피고인 2, 3에 대한 청탁은 그 구체적 내용, 피고인 2, 3이 내부 규정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해 준 점, 금품의 교부일시 등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부정한 청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위 청탁에 관한 피고인들의 배임수증재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배임수증재죄에 있어서의 부정한 청탁의 의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상고이유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피고인 1, 4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 1의 피고인 4에 대한 청탁은 그 구체적 내용, 피고인 4에게 현금으로 6,700만 원에 이르는 거액이 교부된 점, 피고인 4에게는 집행관 사무원으로서 높은 직무청렴성이 요구되는 점 등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부정한 청탁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위 청탁에 관한 피고인들의 배임수증재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배임수증재죄에 있어서의 부정한 청탁의 의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피고인들의 상고이유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3. 결론 그러므로 검사와 피고인 1, 4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박시환 차한성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평가위원에게 건넨 돈, 뇌물일까? 배임수재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아직 정식 평가위원으로 선정되기 전이라도 선정이 확실시된 상태에서 부정한 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으면 배임수재죄가 성립한다.

#평가위원#선정 전#청탁#금품수수

형사판례

공무원 사건 청탁과 돈, 진짜 청탁 안 해도 죄가 될까?

공무원 관련 사건에 대해 실제 청탁할 의사 없이 금품을 받더라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받았다면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변호사법 위반#청탁 명목 금품 수수#실제 청탁 의사 불필요#이익 취득 목적

형사판례

돈 받았는데 뇌물인지 빌린 돈인지, 그 애매한 경계

공무원에게 돈을 건넨 행위가 뇌물인지, 단순히 돈을 빌려준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뇌물죄 유죄 판결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의 증명이 필요함을 강조한 판례입니다.

#뇌물죄#차용#증명책임#대법원

형사판례

공무원 뇌물, 차명계좌로 받아도 유죄!

공무원이 다른 사람과 함께 투자하거나, 다른 사람을 통해 투자하는 것처럼 꾸며서 실제로는 뇌물을 받았다면, 뇌물수수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뇌물#차명투자#유죄#공무원

형사판례

판사에게 건넨 돈, 뇌물일까? 직무 관련성 다시 따져봐야

한 판사가 기업 관계자로부터 돈을 받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돈이 판사의 직무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여 뇌물죄를 인정했습니다. 원심에서는 돈을 받은 목적이 다른 사건 청탁 때문이라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판사가 담당했던 재판과의 관련성을 인정하여 파기환송했습니다.

#판사#뇌물죄#직무관련성#대법원

형사판례

돈 전달만 했다면 변호사법 위반 아니다?

공무원에게 뇌물을 전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본인이 이득을 취할 의사 없이 단순히 돈을 전달만 했다면 변호사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뇌물#전달#변호사법 위반#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