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병입영처분취소

사건번호:

2009두10970

선고일자:

2009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학력을 위조하여 학사장교로 임관되어 현역장교로 복무하던 사람의 학력위조 사실이 밝혀지자 국방부장관이 임관무효처분을 하고, 그에 따라 병무청장이 현역병입영통지처분을 한 사안에서, 학력 관련 증명서를 위조하는 등 사관후보생 지원자격에 관한 요건을 ‘적극적으로 기망하여’ 장교로 임용된 경우에는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에서 정한 장교임용의 ‘소극적 결격사유’가 있음에도 장교로 임용된 경우와 그 위법성 및 하자의 정도를 달리하므로 같은 법 제10조 제3항을 적용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강원지방병무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6. 11. 선고 2008누289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제출된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가 2007. 10. 30. 원고에게 이 사건 임관무효처분을 구두로 통지한 사실을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채증법칙 위반 등의 잘못이 없다. 2.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 각호는 장교로 임용될 수 없는 일반적인 결격사유를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3항은 ‘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임용되었던 군인이 행한 직무행위 및 군복무기간은 그 효력을 잃지 아니하며 이미 지급된 보수는 반납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11조 제1항 제2호는 ‘사관후보생과정을 마친 자’는 장교 임용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8조 제2호는 사관후보생 응시자격을 4년제 대학 졸업자로 규정하고 있다. 원심은, 원고와 같이 학력 관련 증명서를 위조하는 등 사관후보생 지원자격에 관한 요건을 적극적으로 기망하여 장교로 임용된 경우에는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에서 정한 장교임용의 소극적 결격사유가 있음에도 장교로 임용된 경우와 그 위법성 및 하자의 정도를 달리하므로 위 군인사법 제10조 제3항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계 법령의 규정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군인사법 제10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학력 위조로 임관 무효? 그런데 고지는 안 했다고?

학사장교로 임관하여 전역 후 학력 위조가 드러나 임관이 무효되었다. 하지만 이 무효 처분이 본인에게 알려지지 않았다면 무효이고, 따라서 그에 기반한 현역병 입영 처분 역시 위법하다.

#학력위조#임관무효#고지#현역병입영

형사판례

군장학생, 입영 거부하면 처벌될까? - 입영기피죄 성립 여부

군장학생도 일반 병역 의무자와 마찬가지로 병역법의 적용을 받으며, 정당한 사유 없이 입영을 기피하면 처벌받는다. 설령 군장학생 제도에 대한 위헌 소송을 제기했더라도 입영 기피의 정당한 사유가 되지 않는다.

#군장학생#입영기피#병역법 위반#학사사관후보생

일반행정판례

특수전문요원의 장교 임용과 나이 제한

옛날에 있었던 '대학원졸업생 등의 병역특례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른 특수전문요원도 군인사법상 장교 임용 제한 연령 규정을 적용받는다는 판결입니다. 즉, 특수전문요원이라 하더라도 나이가 많으면 장교로 임용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특수전문요원#장교 임용#연령 제한#군인사법

민사판례

장기복무 장교의 전역,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의무복무기간을 마친 장교라 하더라도 군의 필요에 따라 전역이 제한되거나 추가 복무를 해야 할 수도 있다.

#장기복무장교#전역 제한#추가 복무#판례

일반행정판례

군 장학생, 마음대로 그만둘 수 있을까?

군장학생이 장학금 수혜 기간만큼 의무 복무해야 하는데, 유학 및 교수 임용 계획을 이유로 자퇴 신청한 것은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거부된 사례. 군장학생 규정 자체는 합헌.

#군장학생#자퇴#정당한 사유#합헌

민사판례

군장학생, 임용 전에는 근로자가 아니다!

군장학생은 장교로 임용되기 전까지는 국가와 근로계약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장교 임용 전 발생한 손해에 대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군장학생#근로계약 부존재#국가배상 청구 불가#장교 임용 전 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