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모욕

사건번호:

2010도1777

선고일자:

201006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국민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 제1호에서 보험급여의 제한사유로 규정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범죄행위에 기인한 경우’의 의미 [2] 타인의 폭행으로 상해를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상해를 입은 경위에 관하여 거짓말을 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보험급여 처리를 받아 사기죄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1] 국민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 제1호에서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범죄행위에 기인하거나 고의로 보험사고를 발생시킨 경우 이에 대한 보험급여를 제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법 제1조에 명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법조 소정의 급여제한 사유로 되는 요건은 되도록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할 것이므로, 위 법 제48조 제1항 제1호에 규정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범죄행위에 기인한 경우’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자기의 범죄행위에 전적으로 기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하였거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자신의 범죄행위가 주된 원인이 되어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2] 타인의 폭행으로 상해를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상해를 입은 경위에 관하여 거짓말을 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보험급여 처리를 받아 사기죄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 상해는 ‘전적으로 또는 주로 피고인의 범죄행위에 기인하여 입은 상해’라고 할 수 없다고 보아 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347조, 국민건강보험법 제1조, 제48조 제1항 제1호 / [2] 형법 제347조, 국민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두12175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및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0. 1. 21. 선고 2009노373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검사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국민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 제1호에서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범죄행위에 기인하거나 고의로 보험사고를 발생시킨 경우 이에 대한 보험급여를 제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법 제1조에 명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법조 소정의 급여제한 사유로 되는 요건은 되도록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할 것이므로 (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두12175 판결 등 참조), 법 제48조 제1항 제1호에 규정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범죄행위에 기인한 경우’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자기의 범죄행위에 전적으로 기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하였거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자신의 범죄행위가 주된 원인이 되어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 원심판결 및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의 이유를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 및 사정에 기초하여, 피고인이 공소외인의 폭행으로 입은 이 사건 상해가 전적으로 또는 주로 피고인의 범죄행위에 기인하여 입은 상해라고 할 수 없다고 보아, 피고인에 대한 이 부분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국민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 제1호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에서 피고인의 이 사건 모욕 범행을 유죄로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정당행위에 관한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건강보험 혜택, 언제 못 받을까요? 알아두면 쓸모있는 건강보험 급여 제한 정보!

고의/중과실, 타 법령 급여 수령, 보험료 체납, 국외 체류, 병역 의무 이행, 수감 등의 경우 건강보험 급여가 제한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건강보험#급여제한#급여지급정지#보험료체납

일반행정판례

교통사고로 인한 건강보험 급여 제한, 언제 가능할까?

운전 부주의로 교통사고를 낸 경우에도, 사고 발생 원인이 오로지 운전자 과실만이 아니라면 건강보험 급여를 제한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교통사고#건강보험#급여 제한#운전자 과실

생활법률

건강보험 급여, 언제 못 받을까요? (feat. 법조항)

건강보험 혜택은 고의/중과실, 타 보험/보상 수령, 보험료 체납, 해외 체류, 군복무, 교도소 수용 등의 경우 제한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건강보험#급여 제한#급여 정지#고의

일반행정판례

신호위반 교통사고, 건강보험 혜택 못 받을까?

교통신호 위반 사고를 냈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고 경위, 운전자의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대한 과실'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교통신호 위반#건강보험 급여 제한#중대한 과실#종합적 판단

형사판례

교통사고 보험금? 알고보니 남편 폭행?! 보험사기죄, 제대로 알고 청구하세요!

남편에게 맞아 목을 다친 여성이 교통사고로 위장하여 보험금을 청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단순히 교통사고를 위장했다는 이유만으로 사기죄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보험약관에서 교통사고와 일반적인 상해를 구분하여 보장하고 있는지, 혹은 교통사고 보험금이 더 많은지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교통사고 위장#보험금 청구#사기죄#보험약관

민사판례

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 청구, 어디까지 가능할까?

교통사고 피해자가 건강보험 혜택을 받은 후 가해자 측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받았을 때, 건강보험공단은 가해자 측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건강보험공단이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건강보험 급여 항목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가해자 측이 피해자에게 직접 지급한 비급여 치료비는 공단이 돌려받을 금액에서 공제해야 합니다.

#건강보험공단#구상권#급여#비급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