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피고인2에대하여인정된죄명:사기방조)

사건번호:

2010도2810

선고일자:

201004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수인의 피해자에 대하여 단일한 범의하에 동일한 방법으로 각 피해자별로 기망행위를 하여 재물을 편취한 경우, 사기죄의 죄수 관계(=실체적 경합) [2] 다수의 계(契)를 조직하여 수인의 계원들을 개별적으로 기망하여 계불입금을 편취한 사안에서, 각 피해자별로 독립하여 사기죄가 성립하고 그 사기죄 상호간은 실체적 경합범 관계에 있다고 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3] 계(契) 운영을 통한 甲의 사기범행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 또는 예견하면서도 그 범행의 실행행위를 직·간접적으로 도와 용이하게 한 乙의 행위가 사기방조죄에 해당한다고 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7조, 제347조 / [2] 형법 제37조, 제347조 / [3] 형법 제32조, 제34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6. 13. 선고 89도582 판결(공1989, 1103), 대법원 1990. 1. 25. 선고 89도252 판결(공1990, 589), 대법원 2001. 12. 28. 선고 2001도6130 판결(공2002상, 444), 대법원 2003. 4. 8. 선고 2003도382 판결(공2003상, 1134),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도2390 판결, 대법원 2008. 8. 21. 선고 2008도4005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전봉진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0. 2. 9. 선고 2009노354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 1의 상고이유 제1, 2점에 대하여 단일한 범의를 가지고 상대방을 기망하여 착오에 빠뜨림으로써 그로부터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재물을 편취하면 그 전체가 포괄하여 일죄로 되지만, 여러 사람의 피해자에 대하여 따로 기망행위를 하여 각각 재물을 편취한 경우에는 비록 범의가 단일하고 범행방법이 동일하더라도 각 피해자의 피해법익은 독립한 것이므로 그 전체가 포괄일죄로 되지 아니하고 피해자별로 독립한 여러 개의 사기죄가 성립하고( 대법원 1989. 6. 13. 선고 89도582 판결, 대법원 2003. 4. 8. 선고 2003도382 판결 등 참조), 그 사기죄 상호간은 실체적 경합범 관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 즉 공소외 1과 공소외 2는 각 피고인 1이 조직한 2003. 1. 13.자 계와 2004. 4. 16.자 계를 통하여, 그와 별도로 공소외 1과 공소외 3은 각 피고인 1이 조직한 2007. 8. 16.자 계를 통하여 피해를 입었지만, 위 피해자들은 각 피고인 1의 개별적인 기망행위에 기하여 위 각 계에 가입한 점, 위 피해자들의 계불입금 납입과 계금 수령 등도 피고인 1과 사이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점 등을 인정한 후, 그에 비추어 보면 피해자들의 피해 원인은 피고인 1의 개별적인 기망행위라 할 것이므로 피해자별로 독립하여 사기죄가 성립하고 그 사기죄 상호간은 실체적 경합범 관계에 있다고 판단하였는바, 위와 같은 원심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사기죄의 죄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2. 피고인 1의 상고이유 제3점, 피고인 김현미의 상고이유 제1, 2점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 1이 피해자들로부터 계불입금을 수령할 당시 계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고, 또한 적법하게 채택한 판시 증거들을 종합하면 피고인 1의 위와 같은 사정을 잘 알고 있던 피고인 김현미가 피고인 1을 위해 계원들의 계불입금 납입 여부를 확인하고 일부 계원들에게는 피고인 1을 대신하여 직접 계불입금의 지급을 독촉하거나 계불입금을 지급받기도 하였으며, 또한 피고인 1이 계원들로부터 계금의 지급을 독촉받거나 항의를 받을 때마다 이를 저지하였고, 계금을 수령하는 계원으로부터 장차의 계불입금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 그 계원의 가족으로부터 피고인 김현미를 수취인으로 한 약속어음 공증을 받기도 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피고인 김현미는 피고인 1의 계 운영을 통한 사기범행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 또는 예견하면서도 위 범행의 실행행위를 직·간접적으로 도와 이를 용이하게 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이 적법하게 인정한 사실관계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들의 행위가 사기죄 및 사기방조죄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사기죄 및 사기방조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한편 위 상고이유 중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다른 사실을 전제로 원심판단에 사기죄 및 사기방조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부분은, 결국 사실심인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는 것에 불과하여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차한성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기죄, 피해자가 여러 명이면 어떻게 처벌할까요?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담보로 사기를 친 경우,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사기죄는 하나로 볼 수 있는가? 아니면 피해자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기죄가 성립하는가? 대법원은 피해자 각각의 재산권이 독립적으로 침해되었으므로 피해자별로 사기죄가 성립하고, 이는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유부동산#사기#피해자별 죄수#상상적 경합

형사판례

여러 명에게 사기 치면 죄도 여러 개! 무면허 의료행위도 처벌받아요!

여러 사람을 속여 돈을 받아낸 사기 사건과, 건강보조식품을 팔면서 무면허 의료행위를 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 각각의 피해자에게 사기를 친 경우,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하나의 죄가 아니라 각각 별개의 사기죄가 성립한다는 것과, 건강보조식품 판매자가 체질 검사, 체지방 측정 등을 하면서 질병 치료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건강보조식품을 판매하고 복용 후 부작용에 대한 상담까지 한 행위는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한다는 것을 확인한 판례.

#건강보조식품#사기#무면허 의료행위#죄수

형사판례

사기죄 죄수, 방조범의 고의, 공인회계사 직무제한 위반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이 판례는 여러 명을 사기 쳤을 때 죄를 어떻게 나누는지, 범죄를 도운 사람은 어떤 마음을 가져야 처벌받는지, 그리고 회계사가 주식을 가지고 있는 회사를 감사하는 것이 법에 어긋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사기죄#방조죄#공인회계사법 위반(직무제한)#공소기각

형사판례

사기죄의 죄수, 부정수표와 사기죄의 관계, 이중담보와 배임죄

동일 피해자에게 여러 번 사기를 쳐도 범행 동기나 수법이 다르면 각각 따로 처벌한다. 사기 치려고 발행한 수표가 부도나면 사기죄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로 각각 처벌한다. 이미 다른 사람에게 양도담보로 맡긴 물건을 또 다른 사람에게 다시 양도담보로 설정하고 처분했더라도 두 번째 채권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항소심에서 여러 죄를 하나로 묶어 유죄 판결했는데, 그중 하나라도 무죄라면 대법원은 항소심 판결 전체를 다시 하라고 돌려보내야 한다.

#사기죄#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배임죄#이중양도담보

형사판례

계 불입금 편취, 이자 분배해도 사기죄 성립

낙찰계 운영자가 계원들을 속여 계 불입금을 받아 가로챘다면, 낙찰자에게 받은 이자를 다른 계원들에게 나눠줬더라도 받아 가로챈 계 불입금 전액이 사기 금액으로 인정된다는 판결.

#계 불입금 편취#사기#이자 분배 무관#전액 편취 인정

형사판례

부부에게 사기 친 사건, 하나의 죄일까? 여러 개의 죄일까? (포괄일죄)

부부에게 동일한 거짓말로 투자를 권유하여 각각의 계좌에서 돈을 받아 가로챈 경우, 비록 각자의 계좌에서 돈이 나갔더라도 부부가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투자를 결정했고 돈의 출처도 공동재산이었다면 하나의 사기죄(포괄일죄)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부부#공동투자#사기#포괄일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