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세등 부과처분 취소

사건번호:

2011두12726

선고일자:

201307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기존법인이 합병하는 과정에서 피합병법인의 종전 본점이나 지점 소재지에 존속법인의 지점을 설치한 다음 5년 이내에 그 지점에 관계되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 그 부동산등기에 대하여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구 지방세법(2010. 1. 1. 법률 제99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8조 제1항 제3호, 제3항,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9. 5. 21. 대통령령 제214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102조 제7항의 문언 내용과 관련 규정의 전체적인 체계 및 합병에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등기에 대하여 등록세 중과세의 부담을 완화하여 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려는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의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여 보면, 기존법인이 다른 법인과 합병하는 과정에서 피합병법인의 종전 본점이나 지점 소재지에 존속법인의 지점을 설치한 다음 그때부터 5년 이내에 그 지점에 관계되는 부동산을 취득하여 등기하는 경우에도 그 부동산등기에 대하여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참조조문

구 지방세법(2010. 1. 1. 법률 제99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8조 제1항 제3호(현행 제28조 제2항 제1호 참조), 제3항(현행 제28조 제5항 참조),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9. 5. 21. 대통령령 제214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2조 제7항(현행 제27조 제5항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코오롱글로텍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평지성 외 1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신 담당변호사 김우찬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1. 4. 28. 선고 2010누358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지방세법(2010. 1. 1. 법률 제99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8조 제1항 제3호는 ‘대도시내에서의 법인의 설립과 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설치 및 대도시내로의 법인의 본점·주사무소·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전입에 따른 부동산등기와 그 설립·설치·전입 이후의 부동산등기’에 대하여 등록세를 중과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조 제3항의 위임에 따라 등록세 중과세의 범위와 적용 기준 등을 정하고 있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9. 5. 21. 대통령령 제214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102조는 제7항에서 “대도시안에서 설립 후 5년이 경과한 법인(이하 ‘기존법인’이라 한다)이 다른 기존법인과 합병하는 경우에는 이를 중과세 대상으로 보지 아니하며, 기존법인이 대도시안에서 설립 후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법인과 합병하는 경우에는 합병 당시 기존법인에 대한 자산비율에 해당하는 부분을 중과세 대상으로 보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령규정의 문언 내용과 관련 규정의 전체적인 체계 및 합병에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등기에 대하여 등록세 중과세의 부담을 완화하여 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려는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의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여 보면, 기존법인이 다른 법인과 합병하는 과정에서 피합병법인의 종전 본점이나 지점 소재지에 존속법인의 지점을 설치한 다음 그때부터 5년 이내에 그 지점에 관계되는 부동산을 취득하여 등기하는 경우에도 그 부동산등기에 대하여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기존법인인 원고가 역시 기존법인인 주식회사 코오롱스포렉스를 흡수합병하여 주식회사 코오롱스포렉스의 종전 본점 소재지에 원고의 지점을 설치한 다음 그때부터 5년 이내에 위 지점의 영업에 사용되던 부동산을 취득하여 마친 이 사건 부동산등기에 대하여도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이 적용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시행령 제102조 제7항의 적용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신영철 이상훈(주심) 김용덕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주택건설용 토지 취득 후 용도 변경과 등록세 중과세, 합병하면 피할 수 있을까?

주택건설용으로 토지를 취득한 후 용도를 변경하고 다른 법인과 합병한 경우, 합병된 법인은 등록세 중과세를 납부해야 하는가? 본 판례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중과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등록세#중과세#주택건설용토지#용도변경

세무판례

대도시 법인 합병과 등록세 중과: 핵심은 '새로운' 경제력 집중 여부!

지방에 있던 회사가 서울로 본사를 옮기고 5년 안에 서울에 오래 있던 회사를 합병하면서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합병된 회사 자산에 해당하는 부분은 등록세를 중과하지 않는다.

#등록세 중과#법인 합병#본사 이전#서울

세무판례

도시형업종 공장 증설 목적 부동산 취득, 등록세 중과세 면제받으려면?

대도시 안에서 공장을 신설하거나 증설하기 위해 부동산을 취득할 때 등록세를 중과하지 않는 혜택을 받으려면, 실제로 공장 건물을 짓고 있지 않더라도 **취득 당시 도시형 공장을 짓기 위한 목적이었음을 명확히 입증**해야 합니다.

#등록세#중과#도시형공장#신설

세무판례

기업 분할과 합병을 이용한 법인세 회피, 안 통합니다!

부동산을 판 회사가 세금을 줄이기 위해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지만, 법원은 이를 세금 회피로 판단하고 세금을 추징했습니다.

#법인세 회피#분할합병#실질과세#부동산 매각

세무판례

대도시 지점 인수 시 등록세 중과세, 꼭 내야 할까?

다른 회사의 영업과 함께 기존 지점 사무실을 인수받아 사용하는 경우, 새로 지점을 설치한 것이 아니므로 등록세를 중과세하지 않는다.

#영업양수#지점 사무실#등록세 중과#대도시

세무판례

수도권 법인의 서울 전입 후 부동산 취득 시 등록세 중과 여부

수도권(서울 제외)에서 서울로 본점을 옮긴 법인이 5년 안에 서울 *바깥*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을 사면 등록세 중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서울로 옮긴 후 서울 *안* 부동산을 사야 중과세합니다.

#수도권 법인#서울 이전#수도권 부동산#등록세 중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