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

사건번호:

2012다47388

선고일자:

201211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영업자금의 차입 행위에 대하여 상행위에 관한 상법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법 제4조, 제47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다104246 판결(공2012상, 78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12. 5. 3. 선고 2011나2033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원심판결 및 제1심판결 중 피고 송춘호의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1 생략)”을 “(주민등록번호 2 생략)”로 각 경정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처분문서나 당사자의사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포기각서 등에 의하여 이 사건 준소비대차계약의 효력이 소멸하였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상사채무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영업의 목적인 상행위를 개시하기 전에 영업을 위한 준비행위를 하는 자는 영업으로 상행위를 할 의사를 실현하는 것이므로 그 준비행위를 한 때 상인자격을 취득함과 아울러 개업준비행위는 영업을 위한 행위로서 그의 최초의 보조적 상행위가 된다. 한편 영업자금의 차입 행위와 같이 행위 자체의 성질로 보아서는 영업의 목적인 상행위를 준비하는 행위라고 할 수 없지만, 행위자의 주관적 의사가 영업을 위한 준비행위였고 상대방도 행위자의 설명 등에 의하여 그 행위가 영업을 위한 준비행위라는 점을 인식하였던 경우에는 상행위에 관한 상법의 규정이 적용된다(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다104246 판결 참조). 그러나 이러한 준비행위가 보조적 상행위로서 상법의 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그 행위를 하는 자가 장차 상인자격을 취득하는 것을 당연한 전제로 하므로, 그 행위자의 어떤 행위가 상인자격을 취득할 주관적 의사 아래 영업을 위한 준비행위로서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에 대한 입증이 없다면 이는 그 행위자의 보조적 상행위라고 볼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소외인은 이 사건 매매계약 체결 직후 원고와 사이에 그 계약금을 소비대차의 목적물로 할 것을 약정하는 이 사건 준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소비대차상의 채무인 이 사건 채무를 부담하게 되었고, 피고들은 이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한 사실, 그 후 소외인과 피고들 등은 이 사건 부동산에서 모텔 건물 신축을 위한 기초공사를 진행하다가 원고의 요구로 이 사건 포기각서를 작성한 뒤 그 공사현장에서 철수한 사실을 알 수 있을 뿐, 나아가 소외인이 이 사건 채무를 부담하게 된 것이 장차 상인자격을 취득할 의사 아래 영업을 위한 준비행위로서 이루어진 것인지에 대하여는 아무런 입증이 없다. 이러한 사정을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그 이유 설시에 다소 부적절하거나 미흡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이 사건 채무가 상사채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피고들의 소멸시효 완성 주장을 배척한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기로 하되, 원심판결 및 제1심판결의 당사자 표시에 명백한 오류가 있으므로 이를 각 경정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인복(재판장) 민일영 박보영 김신(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업자 명함 주고 돈 빌렸다면 사업자금으로 추정?

사업자가 사업자등록증에 등록된 상호를 사용하여 돈을 빌렸다면, 그 돈은 사업을 위해 빌린 것으로 추정되며, 돈이 다른 사람의 계좌로 들어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그 추정이 쉽게 뒤집히지는 않는다는 판례.

#사업자#차용#사업용도 추정#상법 제47조 제2항

형사판례

돈 빌릴 때 용도 속이면 사기죄?

돈을 빌리는 목적을 속여 돈을 빌렸다면, 진짜 목적을 알았더라면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될 경우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

#사기죄#차용사기#거짓 목적#대법원

형사판례

돈 빌려준 게 사기일까? 빌린 돈과 다른 빚을 퉁칠 수 있을까?

돈을 빌릴 당시 갚을 능력이 없더라도, 다른 채권이 있어서 상계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사기죄#변제능력#채권상계#주점대금

민사판례

빚 때문에 힘든데 돈 빌려서 새 사업 시작하면 사해행위일까?

빚 때문에 힘든 사람이 돈을 빌려 부동산을 사고, 그 부동산으로 새 사업을 해서 빚을 갚으려 할 때, 돈 빌려준 사람에게 그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것은 보통 사해행위가 아닙니다. 하지만 새 사업과 관계없는 빚까지 담보에 포함시켰다면 그 부분은 사해행위일 수 있습니다.

#사해행위#담보#부동산#새 사업

민사판례

회사 설립 준비 자금 대출, 상사채무일까?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개인이 돈을 빌린 경우, 단순히 설립될 회사가 상업 활동을 하는 회사라는 이유만으로 그 빚을 상행위(상업 활동)로 인한 빚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즉, 개인이 회사 설립을 위해 돈을 빌린 행위 자체는 상행위가 아니므로, 일반 민사 채무에 적용되는 법리가 적용됩니다.

#회사설립준비자금#차용#상행위#민사채무

민사판례

돈 빌려 사업 말아먹으면 사기꾼?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돈이 부족해서 사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회사가 사업을 유지하고 빚을 갚기 위해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신탁해서 새로운 자금을 융통받은 경우, 이를 다른 채권자를 해하려는 사해행위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부동산 신탁#사해행위#자금융통#사업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