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등

사건번호:

2014다41698

선고일자:

2014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주택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 제2호에 따라 토지만 소유한 사람에게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토지의 매매가격이 되는 ‘시가’의 의미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같은 법 제39조 제2호에 따라 乙 등이 소유한 토지에 대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였는데, 토지 현황이 인근 주민의 통행에 제공된 도로 등인 사안에서, 시가는 재건축사업이 시행될 것을 전제로 할 경우의 인근 대지 시가와 동일하게 평가하되, 각 토지의 형태 등 개별요인을 고려하여 감액 평가하는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같은 법 제39조 제2호에 따라 토지만 소유한 사람에게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면 매도청구권 행사의 의사표시가 도달함과 동시에 토지에 관하여 시가에 의한 매매계약이 성립하는데, 이때의 시가는 매도청구권이 행사된 당시의 객관적 거래가격으로서, 주택재건축사업이 시행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평가한 가격, 즉 재건축으로 인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개발이익이 포함된 가격을 말한다.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같은 법 제39조 제2호에 따라 乙 등이 소유한 토지에 대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였는데, 토지 현황이 인근 주민의 통행에 제공된 도로 등인 사안에서, 토지의 현황이 도로일지라도 주택재건축사업이 추진되면 공동주택의 일부가 되는 이상 시가는 재건축사업이 시행될 것을 전제로 할 경우의 인근 대지 시가와 동일하게 평가하되, 각 토지의 형태, 주요 간선도로와의 접근성, 획지조건 등 개별요인을 고려하여 감액 평가하는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한데도, 현황이 도로라는 사정만으로 인근 대지 가액의 1/3로 감액한 평가액을 기준으로 시가를 산정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 제2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8조 제4항 /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 제2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8조 제4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8다21549, 21556, 21563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수택42통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인의 담당변호사 김선진 외 1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5. 8. 선고 2013나47806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들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같은 법 제39조 제2호에 의하여 토지만 소유한 사람에 대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면 그 매도청구권 행사의 의사표시가 도달함과 동시에 그 토지에 관하여 시가에 의한 매매계약이 성립하는바, 이때의 시가는 매도청구권이 행사된 당시의 객관적 거래가격으로서, 주택재건축사업이 시행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평가한 가격, 즉 재건축으로 인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개발이익이 포함된 가격을 말한다(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8다21549, 21556, 21563 판결 참조). 2.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매도청구권의 대상인 피고들 소유의 이 사건 각 토지는 그 현황이 인근 주민의 통행에 제공된 도로 등으로서 이미 교환가치가 현저히 저감된 상태여서 이 사건 재건축사업구역에 편입된다는 사정만으로는 기존의 저감상태에서 벗어난다고 할 수 없다는 등을 이유로, 기준시점에서의 이 사건 재건축사업 시행으로 인한 지가변동분이 반영된 인근 대지의 가액을 3분의 1로 감액한 감정평가액을 기준으로 그 시가를 산정하였다. 나. 그러나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각 토지의 현황이 도로일지라도 주택재건축사업이 추진되면 공동주택 부지의 일부가 되는 이상 그 시가는 재건축사업이 시행될 것을 전제로 할 경우의 인근 대지의 시가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평가하되, 다만 이 사건 각 토지의 형태, 주요 간선도로와의 접근성, 획지조건 등 개별요인들을 고려하여 감액평가하는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인바, 이와 달리 원심이 현황이 도로라는 이유만으로 인근 대지 가액의 3분의 1로 감액한 평가액을 기준으로 시가를 산정한 것은 매도청구권 행사에 있어 시가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그르친 것이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들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우리 땅이 도로로 쓰인다고 보상을 헐값에 받아야 할까요? 재건축 매도청구, 제대로 알아봅시다!

재건축 시 도로로 사용되는 토지라도 장래 아파트 부지로서의 가치를 반영하여 주변 땅값과 유사하게 보상받아야 한다.

#재건축#매도청구#도로#땅값

민사판례

재건축 사업에서 토지 매매가격 분쟁, 대법원 "도로는 도로로 평가해야"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이 매도청구를 할 때, 도로로 사용 중인 땅값은 도로로서의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재건축#매도청구#도로부지#시가

민사판례

아파트 지으려는데 땅 주인이 안 판다고요? 매도청구권 행사 시 땅값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아파트 건설을 위해 필요한 땅을 소유자가 팔지 않을 경우, 건설사는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때 매매 가격은 개발이익을 포함한 시가로 계산해야 한다. 특히 도로로 사용되는 구거라도 아파트 건설 후에는 부지의 일부가 되므로, 개발이익을 반영해야 한다는 판결.

#매도청구권#구거#개발이익#시가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내 땅에 대한 보상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도로가 된 이후 주변 땅값이 많이 올랐다면 그걸 반영해야 할까? 이 판례는 '주변 땅값 상승이 명백하다면 보상금 계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도로#토지보상#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주변땅값상승

민사판례

우리 땅, 도로로 쓰이고 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땅에 대한 보상금을 계산할 때, 원래 도로였던 땅과 새로 도로가 된 땅은 계산 방식이 다르고, 주변 땅값이 오르면 그걸 반영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보상금 계산에 사용되는 이자율은 여러 가지 금리를 고려하여 정합니다.

#도로보상금#토지보상#기대이율#주변땅값

민사판례

도로로 사용 중인 땅,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 주변 땅값과 똑같이?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땅에 대해 보상금을 줄 때, 주변 땅이 개발되어 값이 올랐더라도 그 땅도 똑같이 개발되었을 거라고 단순히 추측해서는 안 되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을 가능성이 '객관적으로 명백'해야 주변 땅값을 기준으로 보상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보상#도로#주변땅값#개발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