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사건번호:

2015다206461

선고일자:

201601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보험계약자가 다수의 보험계약을 통하여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체결한 보험계약의 효력(무효) 및 보험계약자가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다수의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는지에 관하여 이를 인정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3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5. 7. 28. 선고 2005다23858 판결(공2005하, 1421), 대법원 2015. 2. 12. 선고 2014다73237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산 담당변호사 김철 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15. 1. 21. 선고 2014나1087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보험계약자가 다수의 보험계약을 통하여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보험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러한 목적으로 체결된 보험계약에 의하여 보험금을 지급하게 하는 것은 보험계약을 악용하여 부정한 이득을 얻고자 하는 사행심을 조장함으로써 사회적 상당성을 일탈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위험의 분산이라는 보험제도의 목적을 해치고 위험발생의 우발성을 파괴하며 다수의 선량한 보험가입자들의 희생을 초래하여 보험제도의 근간을 해치게 되므로, 이와 같은 보험계약은 민법 제103조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반하여 무효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보험계약자가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다수의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는지에 관하여는 이를 인정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면 보험계약자의 직업 및 재산상태, 다수 보험계약의 체결 시기와 경위, 보험계약의 규모와 성질, 보험계약 체결 후의 정황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5. 7. 28. 선고 2005다23858 판결, 대법원 2015. 2. 12. 선고 2014다73237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가 다수의 상해보험 등에 가입하여 월 120만 원가량의 보험료를 지출하는 것이 사회통념상 지극히 이례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에 손님으로 온 보험대리점장과 보험설계사들의 권유로 이와 같이 다수의 보험계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는 피고의 주장의 신빙성을 부정하기 어려운 점, 피고가 겪고 있는 병세는 대부분 일상적인 거동에 큰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어서 피고가 입원의 필요성이 없음에도 위장입원을 하였다거나 그 입원기간이 사회통념상 지나치게 장기간이었다고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하여 피고가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이 사건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다수의 보험계약과 민법 제103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는 등으로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이상훈(주심) 김창석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여러 보험 가입해서 한꺼번에 보험금 타려고? 꿈 깨세요!

보험금을 타낼 목적으로 과도하게 많은 보험에 가입하면 민법 제103조에 따라 계약이 무효가 될 수 있다.

#보험#과다가입#보험금#무효

민사판례

여러 보험 가입, 보험금 사기일까?

짧은 기간에 여러 보험에 가입하고 보험금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보험사기라고 볼 수 없으며, 가입자의 소득, 보험 가입 경위, 질병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보험사기#보험금#다수보험가입#소득

민사판례

보험금 노린 과다 보험 가입, 무효될 수 있다!

단기간에 많은 보험에 가입하고, 수입에 비해 보험료가 과도하게 높으며, 가입 직후 잦은 사고로 보험금을 많이 타간다면 보험금 부정 취득 목적으로 의심받아 보험계약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보험사기#과도한보험#보험계약무효#보험금반환

상담사례

여러 보험 가입,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 계약의 위험성)

과도한 보험 가입은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으로 의심받아 계약 무효 및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므로 소득 수준에 맞는 적절한 보험 가입이 필요하다.

#보험#부정취득#무효#과도한 가입

상담사례

보험금, 많이 받았다고 무조건 사기일까요? 보험사와 분쟁 시 알아야 할 점!

보험금 다수 수령 자체가 사기는 아니며, 보험사가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을 입증해야 하는데, 경제적 능력 대비 과도한 보험료, 단기간 다수 보험 가입, 적극적 가입 의지, 보장성 보험 위주 가입, 허위 정보 고지, 가입 후 단기간 내 청구, 형사처벌 여부 등 정황적 증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보험금#부정취득#보험사기#다수보험

민사판례

보험금 노린 다수 보험 가입, 무효입니다! 그리고 보험금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보험에 가입해서 보험금을 타낼 목적으로 계약한 경우, 그 계약은 무효이며, 이미 타낸 보험금도 돌려줘야 한다. 보험금을 받는 사람이 계약자와 다른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보험금 부정취득#계약무효#보험금 반환#보험수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