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15다237250

선고일자:

201605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직선거법 또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의한 선거에서 선거권이 있는지는 각각 해당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야 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및 해당 법률에서 정한 벌칙 규정을 위반한 선거범에게 선거권이 있는지는 선거 당시 시행되는 법률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2] 교육감선거 과정에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위반행위를 하여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제16장의 벌칙 규정에 따라 처벌받은 자가 교육감선거가 아닌 공직선거에서 선거권을 제한받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1] 공직선거법에 의한 선거 또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하 ‘교육자치법’이라 한다)에 의한 선거에서 선거권이 있는지는 다른 법률에 규정이 없는 한 각각 해당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해당 법률에서 정한 벌칙 규정을 위반한 선거범에게 선거권이 있는지는 위반행위가 언제 있었는지와 상관없이 선거 당시에 시행되는 공직선거법 및 교육자치법에 의해 판단하여야 한다. [2] 교육감선거 과정에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하 ‘교육자치법’이라 한다)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위반행위를 하여 역시 교육자치법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제16장의 벌칙 규정에 따라 처벌받은 자라 하더라도, 달리 공직선거법에 규정이 없는 이상 그가 당연히 공직선거법 제18조에 규정된 선거범에 해당하여 교육감선거가 아닌 공직선거에서까지 선거권을 제한받는다고는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공직선거법 제15조, 제18조,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 [2] 공직선거법 제2조, 제18조 제1항 제3호, 제2항, 제230조,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대전지법 2015. 8. 21. 선고 2014나10755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1. 공직선거법에 의한 선거 또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하 ‘교육자치법’이라 한다)에 의한 선거에서 선거권이 있는지 여부는 다른 법률에 규정이 없는 한 각각 해당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해당 법률에서 정한 벌칙 규정에 위반한 선거범에게 선거권이 있는지 여부는 그 위반행위가 언제 있었는지와 상관없이 선거 당시에 시행되는 공직선거법 및 교육자치법에 의해 판단하여야 한다. 2.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가. 공직선거법 제2조는 ‘이 법은 대통령선거·국회의원선거·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8조 제1항 제3호는 ‘선거일 현재 선거범으로서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5년 또는 형의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10년을 경과하지 아니하거나 징역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또는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10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형이 실효된 자도 포함한다)는 선거권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2항은 제1항 제3호에서 ‘선거범’이라 함은 제16장 벌칙에 규정된 죄와 국민투표법 위반의 죄를 범한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어디에도 교육감선거 과정에서 교육자치법 위반행위로 처벌받은 자에 대하여 공직선거에서의 선거권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아니하다. 한편 교육자치법 제49조는 공직선거법 중 시·도지사 및 시·도지사선거에 관한 규정의 구체적인 조문들과 그 벌칙 규정을 상세히 열거하여 교육감선거에 준용하고 있고, 위와 같이 구체적으로 열거하여 준용된 공직선거법의 규정에는 선거권의 제한에 관한 공직선거법 제18조 및 벌칙에 관한 공직선거법 제16장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교육감선거에서의 선거권 제한에 관하여 공직선거법의 위 각 규정을 준용한다는 것일 뿐 역으로 교육자치법 위반죄를 범한 자를 공직선거법상의 선거범으로 본다는 취지는 아니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육감선거 과정에서 교육자치법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위반행위를 하여 역시 교육자치법에 의하여 준용되는 공직선거법 제16장의 벌칙 규정에 따라 처벌받은 자라 하더라도, 달리 공직선거법에 규정이 없는 이상 그가 당연히 공직선거법 제18조에 규정된 선거범에 해당하여 교육감선거가 아닌 공직선거에서까지 선거권을 제한받는다고는 할 수 없다. 나. 한편 원심은 원고들이 2009. 4. 28.자 충남교육감선거와 관련하여 교육자치법 위반죄로 처벌받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2014. 6. 4. 실시된 지방의회의원 및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장 선거(이하 ‘이 사건 공직선거’라 한다)의 선거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서, 구 교육자치법(2010. 2. 26. 법률 제1004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교육자치법’이라 한다)을 적용·판단하였다. 그러나 앞서 본 것처럼 어느 선거에서 선거권이 있는지 여부는 당해 선거 당시 시행되는 선거법에 의하여 판단할 것이므로, 원고들에게 2014. 6. 4. 실시된 선거에서 선거권이 있는지 여부 역시 그 당시 시행된 현행 교육자치법과 공직선거법을 적용·판단하는 것이 맞다. 다만 구 교육자치법이나 현행 교육자치법의 ‘선거범’에 대한 선거권 제한 규정의 내용은 동일하므로 어느 법률을 적용하든 결과에서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는 적용법규에 관한 원칙의 문제이므로 분명하게 가려서 판단하여야 한다. 다. 이러한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판결의 이유에 다소 잘못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원고들이 구 교육자치법 위반죄로 처벌받았더라도 이 사건 공직선거에서는 선거권이 있다고 본 것은 결론적으로는 옳다. 이 부분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교육자치법, 공직선거법, 국가배상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이에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박병대(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육감의 정치자금법 적용과 뇌물죄 성립 여부

교육감은 정치자금법 적용 대상이 아니며, 교육감 선거가 끝난 후 받은 돈도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볼 수 없다.

#교육감#정치자금법#적용대상#무죄

일반행정판례

교육감 선거 무효 소송, 쟁점과 판결은?

이 판례는 교육감 선거에서 후보자의 자격 요건(교육경력)과 선거 무효 소송에서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다룹니다. 재판부는 소외 3 후보의 교육 경력은 인정되며,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도 근거가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교육감 선거#후보자 자격#교육경력#선거 무효 소송

형사판례

선거운동과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 판례는 선거운동과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선거 준비행위나 정당활동과 실제 선거운동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이 있었는지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명시했습니다.

#선거운동#선거영향#목적#판단기준

형사판례

교육감 선거법 위반, 부패재산 몰수 대상 아니다?!

지방교육자치법 위반으로 얻은 재산은 부패재산몰수법에 따라 몰수할 수 없다. 지방교육자치법이 공직선거법 조항을 준용한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교육감 선거#지방교육자치법 위반#부패재산몰수법#재산몰수

생활법률

선거, 뭔가 이상하다?! 선거소송, 이렇게 진행됩니다!

선거 결과에 이의가 있으면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는 30일 이내 대법원에, 지방선거는 선거소청 후 10일 이내 대법원/고등법원에 선거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선거법 위반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선거 무효 판결이 납니다.

#선거소송#선거무효#대법원#고등법원

생활법률

지방선거, 뭔가 잘못됐다 싶으면? 선거소청 & 당선소청 완벽 정리!

선거 후 선거 과정이나 결과, 당선인 자격에 문제가 있다면 선거인은 14일 이내 선거소청을, 후보자나 정당은 14일 이내 당선소청을 제기하여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거소청#당선소청#선거 무효#당선 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