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등

사건번호:

2016다11226

선고일자:

2018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제조업체가 위법한 쟁의행위로 인한 조업중단으로 입은 손해의 배상을 구하기 위하여 증명하여야 할 사항 및 이때 간접반증이 없는 한 제품이 생산되었다면 그 후 판매되어 제조업체가 매출이익을 얻고 생산에 지출된 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추정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393조, 제750조, 제763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조, 민사소송법 제28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 12. 10. 선고 93다24735 판결(공1994상, 34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손지열 외 5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5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기덕) 【원심판결】 대전고법 2016. 1. 21. 선고 2013나310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제조업체가 위법한 쟁의행위로 인한 조업중단으로 입는 손해로는, 조업중단으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함으로써 생산할 수 있었던 제품을 판매하여 얻을 수 있는 매출이익을 얻지 못한 손해와 조업중단 여부와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차임, 제세공과금, 감가상각비, 보험료 등)을 회수하지 못한 손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측에서는 조업중단으로 인하여 일정량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생산되었을 제품이 판매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여야 한다. 다만 판매가격이 생산원가에 미달하는 이른바 적자제품이라거나 조업중단 당시 불황 등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 제품이 판매될 가능성이 없다거나, 제품에 결함이나 하자가 있어서 판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의 간접반증이 없는 한, 당해 제품이 생산되었다면 그 후 판매되어 제조업체가 이로 인한 매출이익을 얻고 또 그 생산에 지출된 고정비용도 매출원가의 일부로 회수할 수 있다고 추정함이 상당하다(대법원 1993. 12. 10. 선고 93다24735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원고가 피고들 등이 참여한 이 사건 쟁의행위로 일정량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였다거나 생산하지 못한 해당 제품을 판매하지 못하여 고정비를 회수하지 못하였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들에 비추어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의 인정 또는 증명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판결 이유가 모순되거나, 석명의무를 위반하고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권순일(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불법파업으로 인한 회사의 손해, 제대로 배상받으려면?

자동차 회사가 노조의 불법 쟁의행위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어 손해를 입었다며 소송을 제기했는데, 대법원은 쟁의행위로 인해 발생한 고정비(임대료, 세금, 감가상각비 등) 손해도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불법쟁의행위#손해배상#고정비#자동차회사

민사판례

파업으로 인한 회사의 손해, 어디까지 배상해야 할까?

회사가 노조의 불법 쟁의행위로 조업을 못 하여 발생한 손해, 특히 고정비용(임대료, 세금 등) 손해를 배상받으려면 어떤 것을 입증해야 하는지, 그리고 노조 측에서 손해가 없었다고 주장하려면 어떻게 반박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쟁의행위 이후 추가 생산으로 생산량을 만회했다면 고정비용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불법쟁의행위#손해배상#고정비용#추가생산

민사판례

파업으로 인한 회사의 손해, 어디까지 배상해야 할까?

이 판례는 불법 쟁의행위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었을 때 회사가 입는 손해, 특히 고정비용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다룹니다. 쟁의행위로 생산이 줄면 회사는 고정비용을 회수하지 못해 손해를 입는다는 추정이 있지만, 쟁의행위 이후 추가 생산으로 부족분을 만회했다면 그 손해 발생 추정은 뒤집힐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불법쟁의행위#손해배상#고정비용#손해발생추정

민사판례

불법휴무로 인한 제조업체의 손해, 어떻게 계산할까?

불법 휴무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제조업체는 판매하지 못한 제품의 예상 이익(매출이익) 뿐만 아니라, 공장 가동 여부와 상관없이 지출되는 고정 비용(임대료, 세금, 감가상각비 등)에 대한 손해도 배상받을 수 있다. 다만, 제품이 정상적으로 판매될 수 있었음을 입증해야 하지만, 특별한 사정(적자 제품, 불황, 제품 결함 등)이 없다면 판매 가능성을 추정하여 손해배상을 인정한다.

#불법휴무#손해배상#제조업체#매출이익

민사판례

불법 쟁의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기업은 무엇을 입증해야 할까?

불법 쟁의행위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었을 때 회사가 입는 손해 중 하나인 고정비용(임대료, 세금 등) 손해는 일반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쟁의행위 종료 후 추가 생산으로 생산량을 만회하여 매출 감소가 없었다면 이러한 손해 발생 추정은 뒤집힐 수 있습니다.

#불법쟁의행위#손해배상#고정비용#손해발생추정

민사판례

불법 쟁의행위로 인한 회사의 손해, 어디까지 배상해야 할까?

회사가 불법 파업으로 생산 차질을 겪었더라도, 이후 추가 생산으로 부족분을 만회하여 매출에 영향이 없었다면 파업으로 인한 고정비용 손해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불법쟁의행위#고정비용#손해배상#생산량 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