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16다259905

선고일자:

20181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의 소유인 준설선에 관한 가처분결정에 따라 집행관이 甲의 점유를 풀고 준설선을 인도받아 채권자에게 보관시켰는데, 준설선이 육지에 고정된 채로 보관되어 있던 중 태풍의 영향으로 유리창이 깨지면서 창문을 통하여 물이 들어와 침수되었고, 이에 甲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에서, 집행관에게 준설선의 형상, 태풍의 진로, 풍속과 풍향,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침수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피항 여부를 판단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한 과실이 있다고 보아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민사집행규칙 제115조, 제118조, 제130조 제1항, 제137조, 제21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6. 9. 27. 선고 2016나200291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이 사건 준설선에 관한 이 사건 가처분결정에 따라 광주지방법원 소속 집행관이 나주시에서 원고의 점유를 풀고 이 사건 준설선을 인도받았고 이를 채권자에게 보관시킨 사실, 채권자의 압류물건 장소이전신청에 따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소속 집행관이 이 사건 준설선을 전남 영암군으로 옮긴 후 다시 채권자에게 보관시킨 사실, 이 사건 준설선이 육지에 고정된 채로 보관되어 있던 중 2012. 8. 28.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유리창이 깨지면서 그 창문을 통하여 물이 들어와 침수된 사실 등을 인정하였다. 이어서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위 목포지원 소속 집행관에게 이 사건 준설선의 형상, 태풍의 진로, 풍속과 풍향,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위 준설선의 침수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피항 여부를 판단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한 과실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건설기계에 대한 점유이전금지가처분 등의 경우 원칙적으로 집행관이 목적물을 직접 보관하여야 하고 제3자에게 보관하도록 한 때에도 가처분이 본집행으로 이전되거나 가처분이 취소되는 등으로 가처분결정의 효력이 상실되기 전까지는 목적물이 멸실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점검하는 등의 주의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손해배상책임을 긍정하였다. 관련 법리와 기록에 따라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 집행관의 선량한 관리자 주의의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잘못이 없고, 집행관과의 약정에 따른 채권자 보관의 임치계약 관계, 간접점유자의 배상책임 및 부진정연대책임, 집행관의 목적물 보관에 대한 주의의무 종기에 관한 법리오해의 잘못도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태풍 피해, 누구 책임일까요? 자연재해와 과실이 겹쳤을 때 배상 책임은?

태풍으로 인한 피해에 가해자의 과실이 더해져 손해가 발생한 경우, 가해자는 자연재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손해에 대해서만 배상 책임을 진다.

#태풍 피해#부산시 과실#손해배상#자연재해

민사판례

배가 낡아서 폭풍에 화물이 젖었다면 누구 책임일까요?

배가 항해에 견딜 수 있는 능력(감항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로 출항하여 폭풍을 만나 화물이 손상되었을 경우, 선주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단순히 폭풍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책임을 면할 수 없다.

#감항능력#선박#화물창#파손

상담사례

갑작스런 폭우, 우리 동네 피해! 지자체에 책임 물을 수 있을까?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피해는 지자체의 예측 및 회피 가능성이 낮아 책임을 묻기 어렵지만, 평소 방재 노력과 함께 미래의 피해 감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우 피해#지자체 책임#예측 가능성#회피 가능성

민사판례

크레인 태풍 피해, 누구 책임일까? 보험가입 약속과 손해배상

컨테이너 부두를 임차한 회사가 보험 가입 약정을 어겨 충분한 보험금을 지급받지 못한 사건에서, 임대인의 부주의가 있었더라도 임차인에게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판결.

#부두#크레인#태풍#피해

민사판례

지방하천 공사 중 발생한 수해, 누구 책임일까요?

국가가 지자체의 하천공사를 대행하더라도, 하천 관리 책임은 여전히 지자체에 있으며, 만약 공사 중 관리 소홀로 피해가 발생하면 지자체도 국가와 함께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하천공사 대행#지자체 관리책임#손해배상#국가배상

민사판례

공무원이 아무것도 안 했는데 국가배상 책임이 있다고?

법에 공무원이 꼭 해야 할 일이라고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공무원이 하지 않아서 생긴 손해에 대해 국가가 배상해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주 위험한 상황이거나 그럴 우려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법에 나온 대로만 일을 했는데도 하지 않았다고 배상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

#공무원#부작위#국가배상책임#법령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