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2016다3201

선고일자:

2018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법정대리인인 친권자의 대리행위가 미성년자 본인에게는 경제적인 손실만을 초래하는 반면 친권자나 제3자에게는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오는 행위이고 행위의 상대방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 행위의 효과가 자(子)에게 미치는지 여부(소극) 및 그와 같은 사정을 들어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이때 제3자가 악의라는 사실에 관한 주장·증명책임의 소재(=무효를 주장하는 자)

판결요지

법정대리인인 친권자의 대리행위가 객관적으로 볼 때 미성년자 본인에게는 경제적인 손실만을 초래하는 반면, 친권자나 제3자에게는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오는 행위이고 행위의 상대방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민법 제107조 제1항 단서의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행위의 효과가 자(子)에게는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나, 그에 따라 외형상 형성된 법률관계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법률상 이해관계를 맺은 선의의 제3자에 대하여는 같은 조 제2항의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누구도 그와 같은 사정을 들어 대항할 수 없으며, 제3자가 악의라는 사실에 관한 주장·증명책임은 무효를 주장하는 자에게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107조, 제920조, 민사소송법 제28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1다64669 판결(공2012상, 164)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5. 12. 17. 선고 2015나1556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법정대리인인 친권자의 대리행위가 객관적으로 볼 때 미성년자 본인에게는 경제적인 손실만을 초래하는 반면, 친권자나 제3자에게는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오는 행위이고 그 행위의 상대방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민법 제107조 제1항 단서의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행위의 효과가 자에게는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나(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1다64669 판결 참조), 그에 따라 외형상 형성된 법률관계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법률상 이해관계를 맺은 선의의 제3자에 대하여는 같은 조 제2항의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누구도 그와 같은 사정을 들어 대항할 수 없으며, 제3자가 악의라는 사실에 관한 주장·증명책임은 그 무효를 주장하는 자에게 있다. 2. 가. 원심은, 이 사건 매매계약은 친권자에 의한 대리권 남용행위에 따라 체결된 계약으로서 그 효과는 원고와 소외 1에게 미치지 아니하는바, 위 매매계약을 원인으로 하여 소외 2 앞으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이고, 소외 2가 이 사건 각 부동산에 관하여 아무런 권리를 취득한 바 없다면 무권리자인 소외 2가 피고에게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도하였다 하여도 아무 효력이 없는 것이어서 피고 명의의 등기는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되지 않은 무효의 등기라고 판단하였다. 나. 그러나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1)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소외 3은 친권자로서 원고와 소외 1을 대리하여 2011. 6. 30.경 소외 2에게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도하였고(이하 ‘이 사건 매매계약’이라고 한다), 그 무렵 소외 2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다. 나) 소외 2는 2013. 8. 26. 이 사건 각 부동산에 관하여 피고 앞으로 2013. 8. 22. 매매계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 다) 원고는 소외 2 앞으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는데, 2015. 1. 23. 이 사건 매매계약이 소외 3의 친권 남용에 의해 체결된 것이어서 그 효과가 원고와 소외 1에게 미치지 아니하므로, 소외 2가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이 선고되었고, 소외 2가 불복하여 상고하였으나 2015. 6. 24. 심리불속행 상고기각되었다. 라) 원고는 소외 2 앞으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가 원인무효이므로, 이에 터 잡은 피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역시 원인무효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하였다. 피고는 2013. 10. 22.자 답변서에서 ‘원고의 이 사건 청구원인 주장내용은 피고로서는 전혀 알지 못하는 사실입니다’라고 답변하였다. 2)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피고는 소외 2로부터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수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침으로써 소외 3의 친권 남용에 따라 외형상 형성된 법률관계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법률상 이해관계를 가지게 되었고, 기록상 피고가 소외 2로부터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수할 당시 이 사건 매매계약이 소외 3의 친권 남용에 의해 체결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이 보이지 아니하므로, 피고에 대하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매매계약이 소외 3의 친권 남용에 의해 체결된 것이라는 사정을 들어 대항할 수 없다고 볼 여지가 있다. 3) 사정이 이러하다면, 원심으로서는 피고가 소외 3의 친권 남용에 대하여 선의의 제3자인지 여부를 심리하여 원고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어야 한다. 다. 그럼에도 원심은 피고가 친권 남용에 대하여 선의의 제3자인지 여부에 관하여는 아무런 심리·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그 판시와 같은 사정만을 들어 피고 명의의 등기는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되지 않은 무효의 등기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선의의 제3자에 대한 친권 남용 행위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박상옥 이기택(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미성년자 땅 헐값 매매? 부모 마음대로 안 됩니다!

미성년자 소유의 땅을 법정대리인이 자기 이익을 위해 헐값에 팔았고, 매수인이 이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으므로 매매계약은 무효다.

#미성년자#땅 매매#법정대리인#배임

상담사례

내 유일한 재산을 엄마가 맘대로 줘버렸어요! 괜찮을까요? 😥

미성년자인 작성자의 유일한 재산을 어머니가 무상으로 타인에게 증여했으나, 이는 친권 남용에 해당하여 증여가 무효처리될 가능성이 높고, 소송을 통해 재산을 되찾을 수 있다.

#미성년자#재산#친권남용#증여

상담사례

우리 아이 재산, 함부로 팔아도 될까요? - 친권자의 재산 처분, 어디까지 허용될까?

친권자는 아이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재산을 관리해야 하며, 단순 처분 행위가 아닌 배경, 목적,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친권 남용 여부를 결정한다.

#친권#재산처분#친권남용#아이 이익

상담사례

미성년자 땅, 함부로 팔았다간 큰일나요! 😱

법정대리인이 미성년자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재산을 처분하면 대리권 남용으로 계약이 무효가 될 수 있으며, 상대방도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책임을 져야 한다.

#미성년자##매매#대리권

민사판례

미성년자 자녀의 부동산 증여, 등기가 됐다면 유효할까?

미성년자 자녀가 친권자에게 부동산을 증여하고 등기까지 이뤄졌다면, 그 등기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판례입니다. 단, 등기가 위조되었거나 미성년자에게 의사능력이 없었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입증되면 이 추정은 번복될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 증여#등기 추정력#친권자#이해상반행위

상담사례

우리 아이 재산, 부모 마음대로 써도 될까요? - 친권과 대리권 남용에 대해 알아보기

자녀의 재산 관리 권한을 가진 부모는 자녀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녀 재산을 사용하는 것은 대리권 남용에 해당될 수 있다.

#친권#대리권 남용#자녀 재산 관리#재량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