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설치·유지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16도10338

선고일자:

201806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 甲 주식회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아파트의 관리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자인데, 피고인 甲 회사의 직원으로 아파트 소방안전관리자인 乙이 아파트의 일부 소방시설이 전원 차단 상태로 유지·관리되어 법령에 위반된 것을 알면서 피고인 甲 회사에 아무런 조치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에도 비상경보음 등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게 하였다고 하여 구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소방시설이 전원 차단 상태로 있는 경우는 같은 법 제50조 제6호, 제20조 제8항에서 규정한 ‘소방시설 등이 법령에 위반된 것’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2015. 1. 20. 법률 제13062호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0조 제8항(현행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0조 제8항 참조), 제50조 제6호(현행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50조 제6호 참조), 제52조(현행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52조 참조), 형사소송법 제3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주식회사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평강 담당변호사 최득신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6. 6. 22. 선고 2015노754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의 직원으로 이 사건 아파트의 소방안전관리자인 공소외인이 아파트의 일부 소방시설이 차단 상태로 유지·관리되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 피고인에게 아무런 조치를 요구하지 않았더라도, 소방시설이 전원 차단 상태로 있는 경우가 구 소방시설법 제50조 제6호, 제20조 제8항에서 규정하는 ‘소방시설 등이 법령에 위반된 것’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모두 정당하고, 거기에 구 소방시설법 제20조 제8항의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검사는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구 소방시설법 제9조 제3항의 위반 여부에 대하여 심리를 하였어야 한다고 주장하나, 이 사건 공소사실과 구 소방시설법 제9조 제3항의 범죄사실이 동일성이 인정되어 공소장 변경 없이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원심이 기소된 구 소방시설법 제20조 제8항 위반 여부에 대해서만 심리·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한 것은 정당하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재연(재판장) 고영한 김소영(주심)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소장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 전기기사 사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

아파트 관리소장은 소속 직원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만, 모든 안전사고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다른 직원에게 업무 책임이 명확히 위임된 경우에는 관리소장의 책임이 제한될 수 있다.

#아파트 관리소장#안전사고 책임#업무 위임#전기기사

민사판례

아파트 도난 사고, 관리업체에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아파트 관리업체와 입주자대표회의가 맺은 계약에서 정한 손해배상 책임 범위가 아파트 관리규약과 다르더라도, 그 계약이 무효인 것은 아니다. 아파트 도난 사고 발생 시 관리업체의 책임은 계약 내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아파트 도난#관리업체 책임#관리규약#계약

민사판례

아파트 지하주차장 차량 화재, 차주 책임은?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차량 소유주에게 '공작물 설치·보존상 하자'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차량 소유주가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정도의 방호조치의무를 다했는지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지하주차장#차량 화재#소유주 책임#공작물 하자

생활법률

우리 건물, 누가 불 안전 책임지나요? 소방안전관리자 제대로 알아보기!

관리 권원이 분리된 특정 건물(복합건축물, 지하가, 시장 등)은 권원별로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고 그중 한 명을 총괄소방안전관리자로 지정하여 공동 소방안전관리를 해야 하며, 미이행 시 벌금이 부과된다.

#소방안전관리자#관리권원 분리#복합건축물#지하가

민사판례

아파트 화재 사망 사건, 소방관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아파트 화재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에서, 화재 전 소방특별조사 시 방화문 도어클로저 설치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소방공무원의 행위가 직무상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도어클로저 설치 확인이 소방특별조사의 필수 항목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단순히 확인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는 직무상 과실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아파트 화재#소방공무원#직무상 과실#소방특별조사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비,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관리회사의 책임과 의무

아파트 관리회사는 전기요금 산정 방식 변경 가능성을 알았다면 입주자대표회의에 알리고 유리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도와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게을리하여 입주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배상 책임을 진다.

#아파트 관리회사#전기요금 산정 방식 변경#통지 의무#손해배상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