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배임

사건번호:

2016도15226

선고일자:

201702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피고인의 일련의 행위에 대한 법률적 평가에서 범죄의 비양립성이 인정되는 경우 [2] 아파트 소유권자인 피고인이 가등기권리자 甲에게 아파트에 관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를 말소해 주면 대출은행을 변경한 후 곧바로 다시 가등기를 설정해 주겠다고 속여 가등기를 말소하게 하여 재산상 이익을 편취하고, 가등기를 회복해 줄 임무에 위배하여 아파트에 제3자 명의로 근저당권 및 전세권설정등기를 마침으로써 甲에게 손해를 가하였다고 하여 사기 및 배임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사기죄를 인정하는 이상 비양립적 관계에 있는 배임죄는 별도로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7조, 제347조, 제355조 제2항 / [2] 형법 제347조 제1항, 제355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11. 5. 13. 선고 2011도1442 판결(공2011상, 126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및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조기제 【원심판결】 서울북부지법 2016. 9. 2. 선고 2016노86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외형상으로는 공소사실의 기초가 되는 피고인의 일련의 행위가 여러 개의 범죄에 해당되는 것 같지만 그 일련의 행위가 합쳐져서 하나의 사회적 사실관계를 구성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법률적 평가는 하나밖에 성립되지 않는 관계, 즉 일방의 범죄가 성립되는 때에는 타방의 범죄는 성립할 수 없고, 일방의 범죄가 무죄로 될 경우에만 타방의 범죄가 성립할 수 있는 비양립적인 관계가 있을 수 있다(대법원 2011. 5. 13. 선고 2011도1442 판결 참조). 나. (1)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원심 판시 ○○아파트와 관련된 부분은, ① 피고인은 위 아파트에 관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를 말소해 주면 금리가 낮은 곳으로 대출은행을 변경한 다음 곧바로 다시 가등기를 설정해 주겠다고 공소외 1을 기망하여 공소외 1로 하여금 가등기를 말소하게 하여 그에 상당한 재산상 이익을 편취하고, ② 위와 같이 대출은행을 변경한 후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 절차를 이행해 줄 임무에 위배하여, 2009. 11. 2.자, 2010. 7. 5.자, 2011. 7. 26.자, 2011. 7. 28.자로 위 아파트에 관하여 제3자 명의로 각 근저당권 및 전세권설정등기를 마침으로써 각 채권최고액 및 전세금 상당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고 공소외 1에게 같은 금액 상당의 재산상 손해를 가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원심은 위 ①의 사기죄는 유죄로 인정하고, ②의 각 배임죄의 공소사실에 대하여는, 피고인이 약속대로 가등기를 회복해주지 않고 제3자에게 근저당권설정등기 등을 마쳐준 행위는 처음부터 가등기를 말소시켜 이익을 취하려는 사기범행에 당연히 예정된 결과에 불과하여 그 사기범행의 실행행위에 포함된 것일 뿐이므로 사기죄와 비양립적 관계에 있는 각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등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별도의 배임죄를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그 부분은 무죄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원심 판시 임야에 관한 부분은, ③ 피고인은 보존산지로 지정되어 있어 전원주택 등을 신축할 수 없는 임야에 전원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진입로 등 제반 시설을 설치해 주겠다고 공소외 2 등 11명을 기망하여 임야 11필지에 관한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위 11명으로부터 계약금 및 중도금을 교부받아 편취하고, ④ 위 각 매매계약에 기하여 위와 같은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할 임무에 위배하여, 위 각 임야에 관하여 제3자 명의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줌으로써 각 채권최고액 상당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고 위 11명에게 같은 금액 상당의 재산상 손해를 가하였다는 것이다. 원심은 위 ③의 사기죄는 유죄로 인정하고, ④의 각 배임죄의 공소사실에 대하여는, 피고인은 위 11명에게 임야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할 의사가 없었고 이후 제3자들에게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준 행위는 기망을 통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계약금과 중도금을 편취한 사기범행에 포함된 것일 뿐이라는 등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별도의 배임죄를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그 부분은 무죄라고 판단하였다. (2) 앞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 ①의 사기죄와 ②의 배임죄, 위 ③의 사기죄와 ④의 배임죄는 각각 일방이 범죄로 성립하는 때에는 타방은 범죄로 성립할 수 없고, 일방이 무죄로 되는 경우에만 타방이 범죄로 성립할 수 있는 비양립적인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①, ③의 사기죄를 유죄로 인정할 수 있는 이상 ②, ④가 별도의 배임죄로 성립할 수 없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사기죄 및 배임죄의 구성요건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상고이유가 들고 있는 대법원 판결들은 이 사건과는 사안이 다르거나 후행행위가 선행행위에 대한 관계에서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만 판단한 사안일 뿐이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다. 그리고 검사는 원심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고하였으나,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서 나머지 부분에 관한 불복이유의 기재를 찾아볼 수 없다. 2.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에 양형에 관한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결국 양형부당 주장에 해당한다. 그러나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는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허용된다.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권순일(재판장) 박병대(주심) 박보영 김재형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가등기 말소와 사기죄, 알고 계셨나요?

남의 땅에 걸려있는 가등기가 무효라는 것을 알면서도, 땅 주인을 속여 가등기를 말소하게 했다면 사기죄가 성립한다.

#무효 가등기#말소#사기죄#재산상 이익

형사판례

부동산 매매 계약 해제 후 가등기, 배임죄는 성립할까?

부동산 매도인이 매수인의 계약 내용에 없는 새로운 요구를 거부하고 제3자에게 가등기를 설정한 경우, 매수인이 계약 이행 의사가 없다고 판단될 수 있다면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배임죄#부동산매매#계약해제#새로운요구조건

형사판례

아파트 분양 사기와 호텔 이중매매: 배임죄, 그 책임의 경계

경매 진행 중인 호텔을 매수인에게 매도하기로 약정하고 계약금과 중도금까지 받았음에도, 매도인들이 소유권 이전에 필요한 가등기를 자신들이 지배하는 다른 회사에 넘겨 배임죄로 기소된 사건. 법원은 매도인의 행위가 매수인의 소유권 취득을 어렵게 만들 위험을 초래했으므로 배임죄가 성립한다고 판결. 또한 이전에 다른 범죄(불법 사전분양)로 처벌받았더라도 이번 사건과는 별개의 범죄이므로 처벌할 수 있다고 판단.

#호텔 이중매매#사기죄#배임죄#가등기

형사판례

부동산 이중매매,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다!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중도금까지 지급된 후 매도인이 다른 사람에게 이중매매를 하는 경우 배임죄가 성립한다. 매수인에게 가등기를 해주었다고 하더라도 배임죄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

#부동산#이중매매#배임죄#중도금

형사판례

사기죄와 배임죄, 그리고 형평성을 고려한 형벌 적용

이 판결은 과거 유죄 판결이 확정된 죄와 그 이전에 저지른 죄를 함께 처벌할 때, 이미 확정된 판결의 형량을 고려해 형을 감경할 수 있는지, 사기죄의 고의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분양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나서 분양권을 포기한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경합범#형평#사기죄#편취범의

형사판례

땅 팔고 건물 철거 약속했는데, 갑자기 가등기? 배임죄일까?

땅과 그 위 건물을 함께 판매하면서 잔금을 받으면 건물을 철거해주기로 약속한 판매자가 잔금 수령 전에 제3자에게 건물에 대한 가등기를 설정해 준 경우, 판매자에게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 판결에서는 판매자에게 배임의 고의가 없었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토지매매#건물철거#배임죄#가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