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비

사건번호:

2018다254416

선고일자:

2018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이 乙 병원 소속 의료진의 과실로 식물인간 상태가 된 후 乙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데, 甲이 위 의료과실로 인한 1차 손해배상청구소송 당시 예상했던 여명기간 이후 계속 생존함에 따라 추가로 발생한 손해의 배상을 구하는 2차 소송을 제기하면서 특정 시점 이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비 등을 청구하지 않았고, 그 후 乙 병원이 甲 등을 상대로 진료비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甲이 특정 시점 이후 발생한 치료비를 乙 병원으로부터 실제 변제받았다거나 해당 청구권을 포기하였다고 볼 수 없고, 乙 병원의 치료행위는 의료사고로 인한 甲의 손해를 전보하는 것에 불과하여 乙 병원은 甲 등을 상대로 진료비 지급을 구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390조, 제393조, 제681조, 제686조, 제763조, 민사소송법 제21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충남대학교병원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새날로 담당변호사 남상숙)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명경 담당변호사 김영배 외 3인) 【환송판결】 대법원 2018. 4. 26. 선고 2017다28812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가. 원심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 피고 1은 1998. 5.경 원고 소속 의료진의 과실로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고, 원고가 운영하는 병원(이하 ‘원고 병원’이라 한다)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피고 2는 피고 1의 원고에 대한 진료비 채무를 연대보증하였다. (2) 피고 1은 위 의료과실로 인한 1차 손해배상청구소송 당시 예상했던 여명기간 이후 계속 생존함에 따라 추가로 발생한 손해의 배상을 구하는 소(이하 ‘2차 소송’이라 한다)를 제기하였다. 위 피고는 2차 소송에서 2013. 1. 1.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비 등을 청구할 수 있었지만 이를 청구하지 않았다. 이후 위 피고가 이를 별도의 소송으로 청구하는 것이 2차 소송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되어 소송법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해당 청구권이 실체법상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 피고가 2013. 1. 1.부터 발생한 치료비를 원고로부터 실제 변제받았다거나 해당 청구권을 포기하였다는 등의 사정은 나타나 있지 않다. (3) 피고 1이 의료사고로 식물인간 상태가 된 다음 2014. 12. 31.까지 별다른 상태변화 없이 계속 원고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이상 그 기간 동안 원고의 치료행위는 의료사고로 인한 식물인간 상태의 치유나 악화 방지를 위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치료행위는 의료사고로 인한 피고 1의 손해를 전보하는 것에 불과하여 원고는 피고들에게 그로 인한 진료비의 지급을 구할 수 없다. 나. 원심의 판단은 대법원 환송판결의 취지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잘못이 없다. 2. 원고의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조희대 김재형(주심) 민유숙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의료사고 후 추가 치료비, 누가 내야 할까? 병원의 청구는 정당한가?

의사의 과실로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입고 후유증 치료만 받는 경우, 병원은 환자에게 치료비를 청구할 수 없다. 이는 환자가 이전 소송에서 미래 치료비 청구를 누락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의료사고#후유증 치료비#청구불가#손해배상

상담사례

식물인간 상태, 예상보다 오래 살면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식물인간 상태 환자의 수명이 예상보다 길어져 발생한 추가 치료비, 간병비 등은, 최초 소송 시 예측 불가능했다면 추가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식물인간#추가배상#예상수명#손해배상

민사판례

병원의 진료비 청구 오류, 보험사는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병원이 실수로 건강보험 적용 진료를 비급여로 잘못 기재하여 환자에게 더 많은 진료비를 받았더라도, 그로 인해 보험사가 추가 보험금을 지급하게 되었다면 병원이 보험사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병원의 실수와 보험사의 손해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어야만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진료비 오기재#보험사 손해배상#인과관계#불법행위

민사판례

교통사고 입원환자 진료, 누가 진료비를 청구해야 할까?

교통사고 입원환자를 다른 병원에 검사 의뢰한 경우, 검사를 실시한 병원도 보험사에 직접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다.

#교통사고#입원환자#검사의뢰#진료비청구

민사판례

의료사고 후 치료비, 누가 내야 할까?

의사의 과실로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입고 후유증 치료만 받는 경우, 병원은 환자에게 수술비와 치료비를 청구할 수 없다. 환자 측에 잘못이 없더라도 의사의 배상 책임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의료사고#후유증 치료비#병원 청구 불가#의사 과실

상담사례

의료사고 후유증, 치료비는 누가 부담해야 할까요? 🤕

의료사고로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입었다면, 이후 후유증 악화 방지 치료비는 의사의 손해배상 책임으로 환자가 부담할 필요가 없다.

#의료사고#후유증 치료비#회복 불가능한 손상#의사 주의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