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20다238349

선고일자:

2022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정비구역 내 토지의 소유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에 의한 매도청구권을 행사한 경우, 매매계약의 성립 시기(=매도청구권 행사 의사표시 도달 시)와 매매가격(=시가) 및 이때 ‘시가’의 의미(=매도청구권 행사 당시 토지의 객관적 거래가격) [2] 도로로 점유·사용되는 토지의 거래가격은 도로인 현황대로 감정평가하여야 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현행 제64조 참조) / [2]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현행 제64조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8다21549, 21556, 21563 판결,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다60866 판결(공2002상, 1111) / [2]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다60866 판결(공2002상, 111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아파트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광장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케이씨엘 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20. 5. 27. 선고 2019나54001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각 서면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가. 재건축사업의 사업시행자가 정비구역 내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에 의한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면 그 매도청구권 행사의 의사표시가 도달함과 동시에 그 토지에 관하여 시가에 의한 매매계약이 성립되고 이때의 시가란 매도청구권이 행사된 당시의 토지의 객관적 거래가격이다(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8다21549, 21556, 21563 판결 참조). 도로로 점유·사용되는 토지의 거래가격은 당해 토지의 현실적 이용상황이 주위 토지와 같이 변경되었을 것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된 때 등의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도로로 제한된 상태, 즉 도로인 현황대로 감정평가하여야 한다(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다60866 판결 참조). 나.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는 1970년대 아파트지구기본개발계획 당시부터 도로로 사용되어 왔고 2004. 12. 27.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고시되었으며 2017. 4. 27. 이 사건 재건축사업구역 정비계획 고시에서도 도로로 결정·고시되었고 현재 지목도 도로인 사실,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취득하여 정비기반시설로 새로 설치한 다음 지방자치단체에 무상 귀속시킴으로써 재건축사업 후에도 공동주택 부지가 아닌 도로로 사용될 예정임이 명백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토지의 거래가격은 도로인 현황대로 감정평가하여야 한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공동주택 부지의 일부가 된다고 보아 재건축사업이 시행될 것을 전제로 할 경우 인근 대지 시가와 동일하게 평가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단에는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내 편입되는 토지의 시가 평가 방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2.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철상(재판장) 노정희 이흥구(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건축 매도청구, 내 땅값은 얼마일까? 도로로 쓰던 땅도 제값 받을 수 있을까?

재건축 사업에서 도로로 사용되는 토지라도 재건축 후 아파트 부지의 일부가 되므로, 주변 땅값과 비슷하게 보상해야 하며, 도로라는 이유만으로 땅값을 대폭 깎는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재건축#매도청구#도로#보상

상담사례

우리 땅이 도로로 쓰인다고 보상을 헐값에 받아야 할까요? 재건축 매도청구, 제대로 알아봅시다!

재건축 시 도로로 사용되는 토지라도 장래 아파트 부지로서의 가치를 반영하여 주변 땅값과 유사하게 보상받아야 한다.

#재건축#매도청구#도로#땅값

민사판례

재건축 사업시 용도 폐지되는 도로, 돈 내고 사야 할까요?

재건축 사업으로 용도가 폐지되는 국가 소유 도로 등 공공시설은 재건축 조합에 무상으로 양도되어야 하며, 이를 어기고 돈을 주고 사고파는 계약은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는 재건축 사업 전에 사업계획 승인을 받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재건축#용도폐지#공공시설#무상양도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내 땅에 대한 보상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도로가 된 이후 주변 땅값이 많이 올랐다면 그걸 반영해야 할까? 이 판례는 '주변 땅값 상승이 명백하다면 보상금 계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도로#토지보상#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주변땅값상승

민사판례

아파트 지으려는데 땅 주인이 안 판다고요? 매도청구권 행사 시 땅값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아파트 건설을 위해 필요한 땅을 소유자가 팔지 않을 경우, 건설사는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때 매매 가격은 개발이익을 포함한 시가로 계산해야 한다. 특히 도로로 사용되는 구거라도 아파트 건설 후에는 부지의 일부가 되므로, 개발이익을 반영해야 한다는 판결.

#매도청구권#구거#개발이익#시가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다면?

개인 땅이 도로로 사용될 때, 토지 소유자가 사용을 허락했는지, 국가가 정당한 권리 없이 사용했는지에 따라 보상 기준이 달라진다. 특히 도시계획 도로로 지정된 경우, 실제 도로로 사용된 현황을 기준으로 보상해야 한다.

#사유지#도로#보상#부당이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