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금반환등청구의소

사건번호:

2021다306904

선고일자:

202204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비법인사단이 당사자인 사건에서 이미 제출된 자료들에 의하여 대표권의 적법성에 의심이 갈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 법원이 이에 관하여 심리·조사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적극) [2] 집합건물의 관리단인 甲 관리단이 乙을 상대로 관리비 등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乙이 甲 관리단의 대표자로서 소를 제기한 丙에 대하여 관리단을 대표할 권한이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였고, 丙이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관리단의 대표자로 선임되었다는 점을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丙에게 적법한 대표권이 있는지에 관하여 심리·판단하지 아니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비법인사단이 당사자인 사건에서 대표자에게 적법한 대표권이 있는지는 소송요건에 관한 것으로서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법원으로서는 판단의 기초자료인 사실과 증거를 직권으로 탐지할 의무까지는 없다 하더라도, 이미 제출된 자료들에 의하여 대표권의 적법성에 의심이 갈 만한 사정이 엿보인다면 상대방이 이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여 다투지 않더라도 이에 관하여 심리·조사할 의무가 있다. [2] 집합건물의 관리단인 甲 관리단이 乙을 상대로 관리비 등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甲 관리단은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1항에 의하여 당연설립된 관리단이자 비법인사단으로서 그 대표자는 규약에 달리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는 한 구분소유자의 과반수 및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선임하고, 구분소유자의 의결권은 규약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각 구분소유자가 가지는 전유부분의 면적 비율에 따르게 되어 있는데, 乙은 건물의 전체 전유부분 면적의 51%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甲 관리단의 대표자로서 소를 제기한 丙에 대하여 관리단을 대표할 권한이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였고, 丙이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관리단의 대표자로 선임되었다는 점을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丙에게 적법한 대표권이 있는지에 관하여 심리·판단하지 아니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52조, 제58조, 제64조, 제134조[직권조사사항] / [2] 민사소송법 제52조, 제58조, 제64조, 제134조[직권조사사항],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 제1항, 제23조 제1항, 제37조 제1항, 제38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6다40578 판결(공1997하, 3405),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10다97044 판결(공2011하, 177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보승빌딩관리단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엠케이 담당변호사 문종술) 【원심판결】 부산지법 2021. 11. 26. 선고 2020나49515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비법인사단이 당사자인 사건에 있어서 대표자에게 적법한 대표권이 있는지 여부는 소송요건에 관한 것으로서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법원으로서는 그 판단의 기초자료인 사실과 증거를 직권으로 탐지할 의무까지는 없다 하더라도, 이미 제출된 자료들에 의하여 그 대표권의 적법성에 의심이 갈 만한 사정이 엿보인다면 상대방이 이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여 다투지 않더라도 이에 관하여 심리·조사할 의무가 있다(대법원 1997. 10. 10. 선고 96다40578 판결,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10다97044 판결 참조). 2. 원고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고 한다) 제23조 제1항에 의하여 당연설립된 관리단이자 비법인사단으로서 그 대표자는 규약에 달리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는 한 구분소유자의 과반수 및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선임한다(집합건물법 제38조 제1항). 그리고 구분소유자의 의결권은 규약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각 구분소유자가 가지는 전유부분의 면적 비율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집합건물법 제37조 제1항, 제12조 제1항). 원심의 인정에 의하더라도 피고는 이 사건 건물의 전체 전유부분 면적의 51% 이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기록에 의하면 피고가 제1심의 제1차 변론기일에서 진술한 2019. 5. 21. 자 답변서를 통해 원고의 대표자로서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소외인에 대하여 원고를 대표할 권한이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사건 기록에서 소외인이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원고의 대표자로 선임되었다는 점을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원심으로서는 소외인이 원고의 적법한 대표자인지 여부에 관하여 더 심리·조사하였어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원고 대표자에게 적법한 대표권이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심리·판단하지 않았으니, 원심판결에는 비법인사단 대표자의 대표권 및 직권조사사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재연(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천대엽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우리 아파트 관리회사, 제대로 일하고 있나요? 손해배상 청구 가능할까?

아파트 관리회사(을)가 전기요금 산정방식 변경 안내를 입주자대표회의에 고지하지 않아 입주민이 손해를 입었고, 이는 관리회사의 선량한 관리자 주의 의무 위반으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아파트 관리회사#손해배상 청구#공동설비 전기요금#위임 관계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비, 관리회사가 직접 소송할 수 있을까요?

아파트 관리를 위탁받은 회사가 미납 관리비를 받기 위해 직접 소송을 걸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탁관리회사는 자기 이름으로 소송을 제기하여 관리비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위탁관리회사#관리비#소송

상담사례

아파트 관리비 소송, 변호사 보수 때문에 속 끓이시나요? 😥

아파트 관리비 소송에서 선정당사자가 입주자 동의 없이 변호사와 맺은 변호사 보수 관련 부제소 합의는 입주자들에게 효력이 없으므로 부당한 보수 요구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아파트 관리비 소송#변호사 보수#선정당사자#부제소합의

상담사례

아파트 관리비, 관리회사가 직접 받을 수 있을까요?

아파트 관리회사는 관리단으로부터 관리 업무를 포괄적으로 위임받은 경우, 자신의 이름으로 직접 입주민에게 관리비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아파트 관리비#관리회사#직접 청구 소송#위임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비,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관리회사의 책임과 의무

아파트 관리회사는 전기요금 산정 방식 변경 가능성을 알았다면 입주자대표회의에 알리고 유리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도와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게을리하여 입주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배상 책임을 진다.

#아파트 관리회사#전기요금 산정 방식 변경#통지 의무#손해배상 책임

형사판례

아파트 관리단, 건물 관리 잘못하면 대표가 책임져야 할까?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처럼 법인격이 없는 단체가 건물 관리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 그 단체의 대표자가 법적 책임을 진다.

#건물관리책임#법인격 없는 단체#대표자 책임#건축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