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불실기재공전자기록등행사

사건번호:

2021도11257

선고일자:

20220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의 구성요건인 ‘불실의 사실기재’는 당사자의 허위신고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등기를 마친 경우에도 그 전제절차에 허위적 요소가 있으면 위 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228조 제1항, 민사집행법 제2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 12. 27. 선고 83도2442 판결(공1984, 285)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유지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1. 8. 10. 선고 2020노252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의정부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은 공소외 1로부터 돈을 빌린 적이 없고 공소외 2가 그 채무를 연대보증한 사실도 없는데, 공소외 1과 공모하여 판시와 같은 허위 내용이 적힌 차용증을 작성하고 공소외 2 소유 토지에 관하여 가압류신청을 하여 등기소 직원으로 하여금 공소외 1을 채권자, 공소외 2를 채무자로 한 가압류등기를 마치게 함으로써 공정증서원본과 동일한 전자기록인 토지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을 기록하게 하고 이를 행사하였다.’는 것이다.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2. 그러나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형법 제228조 제1항)의 구성요건인 ‘불실의 사실기재’는 당사자의 허위신고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하므로, 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그 전제절차에 허위적 요소가 있더라도 위 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대법원 1983. 12. 27. 선고 83도2442 판결 참조). 부동산가압류는 가압류재판에 관한 사항을 등기부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법원이 집행하고 법원사무관 등이 등기를 촉탁한다(민사집행법 제293조). 피고인과 공모한 공소외 1이 허위 소명자료를 첨부하여 가압류신청을 함에 따라 공소외 2 소유 토지에 가압류결정이 내려졌더라도, 그에 따른 가압류등기는 법원이 하는 집행절차의 일환일 뿐 허위신고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 아니므로 토지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이 기재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런데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원심은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에서의 ‘불실의 사실기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그러므로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선수(재판장) 박정화 노태악 오경미(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가짜 채권을 공증하면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일까?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채권이라도 양도 행위 자체가 진짜라면, 그 채권 양도에 대한 공정증서를 작성하는 것은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채권양도#존재하지 않는 채권#사기죄

민사판례

가짜 전세권 설정과 채권 가압류, 제3자 보호는 어떻게 될까?

실제 전세 계약 없이 서류상으로만 전세권을 설정했더라도, 이를 모르고 그 전세권에 대한 채권을 가압류한 사람은 보호받을 수 있다.

#가짜 전세권#가압류#제3자 보호#통정허위표시

형사판례

가압류 해제도 사기가 될 수 있을까?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 재산에 가압류를 걸어둔 사람이 채무자의 거짓말에 속아 가압류를 풀어줬다면, 설령 나중에 가압류의 근거가 된 채권이 원래 없었던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채무자는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가압류 해제#사기죄#재산상 이득#거짓말

민사판례

은행의 입금 착오와 가압류, 불법행위 책임은 언제 발생할까?

돈을 특정 계좌에 입금하도록 은행에 의뢰했지만, 은행이 그 계좌가 아닌 다른 곳에 입금했을 때, 그 계좌가 가압류된 경우 은행의 행위가 불법행위인지, 그리고 원래 입금받을 권리가 없는 사람의 계좌에 돈이 입금될 예정이었는데, 입금 의뢰인이 이를 취소했을 때 이것이 불법행위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입금#가압류#불법행위#은행

형사판례

돈 받을 권리 없는데 압류해도 사기죄?

빚을 받기 위해 채무자의 다른 채권을 압류하는 과정에서, 압류할 채권이 실제로 없다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은 진짜라면 소송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

#허위채권#압류#전부명령#소송사기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 후 제3자에게 소유권 넘어가면 가압류 신청은 무효!

돈을 받지 못할까 봐 채무자의 부동산에 가압류를 걸어놨는데, 법원에서 가압류를 취소했고, 그 사이에 다른 사람에게 소유권이 넘어갔다면, 원래 돈을 받으려던 사람은 더 이상 가압류를 신청할 이유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가압류#취소#소유권이전#이익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