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3.25

민사판례

가짜 전세권 설정과 채권 가압류, 제3자 보호는 어떻게 될까?

전세 사기가 극성인 요즘, 전세권과 관련된 법적 분쟁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짜 전세권 설정과 관련된 채권 가압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실제 전세 계약은 없었지만, 대출 등 다른 목적으로 전세권 설정등기를 한 경우, 이를 믿고 채권 가압류를 한 사람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집주인 A는 세입자 B에게 집을 월세로 빌려주었습니다. 그런데 B가 대출을 받기 위해 A에게 전세 계약서를 써달라고 부탁했고, A는 이를 들어주어 전세권 설정등기까지 해주었습니다. 사실 A와 B 사이에는 진짜 전세 계약은 없었던 것입니다.

이후 B에게 돈을 빌려준 C는 B의 전세권을 보고 전세권에 대한 채권을 가압류했습니다. 나중에 A와 B 사이의 전세 계약이 가짜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경우, C는 자신의 채권을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C는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법원은 실제 전세 계약이 없더라도, 제3자인 C가 선의로 전세권의 존재를 믿고 채권 가압류를 했다면, 그 가압류는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통정허위표시에 관한 법리에 따른 것입니다. A와 B는 서로 짜고 거짓으로 전세 계약을 꾸몄지만, C는 이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이죠.

관련 법 조항과 판례를 살펴보면:

  • 민법 제108조 제2항: 통정허위표시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 대법원 2008. 3. 13. 선고 2006다58912 판결: 가짜 전세권 설정에 기초하여 채권을 가압류한 자는 선의인 이상 통정허위표시의 무효를 주장할 수 없다.

추가적으로, 전세권의 법정갱신에 대해서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전세 계약이 법정갱신된 경우, 갱신등기를 하지 않았더라도 세입자는 갱신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법률에 의한 물권 변동이기 때문에 등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민법 제312조 제4항: 전세권의 존속기간을 약정하지 아니하거나 약정기간이 1년 미만인 때에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 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다카21029 판결: 전세권이 법정갱신된 경우 등기 없이도 갱신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세권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서는 등기뿐만 아니라 실제 계약 내용, 당사자들의 선의 여부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제3자의 경우, 선의로 거래에 참여했다면 법적으로 보호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세 계약이나 채권 가압류 전에 관련 법률과 판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가짜 전세권 설정, 나중에 문제 될 수 있을까? - 제3자 보호와 관련된 법률 이야기

가짜 전세권이라도 이를 모르고 거래한 선의의 제3자는 법적으로 보호받기 때문에, 가짜 전세권 설정은 예상치 못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가짜 전세권#제3자 보호#선의의 제3자#전세 사기

민사판례

가짜 전세권 설정, 누구까지 보호받을까?

실제 전세 계약 없이 임차보증금 반환채권 담보 등을 위해 임차인과 임대인이 짜맞춰 전세권 설정 등기를 한 경우, 이후 이 전세권에 권리를 취득한 사람이 진실을 몰랐다면, 그 권리는 보호된다.

#허위 전세권#선의의 제3자#보호#통정허위표시

상담사례

가짜 전세권 설정하고 돈 빌렸는데, 집주인이 딴소리?! 전세권 담보대출과 통정허위표시

가짜 전세권을 담보로 돈을 빌려준 사람이 그 사실을 몰랐다면, 집주인은 전세권 무효를 주장할 수 없고 돈을 빌려준 사람의 권리가 보호된다.

#가짜 전세권#근저당 설정#대출#집주인

민사판례

전세권 설정의 진짜 목적, 꼭 알아두세요!

집을 빌려 사용·수익하는 권리인 전세권을 돈을 빌려준 것에 대한 담보로만 쓰려고 설정했다면, 그 전세권은 법적으로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전세권#담보목적#무효#사용·수익

민사판례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 진짜 주인은 누구? 허위 양도와 채권압류 이야기

진짜로 돈을 받을 생각 없이 형식적으로 임대차보증금 반환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한 경우, 그 양도받은 사람의 채권자가 압류를 통해 돈을 받아가려고 할 때, 그 채권자는 보호받을 수 있다.

#가장양도#임대차보증금#채권압류#선의의 제3자

민사판례

전세권을 이용한 임차보증금 담보와 그 효력

실제 전세 계약 없이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 담보를 위해 전세권을 설정하고, 이 전세권에 근저당을 설정한 경우, 임대인은 근저당권자가 이러한 사실을 알았을 경우에만 전세권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 전세 기간 만료 후 근저당권자는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해 물상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임대인의 다른 채권과 상계할 수 없다.

#허위전세권#근저당권#물상대위#상계